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종목

AI로 24% 성장한 통신 3사 관련주 투자 포인트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4. 27.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는 20251분기 통신 3사 영업이익 24% 상승 전망이 나오면서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KTMSAI 협력으로 하반기 수익 개선 예상, SKT는 가산·울산 AI 데이터센터로 GPUaaS 사업 확장, LGU+AWS와 소버린 클라우드 개발로 B2B 시장 공략. 5G 마케팅 비용 감소와 AI 인프라 투자가 실적을 견인 해습니다. 

 

▶출처: 네이트뉴스 보도 >>>>>>>

"AI 돈되네"통신 3사, 1분기 실적 24% 개선 전망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1

 

2025.04.20 - [뉴스 종목] - 이재명 STO 법제화 원년 관련주 6종목 전망

 

2025.04.24 - [키워드 이슈 종목] - 주파수 경매 통신 관련주 6종목 특징

 

2025.04.02 - [오늘의 특징주] - 중국 드론택시 허가 관련주 6종목 상승

 

2025.04.15 - [키워드 이슈 종목] - 양자내성암호 시범사업 관련주 6종목 분석

 

2025.03.09 - [오늘의 특징주] - 위성 통신 우주항공 관련주 6종목 | 우크라 스타링크 대체 유텔샛

 

 

1. 피노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2

1-1. 피노가 AI 통신 관련주로 주목받는 세 가지 이유

통신 인프라 장비 공급 기업으로의 입지

피노는 이동통신 중계기, LTE 중계기, Giga AP 등 통신장비를 개발 및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SK텔레콤, KT, LGU+ 등 국내 주요 통신사와의 오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해왔습니다. 20251분기 통신 3사의 AI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면서 중계기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이는 피노의 실적 향상으로 직결될 수 있는 요인입니다. 실제로 20243분기 통신장비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155% 증가하며 성장세를 입증했습니다.

AI 기반 네트워크 솔루션 개발 참여

최근 피노는 AI 기술을 활용한 네트워크 최적화 솔루션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5G 기지국에 적용되는 AI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 전송 효율성을 높이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이는 통신사의 운영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 기사에 따르면, KT와의 협력을 통해 2025년 하반기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AI 소재 사업 확장

피노의 최대주주인 CNGR(글로벌 전구체 1위 기업)과의 협력은 AI 산업과의 접점을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CNGR은 배터리 소재뿐만 아니라 반도체 및 AI 칩용 고순도 금속 소재 분야에서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피노는 이러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AI 인프라에 필요한 특수 소재 공급망에 참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1-2. 피노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이차전지 전구체 공급 계약 체결

20249월 엘앤에프와 체결한 6만톤 규모의 NCM 전구체 공급 계약은 피노 사업 전환의 핵심 사례입니다. 해당 계약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되며, 연간 최대 12200억원의 매출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피노의 2023년 매출액(70억원) 대비 약 174배에 달하는 규모로, 사업 다각화의 성공적인 시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통신장비 사업의 지속적 성장

통신장비 부문은 피노의 전통적 강점 분야입니다. 20243분기 기준 매출의 39.8%를 차지하며, 5G 확산에 따른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155% 성장했습니다. 특히 SK텔레콤과의 장기 공급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하고 있으며, AI 기반 장비로의 기술 업그레이드를 통해 마진 개선을 추진 중입니다.

게임 사업을 통한 수익 다각화

모바일 게임 'Isekai: SkyFantasy' 출시로 콘텐츠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20243분기 게임 부문 매출은 7.5%를 기록하며 신규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향후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매출 확대를 계획 중이며, 이는 회사 전체의 수익 안정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1-3. 피노의 주요 사업 계획

2026년 전구체 자체 생산 체계 구축

포스코그룹과 협력해 2026년까지 국내 생산시설을 완공할 예정입니다. CNGR의 기술 지원을 받아 연간 11만톤 규모의 전구체를 생산할 계획으로, 이는 수입 의존도 감소와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는 총 3,600억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

2025년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2026년 본격적인 재활용 플랜트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ESG 경영 강화와 함께 니켈·코발트 등 희귀 금물 회수를 통해 연간 500억원 규모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AI 통신 솔루션 상용화

KT와 공동 개발 중인 AI 기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2025년 하반기 출시할 계획입니다. 해당 시스템은 기지국 운영 효율을 3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 시장 성공 시 동남아 시장으로의 확장을 검토 중입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피노는 전통적인 통신장비 사업과 신규 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시너지를 통해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CNGR과의 전략적 제휴는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될 것이며, 특히 2026년 자체 생산 체계 완성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단기적으로는 20251분기 엘앤에프 전구체 공급 시작에 따른 실적 호조가 예상되며, 장기적으로는 AI 통신 인프라 수요 증가가 추가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입니다.

투자 시 고려할 리스크 요인으로는 이차전지 소재 시장의 경쟁 심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있습니다. 또한 통신장비 사업의 경우 통신 3사의 투자 계획 변경 가능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적 발표와 주요 협약 이행 현황을 꾸준히 확인하시길 권장드리며,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신다면 포트폴리오 내 비중 조절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2. 우리로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3

2-1. 우리로(046970)AI 성장 통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광통신 핵심 부품 기술 보유

우리로는 100Gbps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광분배기와 광다이오드를 생산합니다. 이 기술은 5G 인프라와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수적이며, 국내 주요 통신사와 글로벌 기업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51분기 국내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인해 관련 부품 수주가 크게 늘었습니다.

양자암호통신 분야 선두 주자

단일광자검출기(SPAD) 기술을 활용해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의 핵심 부품을 개발했습니다. 2025CES에서 양자컴퓨팅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정부 주도의 양자암호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며, 일본 도시바 유럽 법인과의 협력을 통해 상용 광섬유 통신망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AI 인프라 수요 대응 역량

AI 학습용 초대규모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대응해 800Gbps 광트랜시버 모듈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2025년 말 샘플 출시를 목표로 하며, 이는 차세대 통신장비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 전략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1분기 국내 통신 3사 영업이익 24% 상승 전망이 AI 인프라 투자 확대와 직결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2-2. 우리로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광분배기 시장 기술적 리더십

우리로는 평판형 광분배기(PLC Splitter) 웨이퍼 생산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자랑합니다. WDM(파장분할 다중화) 기술을 적용한 제품은 400Gbps 이상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해 네이버·카카오의 데이터센터에서 꾸준히 발주를 받고 있습니다.

양자기술과의 시너지 강화

20251월 단일광자검출소자(SPAD) 기반 양자센서 개발을 완료했습니다. 이 기술은 양자암호통신뿐 아니라 자율주행 차량의 라이다(LiDAR) 센서로도 적용 가능해 신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미국 웨스턴디지털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고성능 저장장치(SSD)용 광다이오드 모듈을 공급 중입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35%로 확대되었으며,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법인 설립도 검토 중입니다.

2-3. 향후 사업계획 3가지

양자암호통신 부품 양산 체계 구축

20252월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광주 공장에 150억 원 규모의 시설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2026년까지 생산량을 기존 대비 300% 증가시켜 국내외 통신사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AI 데이터센터용 고밀도 광소자 개발

AI 학습용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대응해 800Gbps 광트랜시버 모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 말 샘플 출시를 목표로 하며, 이는 엔비디아·AMDGPU 서버와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입니다.

신규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M&A 전략

202411월 김국웅 대표는 "양자컴퓨팅 및 의료용 광센서 분야 인수합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반도체 검사장비 기업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수직 계열화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5G/6G, AI 데이터센터, 양자기술 등 3대 메가트렌드 수혜 가능성
  • 2025년 예상 매출 성장률 28%로 업계 평균(15%) 대비 높은 성장성
  • 2024년 4분기 기준 PBR 1.2배로 저평가된 가치주 특성

리스크

  •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불확실성으로 원자재 가격 변동성 노출
  • 양자기술 상용화 지연 시 실적 부진 가능성

투자 전략

단기적으로는 2025년 말 예정된 주파수 경매 관련 수혜주로서의 매수 기회를 노릴 수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양자암호통신 시장 성장 본격화 시점(2026~2027)을 겨냥한 편입이 유리합니다. 특히 AI 인프라 투자 확대와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를 고려할 때, 기술 선점 효과가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4

3. 다보링크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5

3-1. 다보링크가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구체적 이유

AI-RAN 기술 상용화를 통한 네트워크 최적화 솔루션 제공

다보링크는 Wi-Fi AP 및 게이트웨이 통신장비 제조 기업으로, AI 기반 네트워크 최적화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9월 엔비디아의 AI 에리얼 플랫폼 발표 이후 T모바일, 에릭슨, 노키아와 협력해 AI-RAN 상용화를 가속화하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는 AI와 통신 기술의 융합으로 네트워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5G AI 인프라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SKTLGU+를 포함한 국내 통신 3사는 20251분기 영업이익 24% 상승 전망에 맞춰 AI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사업 확장을 진행 중입니다. 다보링크는 통신사별로 차세대 Wi-Fi 6E/7 AP 장비를 공급하며, AI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핵심 장비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KT와의 Wi-Fi 7 기술 협력은 2024MWC에서 시연된 바 있습니다.

글로벌 통신사와의 협력을 통한 시장 확장

미국 버라이즌, 독일 도이체텔레콤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412월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아마존을 통한 B2C 시장 진출 및 월마트와의 오프라인 유통 협약으로 북미 시장 매출이 전년 대비 35% 증가했으며, 이는 AI 기술을 활용한 제품 경쟁력 덕분입니다.

3-2. 다보링크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국내 Wi-Fi AP 시장 점유율 30%의 강자

다보링크는 LG유플러스, KT 등 통신 3사에 Wi-Fi 6/6E AP 장비를 납품하며 국내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20241분기 기준 통신사 매출 비중은 전체의 55%를 차지하며, 공공기관용 AP 납품도 확대 중입니다.

B2C 시장 진출로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기존 B2B 중심에서 탈피해 20245월 미국 아마존을 통해 소비자용 공유기를 출시했으며, 독일과 영국 아마존 진출도 준비 중입니다. 또한 월마트와의 협의를 통해 오프라인 유통망을 확보하며 글로벌 시장 판로를 다변화했습니다.

R&D 투자를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

매출의 12%R&D에 투자해 Wi-Fi 7 및 초전도체 응용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2월 초전도체 신사업을 정관에 추가하며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보여주었습니다.

3-3. 다보링크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Wi-Fi 7 기술 기반 차세대 AP 상용화

2024MWC에서 KT와 공동으로 Wi-Fi 7 AP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2025년 상반기 양산을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Wi-Fi 7 시장 규모가 2027년까지 연평균 2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예상됩니다.

미주 및 유럽 시장 공략 확대

202412월 현재 미국 필라델피아에 전기차 충전기 조립공장을 설립 중이며,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독일 현지 법인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아마존 유럽(독일·영국)과 캐나다 진출을 통해 2025년 해외 매출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입니다.

초전도체 및 에너지 신사업 진출

20242월 초전도체 사업을 정관에 추가하며 아이엠첨단소재와의 협력을 통해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6월 미국 필라델피아 공항 전기차 충전기 사업에 참여하며 에너지 분야로의 사업 다각화를 시도 중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AI 및 5G 인프라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가능성
  • Wi-Fi 7 상용화로 선점 효과 기대
  • 해외 시장 다각화를 통한 성장성

리스크

  • 국내 통신사 의존도가 높아 수요 변동성 노출
  • 신사업 진출에 따른 초기 투자 부담

투자 포인트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2024년 연간 매출 700억원 중반 및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Wi-Fi 7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진출 성과가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최대주주 변경에 따른 경영권 불확실성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4. 텔콘RF제약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6

4-1. 텔콘RF제약이 AI 성장 통신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5G 인프라 구축을 통한 AI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

텔콘RF제약은 RF 커넥터 및 광케이블 어셈블리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합니다. 5G 기지국 설치에 필수적인 FTTA(Fiber-To-The Antenna) 솔루션 공급업체로, AI 데이터센터 구축 수요 증가와 연결됩니다. 최근 SK텔레콤이 가산·울산에 AI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며 GPUaaS(GPU as a Service) 사업을 확장하는 점을 고려할 때, 관련 부품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제약·바이오 분야의 AI 기반 신약 개발 협력

텔콘RF제약은 자회사 비보존을 통해 신약 개발에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치료제 '렌질루맙'의 국내 임상 승인 및 필리핀 판권 계약을 완료했으며, 미국 휴머니젠과의 협력을 통해 AI를 활용한 약물 효능 분석을 진행 중입니다. 이는 AI를 통한 신속한 신약 개발 프로세스와 연관됩니다.

통신사와의 간접적 협업을 통한 AI 생태계 참여

텔콘RF제약의 최대주주인 한일진공(현 뉴온)SK텔레콤과 협력해 AI 반도체 설계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텔콘RF제약은 이를 통해 AI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광학 부품 및 통신 장비 공급망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4-2. 텔콘RF제약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RF 부문: 5G 인프라 핵심 부품 공급

동남아 시장 진출을 통해 5G 기지국용 커넥터 및 광케이블 어셈블리를 공급합니다. 2024년 상반기 RF 부문 매출은 147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으며, 베트남 현지 법인을 통해 글로벌 수요를 흡수 중입니다.

제약 부문: 액상 제형 특화 생산 능력

KGMP 인증 시설에서 액상 현탁액 제제를 주력으로 생산하며, 2024년 제약 부문 매출 25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대형 제약사 위탁 생산 물량이 40% 이상 증가하며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바이오 투자: 에이비온 지분 확보를 통한 성장

항암제 개발사 에이비온의 지분 27.9%를 보유하며, 20251분기 기준 평가손익 122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에이비온의 c-MET 표적 항암제 'ABN401'이 미국 임상 2상을 진행 중인 점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합니다.

4-3. 텔콘RF제약의 주요 사업 계획

제약 생산 설비 증설로 매출 300억 원 달성 목표

20252분기까지 충주 공장에 50억 원을 투자해 액상 제형 생산 라인을 확충합니다. 이로 인해 연간 생산 능력이 30% 증가할 전망이며, 전문의약품(OTC) 비중을 50%까지 높일 계획입니다.

에이비온의 기술 이전(License-out) 지원

에이비온의 항암제 'ABN401'2025년 하반기 기술 이전을 목표로 합니다. 텔콘RF제약은 해당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열티 수익을 기대하며, 사전 협약 체결을 추진 중입니다.

5G-6G 연계 광커넥터 시장 선점

차세대 광커넥터 개발을 위해 202530억 원 규모의 R&D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3.6GHz 대역 분배장치 및 고주파 커넥터를 통해 AI 데이터센터 수요에 대응할 방침입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텔콘RF제약은 5G 인프라와 제약 부문의 시너지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으나, 유동성 리스크를 주의해야 합니다.

  • 강점: 제약 부문의 수익성 개선(영업이익률 15%)과 에이비온의 기술 성과가 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약점: 유동부채 697억 원으로 유동자산 대비 2.7배 초과하여 단기 자금 조달 압박이 우려됩니다.
  • 기회: 2025년 하반기 렌질루맙의 국내 허가 승인 시 제약 매출 100억 원 추가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 위협: 5G 장비 시장 경쟁 심화로 RF 부문 마진 축소 가능성이 있습니다.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7

5. RF머트리얼즈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8

5-1. RF머트리얼즈가 "AI로 성장하는 통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GaN 전력반도체 기술로 AI 데이터센터 전력 효율화 솔루션 제공

RF머트리얼즈는 질화갈륨(GaN) 기반 전력반도체 패키지 기술을 보유하며,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모 절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45월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GaN 기술은 기존 실리콘 대비 전력 손실을 30% 이상 줄일 수 있어 고속 충전기 및 5G 인프라에 필수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는 AI 반도체의 고성능화에 따른 열 관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콜드 플레이트 국산화로 AI 반도체 시장 선점

202464, RF머트리얼즈는 AI 반도체용 콜드 플레이트 양산 기술을 확보했다고 공개했습니다. 콜드 플레이트는 마이크로 채널 기술을 적용해 열 분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제품으로, 일본·독일·대만에 의존하던 기술을 5년간의 연구 끝에 국산화했습니다. Markets Glob 자료에 따르면, 해당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23,350만 달러이며,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연평균 15% 성장이 예상됩니다.

5G 및 군수용 패키지 사업 다각화

RF머트리얼즈는 5G 통신 장비용 패키지뿐만 아니라 군수용 적층 세라믹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 라인업을 확보했습니다. 2023년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군수용 패키지 매출 비중이 51%를 차지하며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또한, 40GHz 대역까지 지원하는 CQFN 패키지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초고주파 통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5-2. RF머트리얼즈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광화합물 반도체 패키지 제조 기술

RF머트리얼즈는 GaN, GaAs 등 화합물 반도체용 패키지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2023년 한국IR협의회 보고서에 따르면, Wolfspeed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패키지를 공급하며 연간 매출의 32%를 통신용 패키지가 차지합니다.

수직적 사업 확장 전략

자회사 RF시스템즈를 통해 군수용 절삭가공 및 유선통신기기 사업을 병행하며, 매출 다각화를 이루었습니다. 20241분기 기준 RF시스템즈의 매출은 전체 연결 매출의 51%를 차지해 리스크 헷징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R&D 투자를 통한 기술 선점

연매출의 7% 이상을 R&D에 투자해 2023년 레이저 모듈용 콜드 플레이트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패키지 제조를 넘어 방열 솔루션 사업으로의 영역 확장을 의미하며, AI 반도체 시장 진출의 초석이 되고 있습니다.

5-3. 향후 성장을 이끌 3대 핵심 사업계획

AI 반도체용 콜드 플레이트 공급 확대

2024년 하반기부터 AI 반도체 고객사를 대상으로 콜드 플레이트 본격 공급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미 레이저 모듈 분야에서 양산 레퍼런스를 확보한 만큼, AI 시장에서의 기술 검증 단계를 빠르게 넘어설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력반도체 패키지 글로벌 시장 진출

RF머트리얼즈는 Wolfspeed, Qorvo 등 해외 고객사와의 협력을 확대하며 유럽·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해외 매출 비중을 40% 이상으로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5G-6G 통신 인프라 사업 강화

2025년 상반기 중 60GHz 대역을 지원하는 차세대 패키지 개발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삼성전자·LG전자와의 협업을 통해 6G 테라헤르츠 통신 분야에서 선제적으로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려는 전략입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RF머트리얼즈는 기술력,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AI·5G 메가트렌드 수혜라는 3가지 강점을 갖췄습니다. 2024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8.5% 증가한 1,487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률은 1.5%로 소폭 개선되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콜드 플레이트 양산이 본격화되며 실적 가시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장기적으로는 화합물 반도체 시장이 20326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Fact.MR 전망을 감안할 때, 성장 동력이 충분하다고 평가됩니다.

투자 리스크로는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글로벌 경쟁사의 기술 추격을 꼽을 수 있으나, 국내 시장에서의 선점 효과와 군수·AI 사업의 안정성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보입니다.

 

 

※ 본 글은 단순 정보 제공 및 참고용으로 작성되었으며, 리서치 과정에서 오류나 오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이나 재정적 조언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AI로 성장 통신 관련주9

 

2025.02.27 - [뉴스 종목] - 현대차-삼성전자 5G 특화망 관련주 5종목, 레드캡 기술 실증

 

2025.02.15 - [오늘의 특징주] - 아이폰 SE4 관련주 5종목, 가격 인상 가능성

 

2025.01.25 - [오늘의 특징주] - 천리안 5호 우주항공 관련주 5종목

 

2025.02.10 - [뉴스 종목] - 달 탐사 관련주 5종목, 2050 유인 달 탐사 계획

 

2025.02.10 - [오늘의 특징주] - 폴더블 아이폰 관련주 6종목, 초기 물량 800만대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