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워드 이슈 종목

효과 연장 먹는 비만치료제 관련주 6종목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4. 24.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는 인벤티지랩이 자체 플랫폼 기술을 기존에 허가된 경구용 비만치료제에 적용하여 기존 치료제의 짧은 약물 유지기간 대비 7일 연장을 안정적으로 확보 했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것은 단순 복용 기간을 넘어선 것으로 흡수율이 글로벌 빅파마 대비 우수성을 입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출처 : 한국경제 바로가기 >>>>> 인벤티지랩, 경쟁사 대비 흡수율 73배 높인 경구용 비만약 전임상 결과 공개

 

2025.03.25 - [테마 종목] - FDA 혁신 치료제 줄기세포 관련주 4종목

 

2025.03.25 - [오늘의 특징주] - 개별 호재 바이오 관련주 6종목 | FDA 혁신 치료제 지정, 폐암 완치 등

 

2025.03.31 - [테마 종목] - 바이오 관련주 6종목 | 공매도·상호관세中 상승하는

 

2025.04.04 - [분류 전체보기] - 바이오주 6종목 관세 쇼크 '면제' 주목

 

2025.04.15 - [키워드 이슈 종목] - 생성형 AI 의료기기 임상 승인 관련주 6종목 분석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1

 

 

1. 블루엠텍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2

1-1. 블루엠텍이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삭센다 유통 주도

블루엠텍은 글로벌 제약사 노보노디스크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비만치료제 시장을 선점했습니다. 202410월 위고비 출시 이후 20253월까지 월평균 39%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10억 원 판매를 돌파했습니다. 특히 삭센다 유통 점유율 30%를 기반으로 위고비에서도 유사한 성과를 내며 시장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블루팜코리아 플랫폼의 경쟁력

의원 대상 의약품 이커머스 플랫폼 '블루팜코리아'는 전국 의원의 65%가 가입한 국내 1위 서비스입니다. 5만 종 이상의 의약품을 실시간 재고 관리하며, 위고비의 빠른 시장 확산을 지원했습니다. 202412월 순천향대학병원과 106억 원 규모 조영제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병원 시장 진출도 본격화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확장

202411월 비대면 진료 플랫폼 기업 엠디스퀘어 지분 16.4%를 인수하며 B2C 사업 모델을 강화했습니다. 이는 의약품 유통과 비대면 진료 서비스의 시너지를 창출할 전략으로, 환자 데이터 기반 맞춤형 치료제 공급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1-2. 블루엠텍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온라인 의약품 유통 1위 플랫폼

블루팜코리아는 2018년 출시 이후 의원용 의약품 유통 시장을 혁신했습니다. 2024년 기준 가입 의원 수 25,000여 명, 연간 거래액 1,600억 원을 기록하며 업계 최고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재고 관리 시스템 '블루스탁'을 통해 의사의 구매 패턴을 분석해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콜드체인 물류 인프라

냉장 의약품 유통을 위한 최첨단 물류센터를 운영하며, 백신 및 생물의약품 공급에 특화되었습니다. 20247200억 원 규모 투자를 통해 서울 강남구에 근거리 당일 배송 허브를 구축, 의약품 유통기한 관리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전략적 제휴

노보노디스크(덴마크), MSD(미국), 사노피(프랑스) 등과의 협력을 통해 비만치료제, 백신, 진단키트 등 수익성 높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보했습니다. 20251월 사노피 독감백신 2종의 코프로모션 계약 체결로 백신 사업 다각화에도 성공했습니다.

1-3. 블루엠텍의 주요 사업계획

의약품 당일 배송 서비스 확대

20247140억 원을 투자해 서울 강남구에 물류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으로 개원의원 대상 3시간 내 배송 시스템을 가동할 예정이며, 이는 기존 24시간 배송 대비 경쟁력 차별화 요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통합

엠디스퀘어의 '엠디톡' 플랫폼과 연계해 비대면 진료-의약품 배송-건강관리를 연결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개발 중입니다. 20252분기 중 시범 운영을 목표로 하며, 연내 10만 명 이상의 사용자 유치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학병원 시장 공략

202412월 순천향대학병원 공급 계약을 시작으로 2025년 상반기 중 3개 상급종합병원과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병원용 의약품 시장은 개원의원 대비 8배 이상 규모로, 이 분야 진출은 매출 다각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블루엠텍은 온라인 의약품 유통 1위 플랫폼을 기반으로 비만치료제 시장 성장을 선도할 핵심 기업입니다. 20241,603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0.7% 성장했으나, 물류 인프라 투자로 인한 일시적 영업손실(-41억 원)은 향후 실적 개선 여지를 남겼습니다.

투자 포인트

  • 유통 점유율 확대: 위고비 연간 240억 원 이상 매출 전망(2025년 기준).
  • 신사업 성장성: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통합으로 2026년 500억 원 매출 기대.
  • 리스크 요인: 노보노디스크 제품 의존도(2024년 매출 35%) 및 유통 마진 압박 가능성.

단기적으로는 무상증자(20254)로 인한 주가 희석 우려가 있으나, 장기적 관점에서 비만치료제 시장 성장과 디지털 헬스케어 시너지를 고려할 때 관심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2. 큐라티스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3

2-1. 큐라티스가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펩진과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협력

2021년 큐라티스는 펩진과 비만치료제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의 바이오시밀러 PG004 공정 개발을 완료한 후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펩진은 2026년부터 중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계획 중이며, 큐라티스는 원료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전 과정을 담당할 GMP 시설을 보유해 협력 수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인벤티지랩과의 장기 지속형 주사제 협업

20243월 인벤티지랩과 체결한 전략적 업무협약은 주목할 만합니다. 인벤티지랩의 치매 및 비만/당뇨 치료용 장기 지속형 주사제 임상 시료 생산을 큐라티스가 담당하며, 이는 비만치료제 생산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로 해석됩니다.

경구용 비만치료제 기술 개선 기대

최근 인벤티지랩이 경구용 비만치료제의 생체이용률을 기존 대비 73배 향상시켰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큐라티스도 유사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치료제 개발 가능성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2-2. 큐라티스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백신 개발 역량의 차별화

청소년 및 성인용 결핵백신 'QTP101'은 기존 BCG 백신의 한계를 보완한 차세대 후보물질로, 20237월 보건복지부 국책과제로 선정되며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현재 필리핀을 포함한 다국가 임상 2b/3상을 진행 중이며, WHO 보고서에 따르면 성인용 결핵백신 시장 규모는 500조 원에 달할 전망입니다.

CDMO 사업의 글로벌 확장

오송에 위치한 자체 GMP 생산시설은 연간 10억 도스 규모의 백신 생산이 가능합니다. 20246월 미국 바이오USA 컨벤션에서 프랑스 및 호주의 글로벌 제약사와 CDMO 협력을 논의하며 해외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신기술 플랫폼 보유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QTP104'와 자체 개발한 CPP(세포 투과 펩타이드) 플랫폼은 항암제·항바이러스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장기적인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3. 큐라티스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결핵백신 QTP101의 상용화 가속화

2025년 필리핀 현지 임상시험을 완료하고 2026년 품목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필리핀 정부의 PAAP-TB 프로젝트와 연계해 현지 시장 선점을 노리는 전략입니다.

CDMO 사업의 수익 다각화

인벤티지랩과 공동으로 장기 지속형 주사제 전용 제조시설을 구축 중이며, 해외 규제기관의 GMP 인증 획득을 통해 글로벌 수주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라크 의료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이라크 이맘 후세인 재단과 3,000병상 규모의 병원 건립 및 백신 공장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202410월 계약 체결 예정으로, 중동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할 방침입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청소년 및 성인용 결핵백신의 시장 선점 가능성
  • CDMO 사업을 통한 안정적인 수익 창출 기대
  • mRNA·CPP 플랫폼의 파이프라인 다각화

리스크

  • 2024년 4분기 기준 누적 적자 262억 원으로 재무 안정성 부족
  • 비만치료제 테마와의 간접적 연관성으로 실적 변동성 존재

투자 포인트

단기적으로는 비만치료제 테마 수혜에 따른 모멘텀 주목이 필요하나, 장기적으로는 QTP101의 임상 성공 여부와 CDMO 수주 확대가 관건입니다. 2025년 상반기 중 다국가 임상 결과 발표와 이라크 프로젝트 계약 체결이 주요 이벤트로 예상됩니다.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4

3. HK이노엔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5

3-1. HK이노엔이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GLP-1 유사체 '에크노글루타이드'의 국내 독점 개발권 확보

20245HK이노엔은 중국 바이오기업 사이윈드로부터 3세대 GLP-1 유사체인 에크노글루타이드(XW003)의 국내 독점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획득했습니다. 이 약물은 주 1회 투여 가능한 주사제로, 중국과 호주에서 진행된 2상 임상에서 체중 감량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었습니다. 20254월 기준 국내에서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비만 환자 대상 3상 임상을 진행 중이며, 2028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GLP-1 시장이 연평균 30% 성장할 전망인 점을 고려할 때, HK이노엔의 기술 도입은 시장 선점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1,700억 원 규모 국내 비만치료제 시장 성장 대응

국내 비만치료제 시장은 20221,700억 원에서 20307,200억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HK이노엔은 에크노글루타이드를 통해 이 시장에 진출하며, 기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의 성공 경험을 활용해 제품 포지셔닝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케이캡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201917억 원에서 2023800억 원으로 급성장하며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자리매김한 바 있습니다.

경구용 제제 및 복합제 개발을 통한 포트폴리오 확장

HK이노엔은 사이윈드와의 협약을 통해 에크노글루타이드의 경구용 정제(XW004)와 소분자 GLP-1 수용체 작용제(XW014)에 대한 우선 협상권도 확보했습니다. 이는 주사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환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다양한 제형 개발을 통해 비만치료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3-2. HK이노엔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신약 개발 역량을 통한 시장 선도

HK이노엔은 2019년 국내 30호 신약인 케이캡을 자체 개발해 위식도역류질환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며 신약 연구개발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20254월 미국에서 완료된 케이캡의 3상 임상 결과, 기존 PPI 대비 우월한 치유율을 보여 해외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의 활발한 활용

중국 사이윈드로부터 에크노글루타이드를 도입한 것뿐만 아니라, 미국 파트너사 세벨라와의 협력을 통해 케이캡의 글로벌 임상을 진행 중입니다. 특히 2025424일 발표된 미국 3상 성공 결과는 국내 제약사의 해외 진출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 고도화

20241분기 실적에서 HK이노엔은 전문의약품 매출 증가와 연구개발비 효율화로 영업이익률 10.3%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케이캡의 해외 로열티 수입과 에크노글루타이드의 향상된 마진율이 합쳐지며 중장기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3-3. HK이노엔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에크노글루타이드의 국내 3상 임상 본격화

20254월부터 당뇨병 없이 비만 또는 과체중인 성인 환자 384명을 대상으로 3상 임상을 진행합니다. 20283월 완료를 목표로 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을 받아 2030년 이전 국내 출시를 추진 중입니다.

케이캡의 미국 시장 진출 가속화

20253분기 중 미국 FDA 승인을 신청할 예정입니다. 20244월 발표된 3상 임상 성공으로 미국 시장에서 연간 1조 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증권사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경구용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 확보

사이윈드와의 협력을 통해 에크노글루타이드 경구정(XW004)과 소분자 GLP-1(XW014)의 국내 개발권을 추가로 획득할 계획입니다. 이는 주사제 대비 환자 접근성을 높여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할 것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HK이노엔은 케이캡으로 쌓은 신약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비만치료제 시장에서도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에크노글루타이드의 3상 임상 성공 시 2030년까지 국내에서 1,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 진출도 차별화된 투자 포인트입니다.

또한 202410KCGS ESG 평가에서 종합 A+등급을 획득하며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다만, 경쟁사들의 GLP-1 치료제 개발 가속화와 임상 리스크는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할 요소입니다.

4. 인벤티지랩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6

4-1. 인벤티지랩(389470)이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장기지속형 주사제 플랫폼 기술 보유

인벤티지랩은 자체 개발한 IVL-DrugFluidic플랫폼을 통해 1개월 지속형 비만치료제(IVL3021)를 개발 중입니다. 이 기술은 기존 주사제 대비 환자 편의성을 높이고, 약물의 초기 과다방출을 제어해 안정적인 혈중 농도 유지가 가능합니다. 2024년 유한양행과의 협력을 통해 상업화를 준비 중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성과

2025424일 보도에 따르면, 인벤티지랩은 자체 플랫폼 기술을 기존 경구용 비만치료제에 적용해 약물 유지 기간을 1일 미만 7일로 연장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단순 복용 주기 개선을 넘어 글로벌 빅파마 대비 수십 배 높은 흡수율을 입증한 혁신적인 결과로, 치료제의 효능과 편의성을 동시에 잡았습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전략적 협력 확대

베링거인겔하임과의 공동개발 계약 체결 및 유럽 추가 기술 수출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특히 2025년 미국비만학회(ADA)에서 해당 플랫폼 기술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며, 이는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4-2. 인벤티지랩(389470)의 대표적 사업 특징

미립구(Microsphere) 기술 기반 차별화

동사는 생분해성 고분자에 활성성분을 봉입하는 미립구 기술을 활용해 낮은 균일성·재현성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iM증권 리포트(2025.01)에 따르면, 연간 150만 바이알 규모의 미립구 양산이 가능해 기술적 경쟁력을 입증받았습니다.

경구용 제형 개발로 시장 확장

기존 주사형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54월 기준, 비글 모델을 통한 7일 지속 효과 및 우수한 흡수율을 확인하며 경구제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부상 중입니다.

파트너십을 통한 상업화 역량 강화

유한양행과의 협업을 통해 임상 개발·마케팅 역량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20241월 체결된 계약에 따라 유한양행이 상업화를 담당하며, 기술력과 사업화 능력의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4-3. 인벤티지랩(389470)의 주요 사업계획

플랫폼 기술 적용 범위 확대

GLP-1 펩타이드 외에도 다양한 고분자 성분의 경구용 치료제 개발에 플랫폼 기술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2025ADA 학회 발표를 통해 기술력을 홍보하고 추가 파트너십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임상 시험 가속화

IVL3021의 비임상시험을 완료한 뒤 2025년 하반기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합니다. 동시에 경구용 제제의 제형 최적화를 진행해 2026년 임상 시험 개시를 준비 중입니다.

글로벌 기술 수출 확대

베링거인겔하임 외 유럽 제약사와의 협의를 통해 플랫폼 기술 기반 수익 모델을 강화합니다. 교보증권 리포트(2025.04)에 따르면, 기술이전 계약 체결 시 최대 1,000억 원 규모의 선급금이 유입될 전망입니다.

4-4. 인벤티지랩(389470)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기술적 우위: 장기지속형·경구용 제형 개발로 차별화된 포트폴리오 보유.
  • 협력 네트워크: 유한양행·베링거인겔하임 등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리스크 분산.
  • 시장 성장성: 2028년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이 4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한국경제TV, 2025.04).

리스크

  • 적자 지속: 2024년 말 기준 영업적자(-190억 원)가 이어지며 R&D 투자 부담 존재.
  • 경쟁 심화: 노보 노디스크·엘리 릴리 등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 구도 주시 필요.

투자 포인트

  • 단기: 2025년 ADA 학회 발표 및 추가 파트너십 소식에 따른 주가 변동성 대비.
  • 중장기: 경구용 제제 상용화 및 기술수출 계약 체결 시 실적 개선 기대.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7

5. 대봉엘에스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8

5-1. 대봉엘에스(078140)가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CDMO 협력 강화

대봉엘에스는 인도 제약사 실파 파마와 비만치료제 '리라글루티드'의 위탁생산개발(CDMO) 협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5311일 보도에 따르면, 회사는 32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복잡한 펩타이드 의약품 합성 기술을 보유하며, 해당 협력을 통해 2026년 국내 시장 진출을 준비 중입니다. 이는 기존 치료제 대비 비용 절감 및 품질 개선 효과가 기대됩니다.

친환경 공법을 활용한 원료의약품 기술력

202496일 네이버 블로그 기사에 따르면, 대봉엘에스는 기존 고체 합성법 대신 친환경 용매를 이용한 리라글루티드 합성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반응 시간 단축 및 수율 향상에 기여하며, 국내 최초로 시제품 생산에 성공해 관련 특허 4건을 출원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제휴

2025311일 팜뉴스 보도에 의하면, 대봉엘에스는 실파 파마와의 MOU 체결 후 생산 일정 및 사업 전략을 구체화했습니다. 일본 PMDA 실사 통과를 바탕으로 아시아 시장을 넘어 유럽·미국 진출도 계획 중이며, 해외 매출 확대를 위한 대리점 네트워크를 지속 확장하고 있습니다.

5-2. 대봉엘에스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원료의약품 분야의 전문성

2025423FnGuide 자료에 따르면, 호흡기 및 고혈압 치료제 원료의약품이 매출의 30%를 차지합니다. 특히 올메사르탄(고혈압 치료제)과 에르도스테인(호흡기 치료제)은 국내 제약사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며, 일본 수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화장품 소재 시장의 경쟁력

2025218일 연합뉴스 기사에 의하면, 천연화장품 COSMOS 인증 37개 품목을 보유한 대봉엘에스는 루브리졸 리포텍 제품과의 시너지로 보습·주름 개선 효능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2024년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20% 증가했으며, 아마존 입점으로 글로벌 판매망을 강화했습니다.

어사료 의무화 정책 대비 생산 역량

2025131일 티스토리 분석에 따르면, 정부의 배합사료 의무화 정책에 대비해 제주도 광어 양식장 공급을 확대 중입니다. 어사료 사업은 매출의 10%를 점유하며, 해양수산부와의 협력으로 중장기 성장이 예상됩니다.

5-3. 대봉엘에스의 주요 사업계획

비만치료제 시장 공략 가속화

2025311일 바이오타임즈 기사에 따르면, 리라글루티드 양산을 위한 GMP 인증 설비 확충에 나섰습니다. 2026년 상반기 국내 허가 획득 목표로, 원료의약품 자체 공급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개량신약 및 펩타이드 신소재 개발

2025218일 당사 보도자료에 의하면, 하이드로 스킨본드(보습 소재)DDS(약물전달시스템) 기술을 접목한 신제품을 출시 예정입니다. 또한, 상처 치유 복합제 및 진해거담제 등 5개 신약 파이프라인을 구축 중입니다.

글로벌 시장 다각화 전략

2025311일 위키백과 자료에 따르면, 현재 20여 개국에 대리점을 구축했으며, 2025년 말까지 유럽·동남아 시장에 ACTIVE 라인을 본격 확대할 방침입니다. 특히 일본 시장에서는 고혈압 치료제 수출을 통해 연간 50억 원 매출을 목표로 합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대봉엘에스는 비만치료제 원료의약품 기술력과 화장품 소재 시장의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한 기업입니다. 2024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 92억 원(전년 대비 142% 증가)을 기록하며 수익성이 개선되었고, PER 19.02배로 업종 평균(213.03) 대비 저평가 상태입니다.

투자 포인트

  • 단기: 리라글루티드 국내 허가 여부에 따른 주가 변동성 대응
  • 중장기: 해외 시장 진출 성과 및 어사료 의무화 정책 수혜
  • 리스크: 원자재 가격 변동성 및 경쟁사 신제품 출시 영향

최근 6개월간 증권사 리포트에서는 "고혈압·호흡기 치료제 수요 증가와 화장품 소재 다각화로 실적 안정성 확보"라는 평가가 주를 이룹니다. , 투자 결정 시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 진행 상황 및 일본 시장 반응을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6. 한독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9

6-1. 한독이 비만치료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글로벌 제약사와의 전략적 협업

한독은 202412월 인도 바이오콘과 리라글루티드 성분 비만치료제의 국내 독점 판매·유통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리라글루티드는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계열 물질로, 체중 감량과 혈당 조절 효과가 입증된 성분입니다. 이 계약을 통해 한독은 국내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했으며,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차별화된 제형 개발

기존 주사제형 비만치료제와 달리 한독은 경구용 제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기존 치료제 대비 약물 유지기간을 7일 연장하는 데 성공하며 편의성과 환자 순응도를 높였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치료 효과와 시장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사업 다각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

한독은 당뇨병 치료제 테넬리아와 건강기능식품 레디큐 등을 기반으로 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비만치료제 사업과의 시너지를 통해 종합적인 대사질환 치료 솔루션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6-2. 한독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의약품·건강기능식품 복합 포트폴리오

한독은 의약품(테넬리아, 솔리리스)과 건강기능식품(레디큐)을 동시에 운영하며 수익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건강기능식품 부문 매출은 134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3%를 차지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바이오콘 외에도 미국 Rezolute와의 협력을 통해 당뇨병성 황반부종 치료제 RZ402의 임상 2상 결과를 발표하는 등 해외 신약 개발에도 적극적입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 중입니다.

ESG 경영 체계 구축

2023년 한국ESG기준원 평가에서 종합 A등급을 획득하며 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특히 지속가능경영팀을 신설해 ESG 경영을 체계화하고 있습니다.

6-3. 한독의 주요 사업 계획 3가지

비만치료제 시장 본격 공략

2025년 상반기 중 리라글루티드 기반 치료제의 국내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적응증을 당뇨병에서 비만으로 확대해 시장 규모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

중국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한독의 건강기능식품 및 의료기기 수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4년 레디큐의 중국 직수출량이 전년 대비 30% 증가하며 성장 모멘텀을 보였습니다.

R&D 투자 확대

차세대 비만치료제인 HM15275(삼중작용제)의 상용화를 위해 2026년까지 임상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해당 약물은 기존 GLP-1 단일 제제 대비 효과성과 안전성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6-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한독은 비만치료제를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했으나, 단기적으로는 신약 개발 비용 증가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 우려가 있습니다. 20251분기 영업이익은 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강점이 부각될 전망입니다.

  • 강점: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업을 통한 기술력 확보,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ESG 경쟁력.
  • 약점: PER 마이너스(-7.99배)로 인한 수익성 개선 필요성.
  • 기회: 100조 원 규모의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 성장 잠재력.
  • 위협: 경쟁사들의 신제품 출시로 인한 가격 경쟁 심화.

투자자분들은 단기 변동성에 대비해 분할 매수 전략을 고려하시되, 장기적으로는 사업 확장성과 기술 우위를 주목해보시기 바랍니다.

효과 연장 비만치료제 관련주10

 

2025.04.19 - [키워드 이슈 종목] - 비대면진료 2호 법안 관련주 6종목|약품 배송 제외

 

2025.04.23 - [오늘의 특징주] - FDA 허가 줄기세포 관련주 4종목 특징

 

2024.12.26 - [키워드 이슈 종목] - 대마(마리화나) 관련주, 도널드 트럼프 기호용 사용 찬성

 

2025.01.07 - [오늘의 특징주] -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2025 제약바이오 관련주

 

2025.02.11 - [오늘의 특징주] - 중동 의료기기 관련주 4종목, 작년 수출 8000만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