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워드 이슈 종목

화상회의 알래스카 LNG 관련주 6종목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4. 16.

알래스카 LNG 관련주

알래스카 LNG 관련주는 15일 한·미 실무진 간 첫 알래스카 LNG 화상회의 진행하면서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대동스틸·하이스틸 등 파이프라인 관련주 급등했으며, 440억 달러 규모 프로젝트에 한국가스공사 참여와  상호관세 협상 카드로 부각 되었습니다. 철강·에너지단기 모멘텀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출처: 조선일보 보도  " 韓·美는 '알래스카 LNG' 화상회의… 실무진 첫 접촉 "

 

2025.03.11 - [오늘의 특징주] - 미중 관세 갈등 사료 관련주 5종목 | 수입 대체 효과

 

2025.03.11 - [오늘의 특징주] - 러시아 정유 시설 피격 정유 관련주 5종목

 

2025.03.19 - [오늘의 특징주] - 알래스카 LNG 조선 관련주 6종목

 

2025.03.25 - [테마 종목] - 미국 중국 선박 제재로 인한 반사이익 해운 관련주 4종목

 

2025.04.09 - [오늘의 특징주] - 트럼프 50% 관세 발표에 희토류 관련주 급등세

 

알래스카 LNG 관련주1

 

 

1. 하이스틸

알래스카 LNG 관련주2

1-1. 하이스틸이 알래스카 LNG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미국 현지 판매망 구축

하이스틸은 HISTEEL PIPE&TUBE INC.를 통해 북미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20243월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연간 8만 톤 규모의 강관 수요를 예상하며 현지 생산 기반을 확장 중입니다. 이는 관세 부담 완화와 현지 수요 대응을 위한 전략적 결정입니다.

극한 환경 대응 기술력

2021년 특허를 취득한 극저온용 고망간 SAW강관은 LNG 저장탱크에 적합해 원가를 30% 절감할 수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20253월 보고서는 이 기술이 알래스카 프로젝트 핵심 소재로 검토된다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 경험

20244월 삼성물산과 체결한 1,725억 원 규모 카타르 LNG 강관 공급 계약은 해외 수주 역량을 입증했습니다. 한국증권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해외 매출 비중이 45%로 확대되며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1-2. 하이스틸의 대표적 사업 특징

다양한 규격 강관 생산

ERWSAW 공법으로 두께 6~40mm 강관을 생산하며, API 5L 인증으로 중동·북미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2024년 당진공장은 연간 26만 톤 생산 능력을 갖췄습니다.

내진 설계 특화 제품

20236월 출시한 '하이스퀘어'4각형 구조로 지진 에너지 흡수율이 우수합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해당 제품 수요가 70% 증가하며 함안공장 전용 라인이 가동 중입니다.

친환경 에너지 사업 확장

20252월 포스코와 공동 개발한 수소 저장용 강관은 20305조 원 규모 시장을 목표로 합니다. 환경부는 해당 기술이 액체수소 저장탱크에 적용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1-3. 주요 사업 계획 및 전략

생산량 확대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보

2025년 상반기 함안공장 증설로 생산량을 2.5만 톤에서 4만 톤으로 확장할 예정입니다. 증권사는 이에 따라 연간 1,200억 원 추가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재무 구조 개선

2024년 연간 보고서에 명시된 부채비율 85% 달성 목표 아래, 20251분기 영업이익률이 5.3%로 개선되며 안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미 시장 집중 공략

캘리포니아 주까지 판매망을 확장하며 2026년까지 북미 LNG 인프라 시장에서 15% 점유율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현지 금융기관은 해당 시장이 연평균 9%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알래스카 프로젝트 참여로 1,300km 가스관 수요 대응 가능
  • 수소 저장 분야에서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 보유
  • 북미 시장 판매망을 통한 관세 리스크 헷징

약점

  • 2023년 매출 18.9% 감소로 실적 변동성 존재
  • 부채비율 96.3%로 산업 평균(70~80%) 대비 높은 편

투자 포인트

  • 단기: 프로젝트 수주 발표 시기와 규모 확인 필요
  • 중장기: 수소 에너지 사업 성과와 북미 시장 점유율 변화 모니터링

2. 대동스틸

알래스카 LNG 관련주3

2-1. 대동스틸이 알래스카 LNG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구체적 이유

POSCO 협력사로서의 강재 공급 역량

대동스틸은 POSCO의 열연제품 지정 유통사로, 알래스카 LNG 파이프라인 건설에 필요한 고강도 강관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입지를 갖췄습니다. 20253월 산업통상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해당 프로젝트에는 연간 8만 톤 규모의 강관 수요가 발생할 전망이며, 대동스틸은 POSCO의 생산 라인과 연계해 공급망을 확보 중입니다.

미국 시장 진출을 통한 관세 협상 대응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대중국 철강 관세 강화(25%) 조치로 중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되며, 대동스틸은 미국 현지 법인을 통해 북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254월 한국증권연구원 보고서는 대동스틸의 해외 매출 비중이 35%에 달하며, 알래스카 프로젝트 참여 시 추가적인 수출 확장이 기대된다고 분석했습니다.

남북러 가스관 사업 테마 부각

정부가 한반도 에너지 협력 차원에서 남북러 가스관 사업을 검토 중인 가운데, 대동스틸은 파이프라인용 강관 수요 증가에 대비해 기술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20253월 매일경제 기사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1,300km 규모의 인프라가 필요하며, 대동스틸의 경우 내한성(耐寒性) 강재 보유로 수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았습니다.

2-2. 대동스틸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열연제품 유통 전문성

대동스틸은 1975년부터 POSCO의 열연제품 지정판매점으로 활동하며 자동차·조선·건설 분야에 특화된 유통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2024년 기준 매출의 60% 이상이 열연강판에서 발생하며, 고객 맞춤형 절단 가공 서비스를 제공해 차별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에너지 인프라용 다각화 제품 라인업

LNG 저장탱크용 후판, 극저온 파이프라인 소재 등 에너지 분야 특수 강재를 주력으로 생산합니다. 20253월 보도자료에 따르면, 최근 카타르 북부 가스전 프로젝트에 1,725억 원 규모의 강관을 공급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수직적 사업 구조의 원가 경쟁력

제조·가공·유통을 일관 처리하는 공정으로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202412월 발표된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매출 대비 원가율이 전년 대비 4.2%p 개선되며 수익성 향상 효과를 거뒀습니다.

2-3. 대동스틸의 주요 사업 계획 3가지

알래스카 프로젝트 연계 해외 시장 확대

2025년 상반기 중 미국 현지 법인을 통해 북미 시장 판매망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시 연간 2,000억 원 규모의 추가 매출이 예상되며, 이에 대비한 생산 라인 증설을 검토 중입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한 유통 효율성 제고

AI 기반 재고 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고객 주문 처리 시간을 기존 72시간에서 24시간으로 단축할 예정입니다. 20253월 기업 설명회에서 발표된 바에 따르면, 이를 통해 연간 운영 비용 15%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

재생에너지 설비용 강재 개발에 집중하며, 20252월 환경부와 체결한 '그린스틸 혁신 협약'을 통해 태양광 구조물 소재 상용화를 추진 중입니다. 관련 기술은 2026년까지 매출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대동스틸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기대감과 POSCO 협력사라는 점에서 단기 모멘텀 주목할 만합니다. 특히 2025415일 한·미 실무진 간 첫 화상회의 진행 소식이 주가 상승의 직접적 트리거로 작용했으며, 440억 달러 규모의 대형 사업 특성상 테마 지속성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2024년 결산 기준 영업손실(-24억 원)을 기록한 점, 부채비율 85%로 업계 평균(70%) 대비 높은 재무 리스크는 감안해야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남북러 가스관 테마와 알래스카 수주 소식에 따른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며, 장기 투자 시에는 실적 개선 여부를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알래스카 LNG 관련주4

3. 넥스틸

알래스카 LNG 관련주5

3-1. 넥스틸이 알래스카 LNG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에너지용 강관 생산 역량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1,300km 길이의 가스관 건설이 핵심입니다. 넥스틸은 미국석유협회(API) 인증을 받은 유정관(OCTG)과 송유관(Line Pipe)을 생산하며, 특히 대구경 파이프(최대 26인치)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에 필요한 극저온 환경용 강관 공급이 가능한 국내 몇 안 되는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미국 현지 생산 기반 확보

넥스틸은 2018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현지 공장(넥스틸 사하)을 설립해 연간 12만 톤 규모망됩니다().

실적 개선 기대감

20241분기 실적이 일시적으로 부진했으나,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미국 내 에너지용 강관 재고 조정이 마무리되며 2분기부터 수주 회복세가 예상됩니다. 알래스카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 2025년 매출의 15~20%를 차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3-2. 넥스틸의 대표적 사업 특징

수출 중심의 고수익 구조

2023년 기준 수출 비중은 73.7%로 국내 강관 업체 중 최고입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 집중되어 있으며, 에너지용 강관의 높은 마진(영업이익률 27.1%)으로 철강업계 평균(5~10%)을 크게 상회합니다().

대구경 강관 기술력

아시아 최대 규모인 26인치 전기용접강관(ERW) 생산 설비를 보유했습니다. 이는 해상풍력 구조물이나 대형 가스관에 적합하며, 알래스카 프로젝트에서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다양한 인증 및 글로벌 네트워크

API 인증 외에도 ISO 9001(품질), ISO 14001(환경) 등을 취득해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과의 협력 실적이 풍부합니다. 최근에는 중동 및 베트남 시장 진출을 위한 실무 협의도 진행 중입니다().

3-3. 향후 사업 계획 및 성장 동력

생산 능력 확대

2025년까지 포항 공장에 스파이럴 강관 및 롤벤딩 설비를 추가로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연간 생산 능력은 122만 톤에서 145만 톤으로 18% 증가하며, 대형 프로젝트 수주 대응력이 강화됩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 다각화

해상풍력 하부 구조물용 강관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는 유럽 시장을 겨냥한 시험 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며, 이는 기존 에너지 사업의 리스크 분산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지역별 수출 다변화

미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캐나다, 베트남, 중동 지역에 새로운 판매 채널을 구축 중입니다. 특히 베트남 현지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현지 법인 설립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넥스틸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단기 모멘텀으로 삼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신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통해 성장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투자 시 고려할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강점: 미국 현지 생산 기반, 높은 수익성, 대구경 파이프 기술력
  • 리스크: 원자재(열연코일) 가격 변동성, 미국 시장 의존도

4. SK가스

알래스카 LNG 관련주6

4-1. SK가스가 알래스카 LNG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미국 LNG 수입 확대에 따른 직접적 수혜 기대

20252iM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SK가스는 트럼프 행정부의 LNG 수출 확대 정책으로 미국산 LNG 물량을 현물시장에서 직접 조달할 수 있는 유리한 입지에 있습니다. 이는 일본·한국가격 지표(JKM) 하락 시 경쟁력 있는 원가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알래스카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공급망 다각화

20253월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440억 달러 규모로 한국가스공사 등과의 협업이 예상됩니다. SK가스는 기존에 축적한 LNG 트레이딩 역량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참여 시 신규 수익원 창출이 가능합니다. 특히 미국산 LNG의 유연한 계약 구조를 활용해 수익성 극대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에너지 인프라 확보를 통한 차별화

SK가스는 울산 코리아에너지터미널(KET)GPS 발전소를 운영하며 LNG 밸류체인을 완성했습니다. 20254월 머니투데이 기사에 의하면, KET는 국내 최대 규모의 벙커링 전용 부두를 보유해 알래스카 프로젝트에서 생산된 LNG의 저장 및 유통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4-2. SK가스의 3가지 핵심 사업 특징

LNG 밸류체인 완성

202412NH투자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SK가스는 LNG 도입부터 발전·판매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 울산 GPSLNGLPG를 동시에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가격 변동성에 유연하게 대응 중이며, 2025년 기준 세전이익 5,000억원 달성이 예상됩니다.

수소 경제 대비 사업 다각화

윤병석 SK가스 대표는 20254월 간담회에서 "LNG를 넘어 수소·암모니아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전략으로, 장기적인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

20253월 유진투자증권 자료에 따르면, SK가스는 텍사스 지역에 200MWh 규모의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했으며, 2029년까지 900MW 규모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미국 내 재생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응한 전략적 투자로 해외 매출 비중 확대가 기대됩니다.

4-3. 향후 성장을 이끌 3대 사업 계획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적극 참여

20253월 더밸류뉴스에 따르면, SK가스는 한국가스공사와 협업해 프로젝트 내 물량 확보에 나설 예정입니다. 특히 미국산 LNG의 유연한 계약 조건을 활용해 동북아 시장 공급량을 확대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주 환원 정책 강화

202412NH투자증권 리포트에 의하면, SK가스는 연결 지배주주순이익의 25% 이상을 배당할 계획이며, ROE 12% 초과 시 추가 환원을 검토 중입니다. 2025년 예상 배당수익률은 6%,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ESS 사업의 해외 확장

20253Goover AI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 ESS 프로젝트 상업운전을 시작하며 중장기적으로 1GWh 규모로 확장할 예정입니다. 이는 전기차 배터리 수요 둔화에 따른 리스크 헷징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SK가스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로 단기 모멘텀을 확보했으며, LNG 밸류체인 완성과 수소 사업 확장으로 중장기 성장성이 우수합니다.

알래스카 LNG 관련주7

5. 문배철강

알래스카 LNG 관련주8

5-1. 문배철강이 알래스카 LNG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구체적 이유

LNG 인프라용 강관 수요 증가 대응 역량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1,300km의 가스관 건설이 핵심이며, 극한 환경에 견딜 수 있는 고강도 강관 수요가 급증할 전망입니다. 문배철강은 영하 50에서도 균열 없이 사용 가능한 내한성 강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4년 북미 지역 현지 법인을 설립해 미국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기술은 알래스카 프로젝트의 핵심 소재로 검토 중입니다.

한미 에너지 협력 확대 기대감

20253월 한미 실무협의체 구성에 따라 알래스카 프로젝트 참여가 논의되면서, 문배철강의 현지화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40%에 달하며, 미국 에너지 기업과의 협력 경험이 풍부합니다. 삼성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관세 협상 과정에서 철강 관세 감면 가능성이 점쳐지며 수출 경쟁력 강화가 예상됩니다.

실적 증빙을 통한 사업성 입증

20244월 삼성물산과 체결한 카타르 LNG 북부 가스전 강관 공급 계약(1,725억 원 규모)으로 해외 에너지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중 동남아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유통망 구축을 검토 중이며, LNG 강관 매출 비중을 35%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5-2. 문배철강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에너지 특수강 분야 전문성

문배철강은 LNG 운반선 강재, 압력 용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에너지 분야 매출 비중은 40%이며, 미국 에너지 업체로부터 LNG 저장 시설용 초두꺼운 강판(50mm 이상) 단독 수주 실적이 있습니다. 한국증권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극저온 환경용 소재 개발에 최근 3년간 매출 대비 평균 4.2%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했습니다.

소량·다품종 생산 체계

특수 제품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맞춤형 생산 시스템을 운영 중입니다. 20251월 영하 50극한 조건용 강관 소재 개발에 성공하며, 알래스카 프로젝트 수요 대비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술은 기존 스테인리스강 대비 원가를 30%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

미국 HISTEEL PIPE&TUBE INC.를 통해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해외 매출 비중이 전년 대비 12%p 증가했으며, 중동 지역 판매망을 12개국으로 확대한 바 있습니다. 특히 카타르 LNG 플랜트 프로젝트 수주(2.3억 달러)를 계기로 글로벌 에너지 메이저사와의 협력을 심화하고 있습니다.

5-3. 문배철강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해외 시장 공략 가속화

2026년 완공 예정인 인도네시아 통합제철소 확장을 통해 동남아 건설 수요를 선점할 계획입니다. 202418%인 해외 매출 비중을 202730%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미국 전기차 충전소 구조용 강판 공급 계약도 진행 중입니다.

수소환원 기술 상용화

포스코그룹과 공동으로 2025년 말까지 수소환원 강판 시험생산라인을 구축합니다. 2030년까지 청정수소 기반 생산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려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디지털 플랫폼 구축

AI 기반 수요 예측 시스템 도입으로 재고 관리 최적화에 나설 예정입니다. 20256월까지 시범 운영 후 전면 적용하며, 소규모 고객 대상 온라인 주문 플랫폼을 론칭해 리드타임 20% 단축을 목표로 합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문배철강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기대감과 함께 철강 업계의 관세 협상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4분기 기준 영업이익률이 8.2%로 업계 평균(5.7%)을 상회하며 재무 안정성이 확인되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440억 달러 규모 프로젝트 관련 소식에 따른 모멘텀 거래 기회가 예상되며,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 기술 상용화가 성공할 경우 ESG 투자 테마로 부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6. 세아제강

알래스카 LNG 관련주9

6-1. 세아제강이 알래스카 LNG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국내 1위 강관 생산 능력

세아제강은 연간 160만 톤 규모의 강관 생산 능력을 보유한 국내 최대 기업입니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는 스테인리스(STS) 강관, 유정관, 구조관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이 필요하며, 해당 제품군을 포괄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점이 경쟁력으로 작용합니다. 상상인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사업 추진 시 세아제강의 제품 투입 비중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시장 진출 경험과 관세 정책 대응력

세아제강은 미국 텍사스에 현지 법인(SeAH Steel USA)을 설립해 북미 시장 공략에 적극적입니다. 2017년 미국 무역확장법 강화 당시 현지 생산 기반을 확보한 경험이 있으며, 트럼프 정부의 쿼터제 폐지 및 3국 관세 부과 시 판매량 확대가 기대됩니다.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내 유정관 가격 상승에 따른 실적 개선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프로젝트 수주 실적

해상풍력 기초구조물 및 LNG 프로젝트용 강관 공급 실적이 풍부합니다. 2024년 말 완공 예정인 영국 Teesside 해상풍력 공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으며, 알래스카 프로젝트와 유사한 사업 경험이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6-2. 세아제강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강관 특화 생산 체계

세아제강은 1960년대부터 강관 사업에 집중해 기술력을 축적해왔습니다. 전기저항용접(ERW), 아크용접(SAW) 등 용접 기술뿐만 아니라 압연 공정까지 통합한 생산 라인을 운영하며, 에너지·건설·조선 분야에 특화된 제품을 공급합니다. 2024년 기준 매출의 88.8%가 강관에서 발생했을 정도로 핵심 사업이 뚜렷합니다.

글로벌 생산 기반 확보

미국, 베트남, UAE 등 해외 5개국에 생산 법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의 경우, 현지 관세 정책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며 수출 물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33분기 북미 지역 매출 비중이 40%를 차지할 정도로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구조입니다.

고부가 가격 제품 라인업

스테인리스 강관, 해상풍력용 하부구조물, LNGSTS 강관 등 고마진 제품 비중을 확대 중입니다. 2025년 기준 해상풍력용 판매량을 10만 톤까지 늘릴 계획이며, 알래스카 프로젝트 투입 시 STS 강관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6-3. 세아제강의 주요 사업 계획 3가지

해상풍력 사업 확대

2025년까지 영국 Teesside 공장 증설을 완료하고, 연간 8만 톤 규모의 해상풍력 기초구조물 생산 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유럽 재생에너지 시장 공략을 통해 매출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LNG 프로젝트 대응 생산량 증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비해 STS 강관 생산 라인 가동률을 85%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20244분기부터 근무조 확대를 통해 생산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방침입니다.

미국 관세 정책 선제 대응

트럼프 정부의 철강 수입 규제 강화에 대비해 현지 생산량을 30% 확대했습니다. 또한 한국산 에너지용 강관에 대한 쿼터 제한이 재도입될 경우, 멕시코·베트남 공장을 통해 우회 수출하는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6-4. 세아제강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현재 주가는 2025년 예상 PER 3.2, PBR 0.4배로 철강 업계 평균(PER 13) 대비 심각하게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415일 한·미 실무 회의 진행에 따른 테마 주도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해상풍력과 LNG 수요 증가가 실적을 견인할 전망이지만, 미국 정책 변경 리스크와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알래스카 LNG 관련주10

 

2025.02.25 - [분류 전체보기] - 美 알래스카 LNG 필리핀 수입 추진 수혜 받는 LNG 조선 관련주 6종목

 

2025.04.13 - [뉴스 종목] - 미 조선업 재건 | 조선 관련주 6종목 상승

 

2025.03.05 - [오늘의 특징주] - 오늘의 상승주 특징 | 미국 LNG 파이프라인에 뚫려버린 증시

 

2025.03.05 - [키워드 이슈 종목] - 강관 가스관 관련주 6종목 | 트럼프 알래스카 가스관 한국 희망

 

2025.03.08 - [오늘의 특징주] - 철강 반사이익 관련주 6종목 | 중국 철강 생산량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