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워드 이슈 종목

미 해군장관 방한 MRO 20조 조선주 배경과 전망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4. 27.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

MRO 조선 관련주는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이 내주 방한해 HD현대중공업 등 국내 조선소를 방문, 연간 20조 원 규모의 함정 MRO 협력을 논의할 예정입일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한국 조선업 협력 강화 의지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미 해군 군함 정비 사업 참여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조선 관련주 상승 모멘텀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출처: 조선일보 보도 >>>>>>

美해군장관, 이르면 내주 방한…조선소 방문할 듯

 

2025.04.25 - [뉴스 종목] - 2025 조선 빅3 1분기 실적 224%↑...미중 갈등 수혜 조선 관련주 6종목

 

2025.04.09 - [오늘의 특징주] - 함정 동맹 부각 조선 관련주 상승세

 

2025.04.10 - [분류 전체보기] - 美 관세 협상에 LNG 관련주 5종목 상승

 

2025.03.25 - [테마 종목] - 미국 중국 선박 제재로 인한 반사이익 해운 관련주 4종목

 

2025.03.19 - [오늘의 특징주] - 알래스카 LNG 조선 관련주 6종목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1

 

 

1. 한화오션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2

1-1. 한화오션이 MRO 조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미 해군과의 전략적 협력 체결

한화오션은 20247월 미 해군과 함정정비협약(MSRA)을 체결하며, 국내 최초로 미군 함정 MRO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이 협약은 미 해군 함정의 유지·보수·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의미하며, 20252월 첫 프로젝트인 '월리 쉬라함' 창정비 사업을 수주했습니다. MSRA 체결은 향후 추가 수주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실제 수주 실적을 통한 신뢰 구축

20252월 현재 한화오션은 미 해군으로부터 총 2척의 MRO 사업을 수주했으며, 2025년 중 최대 6척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특히 미 해군 MRO 시장은 연간 20조 원 규모로 추정되며, 기사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과의 경쟁 속에서도 공격적인 수주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현지 생산 기반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

한화오션은 2024년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 필리조선소를 인수해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했습니다. 이는 미 정부의 '존스법'* 개정 논의와 맞물려 외국 조선소의 미 군함 건조 가능성을 열어준 전략적 투자로 평가받습니다. 필리조선소는 향후 북미 지역 MRO 및 신조 사업의 핵심 거점으로 활용될 전망입니다.

*존스법: 미국 적십자법의 일종으로, 미 국내 항구 간 화물 수송은 미국 국적 선박으로만 가능하도록 규정

1-2. 한화오션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LNG 운반선 기술력 기반 수익성 개선

한화오션은 2024년 기준 전체 수주 잔고의 75% 이상을 LNG·LPG 운반선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51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LNG선 평균 선가가 5% 상승하며 수익성이 개선되었고, 카타르 1LNG 프로젝트 수주물량도 강재 가격 하락과 환율 효과로 중간 수준 마진을 기록했습니다.

방산 사업 다각화를 통한 성장 동력 확보

20253월 거제 사업장에 특수선 제4공장을 신축하며 잠수함 및 함정 건조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2025년 방산 부문 매출 목표를 1조 원 이상으로 설정했으며, 캐나다·태국 등 해외 수출 확대를 통해 2030년까지 매출 2조 원 후반 달성을 계획 중입니다.

해양플랜트 사업의 전략적 확장

2024년 싱가포르 다이나맥홀딩스를 인수해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 FPSO(부유식 원유 생산설비)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한화그룹의 플랜트 사업 통합으로 EPC(설계·조달·시공) 역량을 결합해 해양플랜트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1-3. 한화오션의 주요 사업 계획 3가지

MRO 사업 확대를 통한 안정적 수익 창출

2025년 미 해군 MRO 사업을 6척까지 확대하고, 중형 조선소와의 협업을 통해 도크 활용 효율성을 높일 예정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과의 경쟁에서 가격 경쟁력과 하청 네트워크를 활용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전략입니다.

해양플랜트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투자

20254월 기준 해양플랜트 부문에 7,200억 원을 투자해 FLNG·FPSO 표준화 모델을 개발 중입니다. 특히 미국 Next Decade사와의 협력을 통해 리오그란데 LNG 프로젝트 수주를 준비 중이며, 이는 2025년 하반기 실적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스마트 야드 구축을 통한 생산성 혁신

202510월 완공 예정인 스마트 크레인 및 반자동 폴딩 플랫폼을 도입해 블록 조립 시간을 20% 단축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연간 300억 원의 원가 절감 효과를 목표로 하며, 보고서에 따르면 2026년까지 생산성 15% 향상을 추진 중입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수주 잔고 안정성: 2025년 1분기 기준 수주 잔고 298억 달러로 2.5년 이상의 작업량 확보
  • 그룹 시너지: 한화그룹 내 방산·플랜트 사업과의 협력을 통해 해양플랜트 사업 경쟁력 강화
  • 정책 수혜: 미 정부의 조선업 지원 정책과 존스법 개정 논의로 MRO·신조 사업 기회 확대

리스크

  • ESG 관리: 2024년 근로자 사망사고로 인한 ESG 등급 하락(B+)이 경영 리스크로 작용
  • 과도한 기대감 반영: 2025년 2월 한국투자증권 리포트에서 "밸류에이션 설명 어려움"을 지적하며 투자의견 중립으로 하향

투자 포인트

  • 단기: 2025년 하반기 미 해군 MRO 추가 수주 및 LNG선 수주 물량 증가
  • 중장기: 2026년 필리조선소를 통한 미 군함 신조 사업 참여 및 해양플랜트 수익성 개선

2. 삼영엠텍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3

2-1. 삼영엠텍이 MRO 조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대형 선박엔진 부품 시장의 압도적 점유율

삼영엠텍은 선박엔진의 핵심 부품인 MBS(Main Bearing Support)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 기업입니다. 전 세계 시장 점유율 35%, 국내 시장 75%를 차지하며, HD현대중공업·HSD엔진 등 국내외 주요 조선사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MRO 사업 확대 시 수혜 가능성이 높은 포지션입니다.

중국 조선소 수주 증가에 따른 간접 수혜

2024년 하반기 중국 조선업체들의 선박 수주가 급증하며 삼영엠텍의 부품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중국 법인을 통해 현지 생산 기반을 확보한 점이 경쟁력으로 작용하며, 미 해군 군함 정비 사업 참여 시 추가적인 수주 확대가 예상됩니다.

친환경 선박 전환 수요 대응 능력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 강화로 이중연료(Dual Fuel) 엔진 부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삼영엠텍은 LNG 추진선용 압축기 주강품을 개발하며 친환경 부문에서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2-2. 삼영엠텍의 대표적 사업 특징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

주요 매출 구성은 선박엔진 구조재(50.2%), 플랜트 기자재(37.2%), 구조물 구조재(12.1%), 단일 산업 의존도를 낮췄습니다. 특히 철광석 소결 공정용 파레트카는 호주·브라질 등 글로벌 시장에서 독점 공급 중입니다.

기술 경쟁력과 품질 인증

1997년 삼성중공업에서 분사된 후 27년간 축적된 기술력으로 고품질 주강품을 생산합니다. 개재물 제어 주조기술 등 15건의 특허를 보유하며, 중국·일본 조선사의 엄격한 품질 검사를 통과한 실적이 있습니다.

안정적인 재무 구조

2023년 기준 부채비율 40% 미만, 유동비율 180% 이상으로 재무 안정성이 우수합니다. 20243분기 누적 매출 891억 원(전년 대비 +25.8%), 영업이익 68억 원(+38%)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입증했습니다.

2-3. 주요 사업 계획과 성장 전략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수주 전략

수익성이 높은 LNG·암모니아선용 부품 생산 비중을 2025년까지 60%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NH투자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이중연료 엔진 부품 매출이 전년 대비 4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 현지 생산 확대

대련삼영두산금속제품유한공사를 통해 현지 생산량을 2025170억 원 규모로 늘릴 예정입니다. 중국 내 조선·플랜트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신사업 진출을 통한 다각화

풍력발전 기어박스 부품과 지진 보호 구조물 사업에 진출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20249월 기준 수주잔고 900억 원을 돌파하며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삼영엠텍은 MRO 조선 관련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다각화된 사업 구조, 안정적인 재무 기반을 바탕으로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종목입니다.

  • 긍정적 요인: 조선업 호황 지속,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중국 법인 매출 확대
  • 리스크 요인: 원자재 가격 변동성,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4

3. HD현대중공업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5

3-1. HD현대중공업이 MRO 조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미 해군 함정정비협약(MSRA) 체결로 사업 기반 확보

HD현대중공업은 20247월 미 해군과 함정정비협약(MSRA)을 체결하며, 향후 5년간 미 해군 함정 MRO 사업 입찰에 공식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했습니다. 이 협약은 국내 조선사 최초로 미국 정부와의 전략적 협력을 공식화한 것으로, 연간 20조 원 규모의 미 해군 MRO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되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 해군은 202510척 이상의 함정을 추가 발주할 예정이며, HD현대중공업은 이 중 상당 부분을 수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지 생태계 구축 및 협력 강화

HD현대중공업은 미국 현지 조선소와의 협력을 통해 MRO 사업의 현지화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246월에는 미국선급협회(ABS)를 포함한 9개 국내외 기업과 함정 MRO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특히 AI 예지정비 솔루션과 현대화된 플로팅 도크 기술을 결합해 신속한 정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는 현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결정적 요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친환경 선박 수주 증가로 MRO 수요 선점

암모니아 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 수주가 증가하며, HD현대중공업의 MRO 사업 전망도 밝아졌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2050년 암모니아 연료 비중이 46%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HD현대중공업은 이미 암모니아 벙커링선 기자재 실증을 추진 중입니다. 친환경 선박의 보급 확대는 장기적으로 MRO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3-2. HD현대중공업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특수선 사업의 글로벌 경쟁력

HD현대중공업은 군함 및 특수목적선 건조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51월 페루 정부와 체결한 6,406억 원 규모의 호위함·상륙함 건조 사업은 중남미 최대 방산 수출 프로젝트로, 이탈리아·스페인 등 유럽 강호를 제치고 수주에 성공했습니다. 또한 20248월 미 해군 군수지원함 정비 사업을 수주하며 MRO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친환경 선박 기술 선도

HD현대중공업은 LNG·암모니아 추진선 개발에서 세계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202412월 발표된 기업가치제고계획에 따르면, 2027년까지 암모니아·수소 추진선 상용화와 전기 추진선 개발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현재 전체 수주 잔고의 73%LNG·암모니아 운반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탄소 중산화 트렌드에 부합하는 사업 포트폴리오입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한 생산성 혁신

자율운항 솔루션과 스마트 조선소 구축으로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20254KB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AI 기반 공정 최적화 시스템을 도입해 조선기간을 30% 단축했으며, 이는 마진 확대에 직결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함정 설계로 MRO 사업의 정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3-3. HD현대중공업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미 해군 MRO 사업 확대

20252월 미 해군 7함대 소속 군수지원함 정비 입찰에 참여하며 본격적인 MRO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올해 최대 3건의 수주를 목표로 하며, 2026년까지 MRO 매출 1조 원 달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현지 조선소 인수 검토를 통해 장기적 협력 관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친환경 선박 포트폴리오 강화

암모니아·수소 추진선의 대량 생산 체계를 구축 중입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암모니아 벙커링선 실증을 완료하고, 2026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계획입니다. NH투자증권은 이 기술이 전 세계 선박 연료 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할 것으로 전망하며, HD현대중공업의 성장 동력으로 평가했습니다.

스마트 조선소 구축을 통한 원가 절감

2030년까지 지능형 자율 운영 조선소를 완성해 생산성을 30% 향상시킬 예정입니다. 20254월 삼성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화 설비 확충과 디지털 트윈 기술 도입으로 연간 5,000억 원 이상의 원가 절감 효과가 기대됩니다. 이는 수주 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마진을 유지할 수 있는 핵심 전략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증권사들의 낙관적 전망

KB증권과 NH투자증권은 2025년 목표주가를 각각 435,000, 434,000원으로 제시하며 상승 여력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2024년 대비 평균 35% 이상의 주가 상승 가능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특히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70% 상회하며 실적 개선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상선·특수선·엔진 사업이 균형 있게 성장하며 리스크 헷지가 가능합니다. 2025년 예상 매출 중 45%가 고부가가치 선박에서 발생할 전망이며, 엔진 사업의 해외 점유율 확대(현재 35%)도 긍정적 요인입니다.

정부 정책과의 시너지

한미 동맹 강화 추세에 따라 미 해군 MRO 사업 참여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54월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의 방한 계획은 HD현대중공업의 추가 수주 가능성을 높이는 촉매제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HD현대중공업은 MRO 사업 확대, 친환경 기술 선도, 생산성 혁신을 통해 장기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미 해군 수주 소식에 따른 주가 변동성을 주의해야 하지만,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매력적인 종목으로 판단됩니다.

4. HD한국조선해양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6

4-1. HD한국조선해양이 MRO 조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미 해군 함정 MRO 시장 진출 기반 확보

20247HD현대중공업은 미국 해군과 함정정비협약(MSRA)을 체결해 향후 5년간 미 함정 MRO 사업 참여 자격을 획득했습니다. 해사신문 보도에 따르면, 이 협약으로 연간 20조 원 규모의 미 해군 함정 정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기술력과 인프라 경쟁력

HD현대중공업은 20252월 미 함정 MRO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하며 기술 검증을 완료했습니다. 조선업계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조선소의 첨단 설비와 숙련된 인력이 미국 현지 조선소 대비 원가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정책적 지원과 수주 확대 전망

트럼프 정부의 아시아 태평양 전략 강화에 따라 한국 조선업체와의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4월 뉴스핌 기사는 미 국방부의 예산 편성이 HD한국조선해양의 MRO 사업 확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4-2. HD한국조선해양의 3대 사업 특징

친환경 선박 기술 선도

20252HD한국조선해양은 미국선급(ABS)으로부터 암모니아 추진선 기본인증을 획득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2050년 암모니아 연료 비중이 46%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해당 기술은 미래 시장을 선점할 핵심 사업입니다.

군함 및 특수선 건조 역량

202412월 해사신문은 HD현대중공업이 필리핀 함정 MRO 실적을 바탕으로 아시아·남미 시장까지 확장한다고 보도했습니다. 군함 신조부터 정비까지 종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점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수주 다각화 전략

20251월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LNG운반선·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비중을 77%까지 끌어올렸습니다. 이는 평균 선가 상승으로 연결되어 매출 증대 효과가 기대됩니다.

4-3. 주요 사업계획 3가지

MRO 사업 본격화

20252HD현대중공업은 미 해군 함정 2~3건의 MRO 수주를 목표로 입찰을 진행 중입니다. 조선일보는 이 프로젝트 성사 시 연간 1조 원 이상의 매출 증가를 예상했습니다.

원자력 추진 선박 상용화

20252월 휴스턴 해양 원자력 서밋에서 공개한 SMR 기반 컨테이너선은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합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진 시스템 적용으로 기존 대비 5% 열효율을 개선해 경제성을 강화했습니다.

수소 에너지 생태계 구축

20249HD한국조선해양은 핀란드 컨비온을 인수해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20254월 현재 육상발전 및 선박용 시스템 개발에 약 6,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HD한국조선해양은 MRO 사업 확대,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원자력 추진 시스템 개발 등 3대 성장 축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54월 메리츠증권 리포트는 수주 잔고 대비 저평가된 밸류에이션"을 강조했습니다.

투자 리스크 요인

  •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선박 수요 감소
  • 원자재 가격 변동성
  • MRO 사업 수주 지연 가능성

단기적으로는 MRO 협력 소식에 따른 이벤트 성 상승 모멘텀이 예상되며, 장기적으로는 친환경·원자력 분야의 기술 선점이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실적 개선 추이와 수주 현황을 꾸준히 확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7

5. 대창 솔루션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8

5-1. 대창솔루션이 MRO 조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선박 엔진 부품 분야의 특화 기술

대창솔루션은 선박 대형 엔진의 핵심 부품인 MBS(Main Bearing Support)를 생산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입니다. 20254월 한화엔진과 체결한 199억 원 규모의 공급 계약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 45%를 차지하는 기술력을 입증하며,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로 인한 추가 수주가 예상됩니다.

군함 정비 사업의 잠재력

미 해군의 군함 MRO 협력 확대 기조에 발맞춰 대창솔루션은 군함용 부품 공급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국내 조선소를 통해 군함 유지보수 부문에 참여한 실적이 있으며, 트럼프 정부의 정책 지원으로 미 해군과의 협력이 본격화될 경우 실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원전폐기물 처리 기술의 시너지

원전폐기물 저장용기 사업에서 축적된 초고강도 소재 기술이 MRO 분야에 적용됩니다. 2025년 캐나다 브루스 발전소에 공급한 저장용기 사례를 통해 고강도 소재 분야의 경쟁력을 확인했으며, 이는 군함 부품의 내구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5-2. 대창솔루션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사업 다각화 전략

주력 사업인 조선 부품 외에도 해상풍력, 원전폐기물, 초저온 저장탱크 분야로 확장해 위험을 분산했습니다. 2024년 기준 매출 구성은 조선 45%, 원전 30%, 해상풍력 15%로 다변화된 수익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자회사 크리오스를 통해 LNG 저장탱크 시장에서 국내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미국 쉘사 납품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5311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는 액화수소 탱크 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합니다.

기술 연구개발 투자

2024R&D 비용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58억 원으로, 해상풍력 부품과 친환경 선박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DNV 선급인증 획득을 통해 기술력의 국제적 인정을 받았습니다.

5-3. 향후 사업 계획 및 성장 전략

MRO 사업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강화

2025년 하반기 미 해군과의 협력 프로젝트 참여를 목표로 군함 부품 공급 라인을 확충할 예정입니다. 상선용 부품에서 군함용으로 전환하며 마진 개선 효과를 노립니다.

친환경 에너지 분야 투자 확대

액화수소 탱크 전용 공장 건설을 위해 2024년 조달한 110억 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수소 인프라 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원전 해체 시장 선점

중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용기 공급을 확대해 2027년까지 원전 해체 관련 매출 500억 원 달성을 계획 중입니다. 국내 원전 수명 연장 추세에 따른 수요 증가를 예상합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대창솔루션은 조선업의 슈퍼사이클과 MRO 시장 성장이라는 이중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단기적으로는 20244분기 순손실 33억 원 기록으로 수익성 개선이 필요하지만, 장기 성장 동력이 충분합니다.

주요 투자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 해군 협력 확대에 따른 군함 MRO 수주 증가
  • 액화수소 저장탱크 사업의 성장 가능성
  • 원전 해체 시장 본격화에 따른 수혜
  • 2025년 말 크리오스 코스닥 상장 예정에 따른 지주사 효과

 

※ 본 글은 단순 정보 제공 및 참고용으로 작성되었으며, 리서치 과정에서 오류나 오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이나 재정적 조언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미해군 장관 방한 조선 관련주9

 

2025.02.13 - [오늘의 특징주] - 미해군 조선 관련주 5종목, 美 해군 동맹국 건조 법안 발의

 

2025.01.22 - [오늘의 특징주] - LNG 운반선 관련주: 트럼프 에너지 수출 프로젝트 재개

 

2025.01.13 - [뉴스 종목] - 美해군 MRO 관련주 5종목, 신규건조까지 350조 블루오션

 

2025.01.07 - [오늘의 특징주] - 조선·해양 산업 관련주 6종목, 트럼프 동맹국 K조선 능력 활용

 

2024.12.27 - [뉴스 종목] - 조선 관련주, 미국 이어 인도 정부도 K-조선에 러브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