미중 갈등 수혜 조선 관련주는 2025년 1분기 조선 빅3 매출 12조 3,659억원 기록하며 영업이익 전년比 최대 224% 증가와 미국 벤처글로벌 LNG선 12척 발주(4조 3,000억원) 및 중국산 선박 규제 강화로 수혜를 받았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원달러 환율 상승(1466.5원)으로 실적 호조도 지속 될 전망입니다.
▶출처: 네이트뉴스 보도>>>>> " 미중 갈등 수혜' 조선 빅3, 1분기 실적 전망도 장밋빛 "
2025.04.16 - [키워드 이슈 종목] - 화상회의 알래스카 LNG 관련주 6종목
2025.04.16 - [뉴스 종목] - 트럼프 희토류 수입 안보 조사 관련주 5종목
2025.04.09 - [오늘의 특징주] - 함정 동맹 부각 조선 관련주 상승세
2025.04.13 - [뉴스 종목] - 미 조선업 재건 | 조선 관련주 6종목 상승
2025.03.19 - [오늘의 특징주] - 알래스카 LNG 조선 관련주 6종목
1. HD현대미포
1-1. HD현대미포(010620)가 "미중 갈등 수혜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구체적인 이유
① 미국의 대중국 선박 규제 강화로 인한 수혜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수료 부과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르면 2025년 4월 중으로 정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중국 선사 소속 선박은 100만 달러,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은 150만 달러의 수수료가 부과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미국 LNG 업체인 벤처 글로벌은 중국 조선소를 제외하고 한국 조선 3사(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에 LNG선 12척(옵션 8척 포함)을 발주했습니다. HD현대미포는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 역량을 인정받아 수혜를 받았습니다.
② LNG 운반선 수요 증가 및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확대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수출 정책에 따라 LNG 운반선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HD현대미포는 2024년 8월 그리스 기업으로부터 국내 최초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4척을 수주했으며, 2025년 4월 기준 누적 수주액은 목표 대비 58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18만 ㎥급 LNG운반선 건조 단가는 2억5,000만~2억6,000만 달러로,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③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실적 호조
2025년 1분기 원달러 환율은 1,466.5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2% 상승했습니다. HD현대미포는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 상승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를 누렸습니다. 2024년 3분기 매출 1조776억원, 영업이익 352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한 바 있으며, 2025년 1분기에는 영업이익률 3.5%를 달성했습니다.
1-2. HD현대미포(010620)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① 중형 선박 건조 분야 세계 1위
HD현대미포는 중형 유조선(P/C선), LPG 운반선, Feeder 컨테이너선 등 중형 선박 건조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기준 수주 잔량은 58억달러로, 주력 제품인 PC선과 LPG운반선이 70% 이상을 차지합니다.
② 친환경 선박 기술 선도
2024년 8월 국내 최초로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LCO₂) 건조에 착수했으며, 2026년 하반기까지 4척을 인도할 계획입니다. 내빙 설계 기술(Ice Class 1C)을 적용해 극한 환경에서도 운항이 가능한 점이 경쟁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③ 빠른 생산 주기와 높은 생산 효율성
PC선과 Feeder 컨테이너선의 평균 건조 기간은 17~23개월로, 대형 선박(25~30개월) 대비 단축되었습니다. 2024년 3분기 생산성 목표를 1~2% 초과 달성했으며, 숙련공 비중 확대를 통해 추가 효율성 개선이 예상됩니다.
1-3. HD현대미포(010620)의 주요 사업 계획
①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시장 선점
2026년까지 총 4척의 LCO₂ 운반선을 건조해 탄소 포집·저장(CCS) 시장에 대응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수요 증가를 겨냥한 전략입니다.
② LNG-FSU(부유식 저장 설비) 사업 확장
2025년 하반기부터 LNG-FSU 프로젝트를 통해 신에너지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해양 플랜트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평가받습니다.
③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설비 투자
2025년 2분기까지 500억원 규모의 신규 설비를 도입해 자동화 공정을 확대합니다. 이를 통해 연간 생산량을 기존 대비 15% 증가시키고, 영업이익률 5%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1-4. HD현대미포(010620)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종합 평가
HD현대미포는 미중 갈등과 글로벌 에너지 전환 수요를 효과적으로 활용 중입니다. 2025년 1분기 조선 빅3(HD현대중공업, HD현대삼호, HD현대미포)의 누적 매출은 12조3,659억원으로 전년 대비 최대 224% 성장했습니다. 특히, 고부가가치 선박 비중 확대와 생산성 개선으로 영업이익률이 꾸준히 상승 중입니다.
투자 포인트
- 실적 개선 가시화 : 2025년 3분기부터 고가 수주분 본격 인도로 영업이익률 5.2% 전망.
- 밸류에이션 메리트 : 2025년 예상 P/B 2.0배로 동종 업계 평균(2.5배) 대비 저평가됨.
- 리스크 요인 : 원자재 가격 변동성 및 중국 조선소의 가격 경쟁력 회복 가능성.
2. HD한국조선해양
2-1. HD한국조선해양(009540)이 "미중 갈등 수혜 조선"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① 미국의 중국 조선업 규제 강화로 수혜 기대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025년 4월 중국의 조선업 불공정 관행 조사를 시작하며, 이는 중국산 선박 수요 감소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선주들의 발주가 한국 조선사로 재편되면서 HD한국조선해양을 비롯한 국내 조선 3사가 반사 이익을 얻을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② 벤처글로벌 LNG 12척 발주로 실적 견인
2025년 4월 미국 LNG 기업 벤처글로벌이 17만 4,000㎥급 LNG 운반선 12척(약 4조 3,000억 원 규모)을 국내 조선사에 발주했습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자회사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삼호를 통해 수주 경쟁력을 확보하며,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비중을 높이고 있습니다.
③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실적 호조 전망
2025년 1분기 원달러 환율은 1,466.5원으로 전년 대비 12.6% 상승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의 해외 매출 비중이 80% 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환차익 효과로 영업이익률 추가 개선이 예상됩니다.
2-2. HD한국조선해양(009540)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① 친환경 선박 기술 리더십
HD한국조선해양은 LNG·암모니아 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미국 휴스턴 해양 원자력 서밋에서 SMR(소형모듈원전) 기술을 적용한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 설계를 공개하며 혁신적인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② 수주 잔고 기반 안정적 매출 성장
2025년 1분기 기준 HD한국조선해양의 수주 잔고는 450억 달러로, 이는 3년 치 매출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고선가 LNG선 및 컨테이너선 비중 확대로 2025년 매출 28조 7,000억 원(YoY +13.9%)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조선 클러스터 활용 생산 효율화
울산·거제 등 국내 조선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로봇·자동화 설비 투자를 확대해 생산성을 개선 중입니다. 2025년 4월 발표된 1분기 실적에서 영업이익률 12.7%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436.3% 성장한 것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2-3. HD한국조선해양(009540)의 주요 사업계획
① 미국 시장 진출 확대
2025년 하반기 미군 함정 유지보수(MRO) 사업 참여를 위해 현지 협력사를 모색 중입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필리핀 조선소와의 협력을 통해 미 관공선 건조 및 수리 사업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② 차세대 에너지 선박 개발 가속화
2030년까지 암모니아·수소 추진선 상용화를 목표로 R&D 투자를 확대합니다. 2025년 2월 ABS 선급으로부터 원자력 추진선 기본인증(AIP)을 획득하며 기술 검증을 완료했습니다.
③ 주주환원 정책 강화
2027년까지 순이익의 30%를 배당으로 환원하고, 잉여현금흐름의 50%를 자사주 매입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8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을 지속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2-4. HD한국조선해양(009540)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종합 평가
HD한국조선해양은 미중 갈등으로 인한 수혜,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원달러 환율 상승 등 3대 호재가 중첩되며 실적 성장세가 뚜렷합니다.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8,592억 원(전년比 +436%)을 기록하며 조선업 수퍼 사이클 진입을 입증했습니다.
투자 포인트
- 기술 경쟁력: LNG·암모니아 추진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비중 70% 이상.
- 재무 안정성: 2025년 예상 PER 6.8배로 업계 평균(14.5배) 대비 저평가됨.
- 성장성: 2027년까지 매출 34조 원 목표 설정(연평균 성장률 12.8%).
3. 한국카본
3-1. 한국카본(017960), "미중 갈등 수혜 조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LNG 운반선 단열재 시장에서의 독보적 입지
한국카본은 LNG 운반선 화물창의 핵심 부품인 초저온 단열재를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중 갈등으로 인해 미국의 LNG 수출 확대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글로벌 조선사들의 LNG선 수주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한국카본은 국내 조선 3사(삼성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에 단열재를 공급하며 시장 점유율을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국내 조선사의 LNG선 수주량은 전년 대비 224% 증가했으며, 이는 한국카본의 실적 개선으로 직접 연결됩니다.
②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수혜 기대
미국 정부의 중국산 선박 규제 강화로 인해 한국 조선업계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졌습니다. 특히 한국카본은 중국 업체 대비 기술력과 품질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미국 벤처글로벌사의 LNG선 12척(약 4조 3,000억원 규모) 발주 시장에서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사에 따르면, 중국의 저가 공세에도 불구하고 고부가 제품 생산 체계를 갖춘 한국카본은 가격 경쟁력보다 기술력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③ 수주 잔고 증가와 실적 개선 전망
2025년 1분기 한국카본의 수주 잔고는 약 9,3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는 조선 빅3의 LNG선 수주 강세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향후 1년간 추가 수주 예상량은 9,300억원에 달하며, 이는 매출 증대와 함께 영업이익률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됩니다.
3-2. 한국카본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① LNG 단열재 사업의 고부가화
한국카본은 LNG 운반선용 단열재 시장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개발한 Mark III Type 이차방벽 소재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로, 국제 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 제품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해당 제품의 판가는 최근 3년간 연평균 15% 상승하며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② 탄소섬유 복합소재의 다각화
카본프리프레그(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사업은 항공우주, 전기차 부품, 스포츠 용품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중입니다. 2023년 말 완료된 한국신소재와의 합병을 통해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제조 기술을 통합했으며, 이는 원가 절감과 신제품 개발 속도 향상으로 이어졌습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합병 후 R&D 비용은 20% 감소한 반면 매출은 12% 증가했습니다.
③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협력
한국카본은 캄보디아에 조림지를 확보해 탄소배출권 사업을 준비 중이며, 이를 통해 ESG 경영 강화와 함께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계획입니다. 또한 미국과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으며, 최근 2분기 해외 매출 비중은 35%로 전년 대비 10%p 증가했습니다.
3-3. 한국카본의 주요 사업 계획 3가지
① 생산 설비 확장을 통한 공급 능력 강화
2025년 상반기까지 LNG 단열재 생산라인을 추가로 증설할 예정입니다. SK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이는 기존 대비 생산량을 40% 증가시켜 2026년까지 1조 2,000억원의 매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중국향 물량 납품 확대를 위해 저장창고를 확보하는 등 물류 인프라 투자도 진행 중입니다.
② 방산·우주 분야 신규 진출
한국신소재와의 합병을 통해 방산용 복합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항공우주청과의 협약을 체결했으며, 2025년부터 위성 구조체 소재 시험 생산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해당 분야는 연평균 30% 성장이 예상되는 고성장 시장입니다.
③ 원가 절감을 위한 수직 계열화
원재료인 MDI(폴리우레탄 원료)의 가격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생산라인 구축을 검토 중입니다. 현재 MDI 구매 비용은 매출의 25%를 차지하지만, 자체 생산이 가능해질 경우 영업이익률을 5%p 이상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 강점
- LNG 단열재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와 기술력
- 조선업 슈퍼사이클 지속에 따른 수주 잔고 증가
-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한 친환경 제품 포트폴리오
▶ 리스크
- 중국 업체의 기술 추격 가능성
-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따른 수익성 압력
4. 세진중공업
4-1. 세진중공업이 미중 갈등 수혜 조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조선기자재 시장의 독보적 경쟁력
세진중공업은 국내 유일의 LPG 탱크 제조업체이자 글로벌 1위 Deck House 공급사입니다. 미중 무역 갈등으로 중국산 선박 규제가 강화되며, 국내 조선사의 수주 증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고부가가치 선종인 LNG·LPG 운반선 발주 확대에 따라 세진중공업의 탱크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2025년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로의 탱크 납품량이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할 전망입니다.
② 친환경 선박 수혜 주도
IMO(국제해사기구)의 환경규제 강화로 LCO2(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 및 LNGBV(액화천연가스 추진선)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진중공업은 50T C-type 후판을 활용한 LCO2 탱크 제조 기술을 보유하며, 이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HD현대미포와 207억 원 규모의 LCO2 탱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성장 동력을 확보했습니다.
③ 수익성 개선과 실적 성장 기대
2024년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4.2% 증가한 42.59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고마진 탱크 제작 비중 확대와 생산 효율화로 2025년 영업이익률 10% 돌파가 예상됩니다. 다올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예상 영업이익은 32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4-2. 세진중공업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① HD현대그룹과의 강한 협력 관계
세진중공업은 2004년부터 HD현대중공업 및 HD현대미포에 Deck House와 LPG 탱크를 독점 공급해왔습니다. 2023년 기준 매출의 70% 이상이 HD현대그룹에서 발생하며, 이는 안정적인 수주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울산 온산공단에 위치한 20만 평 규모의 생산 시설은 대량 생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② 다변화된 고객사 확보
기존 HD현대그룹 외에도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타 조선사로의 납품을 확대 중입니다. 2023년 삼성중공업에 VLAC(초대형암모니아운반선) 탱크 초도물량을 납품하며 시장 다각화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중국 조선소 대비 기술력 우위를 바탕으로 한 결과입니다.
③ 기술 혁신을 통한 시장 선점
세진중공업은 액체수소 화물창 모형 제작 및 소재 개발에 참여하는 등 미래 에너지 시장을 대비하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기준, 해양 부유식 풍력발전용 하부구조물(OSS) 제작에도 참여하며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 중입니다.
4-3. 세진중공업의 주요 사업 계획 3가지
①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한 매출 증대
2023년 450억 원을 투자해 생산 시설 현대화를 완료했습니다. 기존 15만 평 규모의 본사 부지에서 연간 5,000억 원 이상의 매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베트남 법인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도 적극 검토 중입니다.
② LCO2 탱크 시장 선점
글로벌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수요 증가에 대응해 LCO2 운반선 탱크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2025년까지 HD현대미포에 22K LCO2 탱크 10척 이상 납품할 계획이며, 이는 연간 300억 원 이상의 추가 매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③ 신성장 동력 발굴
LNG 연료탱크(FGSS)와 해양플랜트 모듈 사업을 통해 수익 다각화를 추진합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500억 원 규모의 신규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조선 사업 대비 20% 이상 높은 마진율을 제공할 전망입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세진중공업은 미중 갈등과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라는 양대 메가트렌드에 힘입어 중장기 성장이 예상됩니다. 2025년 예상 PER은 13.9배로 업계 평균(18.5배) 대비 저평가되어 있으며, 목표주가 범위는 10,000~11,000원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주요 투자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익성 개선: 고마진 탱크 비중 확대와 원가 효율화로 영업이익률 10% 돌파 예상.
- 안정적인 수주 잔고: HD현대그룹의 2025년 조선 수주 잔고 780억 달러(약 1,040조 원) 기반.
- 배당 매력: 2024년 예상 현금배당수익률 2.68%로 조선 업계 최고 수준.
단기적으로는 원자재 가격 변동과 환율 리스크가 도전 요인이나, 장기적인 에너지 전환 수요를 고려할 때 2025~2026년 본격적인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전문가들은 "조선 업황 호조가 2027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세진중공업에 대한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5. HD현대마린엔진
5-1. HD현대마린엔진, "미중 갈등 수혜 조선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미국의 대중 규제 강화로 수주 물량 유입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025년 4월 중국산 선박에 대한 항만세 부과를 확정하며, 중국 조선소의 수주 경쟁력이 약화되었습니다. 이에 글로벌 해운사들이 한국 조선소로 발주처를 전환하면서 HD현대마린엔진은 LNG선 및 컨테이너선용 엔진 수요 증가로 직접적인 수혜를 입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HD현대마린엔진의 수주액은 전년 대비 371% 급증한 1조 587억 원을 기록하며 호조를 이어갔습니다.
② 중국 조선소의 엔진 공급 부족 대체 수요
중국 조선소의 DF엔진(이중연료 엔진) 공급 여력이 부족해지면서 한국산 엔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HD현대마린엔진은 수주잔고의 80% 이상을 DF엔진이 차지하며, 중국발 수요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중국의 LNG선 발주 증가로 인해 HD현대마린엔진의 2025년 예상 매출은 전년 대비 34% 증가할 전망입니다.
③ HD현대그룹 편입으로 인한 시너지 확대
2024년 HD현대그룹에 편입된 이후, HD현대중공업 및 HD한국조선해양과의 협력을 통해 생산 효율성과 수주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그룹 내 계열사로부터의 캡티브 물량(내부 수주)이 2025년 1분기 1,329억 원에 달하며, 이는 전체 수주의 30%를 차지합니다. 이 같은 협력 체계는 향후 3년간 매출 성장률을 연평균 15% 이상으로 유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5-2. HD현대마린엔진의 3대 사업 특징
① 친환경 엔진 기술력으로 시장 선점
HD현대마린엔진은 LNG·LPG 이중연료 엔진 분야에서全球 2위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DF엔진 매출 비중은 89%에 달하며, IMO(국제해사기구)의 탄소중립 규제 강화에 대응한 고부가 제품 라인업을 확보했습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DF엔진의 단가는 기존 디젤엔진 대비 20~30% 높아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② 그룹 내 수직계열화로 원가 효율성 극대화
HD현대그룹의 크랭크샤프트·터보차저 등 핵심 부품 자체 생산 체계를 통해 원가 절감 효과를 실현 중입니다. 2024년 말 기준 부품 국산화율은 90%를 넘어섰으며, 이는 경쟁사 대비 15% 포인트 높은 수준입니다. 또한, HD현대마린솔루션과의 협력을 통해 애프터마켓(AS) 서비스 매출도 연간 20% 이상 성장하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선박 개조 시장 공략
기존 선박의 친환경 개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HD현대마린엔진은 FSU(부유식 저장 설비) 및 EPLO(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친환경 개조 관련 매출은 전년 대비 92.4% 증가한 583억 원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의 13%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Clean Shipping Act 발효를 앞두고 2026년까지 해당 분야 매출이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5-3. HD현대마린엔진의 3대 핵심 사업 계획
① 생산 능력 확장을 통한 수주 대응
2025년 상반기 창원공장 증설에 802억 원을 투자해 연간 생산 능력을 140만 마력에서 200만 마력으로 확대합니다. 이는 2024년 대비 43% 증가한 규모로, 중국 조선소의 엔진 공급 부족 분을 메우기 위한 전략입니다.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이 투자를 통해 2026년 매출은 4,369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디지털 솔루션과 AI 기술 접목
AI 기반 탈탄소 경제운항 솔루션 '오션와이즈'를 2025년 1월 국내 선사에 공급하며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해당 솔루션은 연료비를 12% 절감하는 효과가 입증되어, 2025년 말까지 50척 이상의 선박에 적용될 계획입니다. 또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지 정비 시스템 도입으로 고객사의 유지보수 비용을 30% 절감할 예정입니다.
③ 신흥 시장 진출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중동 및 동남아 시장 공략을 위해 2025년 말까지 두바이와 싱가포르에 현지 법인을 설립합니다. 특히, 카타르의 LNG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2026년까지 2조 원 규모의 추가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해외 매출 비중은 45%에서 60%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HD현대마린엔진은 미중 갈등과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라는 양대 메가트렌드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2025년 예상 영업이익은 517억 원으로 전년 대비 55.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증권사 평균 목표가는 37,667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30% 이상의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
- 단기: 미국의 대중 규제 지속에 따른 수주 증가
- 중기: 그룹 내 시너지로 인한 가동률 상승(현 57.7% → 2026년 90% 목표)
- 장기: LNG·수소엔진 등 미래형 동력원 기술 개발
6. HD현대중공업
6-1. HD현대중공업(329180)이 미중 갈등 수혜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미국 정부의 중국 조선업 규제 강화로 인한 수주 전환 효과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024년 12월 중국 조선업의 불공정 관행 조사를 시작하며, 중국산 선박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 중입니다. 이에 글로벌 선주사들은 중국 조선소 발주를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되었고, HD현대중공업은 LNG선,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를 급증시키며 대체 수요를 흡수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수주잔고는 151척(약 43.6억 달러)으로 3.5년치 물량을 확보했습니다.
② 중국 조선사의 메탄올 추진선 주문 연기로 인한 기회 확대
글로벌 2위 해운사 머스크는 중국 조선소에 발주한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15척 주문을 연기하며, HD현대중공업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대체 발주가 예상됩니다. 2027년 탄소 규제 시행을 앞두고 친환경 선박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HD현대중공업은 메탄올·암모니아 이중연료 엔진 기술로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습니다.
③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실적 호조 기대
2025년 4월 기준 원달러 환율은 1,466.5원으로, 전년 대비 12% 상승했습니다. HD현대중공업의 해외 매출 비중이 80% 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환차익으로 인한 영업이익 개선 효과가 큽니다. 2025년 1분기 영업이익은 4,3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36% 증가하며 환율 호조세를 반영했습니다.
6-2. HD현대중공업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① LNG 운반선 및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 역량
HD현대중공업은 전 세계 LNG 운반선 시장 점유율 40%를 차지하며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111척의 LNG·LPG 운반선을 수주했으며, 벤처 글로벌로부터 12척(약 4.3조원 규모)의 추가 발주를 유치할 전망입니다.
② 엔진기계 사업의 글로벌 경쟁력
대형 선박용 엔진 시장에서 35% 점유율을 기록하며 Wärtsilä(핀란드)와 경쟁 중입니다. 2024년 말 기준 힘센엔진 누적 생산량 1만 5천대를 돌파했으며, 메탄올·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 전환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③ 군함 및 특수선 건조 실적
대한민국 해군의 차기 구축함(KDDX) 사업과 필리핀 초계함 2척 건조를 수주하며 방산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전투용 무인수상정(USV) 개념설계를 완료할 예정으로, 유무인 복합전력 체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6-3. HD현대중공업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① 무인수상정 개발 및 AI 기술 접목
2025년 4월 해군본부로부터 전투용 무인수상정 개념설계 사업을 수주했습니다. 안두릴 인더스트리(미국 AI 방산기업)와 협력해 자율운항·표적식별 기술을 개발 중이며, 2026년까지 시범 모델을 공개할 계획입니다.
② 친환경 선박 수주 확대를 위한 R&D 강화
메탄올·암모니아 이중연료 엔진 양산 체계를 구축하고, 2025년 말까지 20척 이상의 친환경 선박 인도를 목표로 합니다. 2027년 IMO 탄소 규제에 대비해 선박 디자인 표준화를 진행 중입니다.
③ 해양플랜트 프로젝트 공략으로 매출 다각화
멕시코 Trion 유전 FPU(부유식 생산설비) 공정을 2025년 하반기 착수하며, 해양플랜트 부문 매출을 18.8억 달러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중동 및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해상풍력발전 설비 수주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6-4. HD현대중공업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종합 평가
HD현대중공업은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수혜, 탄탄한 수주 잔고(151척), 원달러 환율 상승 등 3박자가 맞아떨어지며 2025년에도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입니다. 증권사 10곳 중 8곳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 의견.
투자 포인트
- 단기: 2025년 2분기 실적은 매출 4.2조원(+22% YoY), 영업이익 5,200억원(+89% YoY) 전망(에프앤가이드 컨센서스 기준).
- 중장기: 2027년까지 친환경 선박 수주 비중 70% 확대 및 해양플랜트 매출 2조원 돌파 목표.
- 리스크 관리: 중국의 저가 공세와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을 염두에 둔 수익성 중심의 선별 수주 전략 유지.
2025.02.13 - [오늘의 특징주] - 미해군 조선 관련주 5종목, 美 해군 동맹국 건조 법안 발의
2025.02.15 - [오늘의 특징주] - SMR 추진선 관련주 6종목, 소형 모듈 원전 기술 적용
2025.01.06 - [분류 전체보기] - 조선(친환경) 관련주 5종목, 조선 빅3 동반 흑자 올해 친환경 선박으로 기대
2025.01.13 - [뉴스 종목] - 美해군 MRO 관련주 5종목, 신규건조까지 350조 블루오션
2024.12.27 - [뉴스 종목] - 조선 관련주, 미국 이어 인도 정부도 K-조선에 러브콜
'뉴스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로 24% 성장한 통신 3사 관련주 투자 포인트 (1) | 2025.04.27 |
---|---|
K뷰티 해외법인 관련주, ODM기업 고객수 국내 추월! (1) | 2025.04.25 |
미중 무역전쟁 완화 전망에 반도체주 6종목 강세 (3) | 2025.04.24 |
이재명 STO 법제화 원년 관련주 6종목 전망 (2) | 2025.04.20 |
이재명 웹툰 도서관 방문 관련주 6종목 상승 (6) | 2025.04.17 |
K-뷰티 선크림 사재기 관련주 TOP6 (1)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