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P-1 복제약 소송승리 비만치료제 관련주는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가 미국 법원에서 GLP-1 복제약 제조 금지 소송에서 승소하며 시장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위고비'와 '마운자로' 등의 정품 약물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글로벌데이터는 2033년 GLP-1 시장 규모가 181조 원에 달할 전망이라 밝혔습니다.
뉴스1 관련기사 바로가기>>>> 노보·릴리, 복제약 철벽 방어…정품 GLP-1 치료제 '독주체제' 굳혔다
노보·릴리, 복제약 철벽 방어…정품 GLP-1 치료제 '독주체제' 굳혔다
美 연방법원, 복제약 업계 예비금지명령 신청 잇따라 기각 FDA 공급 부족 해소 결정 지지…복제약 제조·판매 즉각 중지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가 미국 법원에서 잇따라 승소하며 GLP-1 계열
www.news1.kr
GLP-1 복제약 소송승리 비만치료제 관련주 목차
1. 큐라티스
2. 인베티지랩
3. 라파스
4. 블루엠텍
5. 나이벡
6. 디앤디파마텍
1. 큐라티스 348080
1-1. 큐라티스가 GLP-1 복제약 소송승리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전략적 제휴를 통한 비만치료제 생산 기반 확보
2025년 2월 인벤티지랩이 큐라티스의 경영권을 인수하며 최대주주로 부상했습니다. 인벤티지랩은 베링거인겔하임과 공동으로 장기지속형 비만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큐라티스의 오송바이오플랜트에 생산시설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는 큐라티스가 비만치료제 생산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소송 승리로 인한 정품 수요 증가 시 생산 역량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② 차세대 치료제 플랫폼 기술 보유
인벤티지랩의 IVL-DrugFluidic® 플랫폼은 약물 유효 기간을 기존 대비 4배 이상 연장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노보 노디스크의 주사제 '위고비'가 주 1회 투여인 반면, 인벤티지랩의 기술은 1개월 지속형 제형 개발이 가능해 환자 편의성을 극대화했습니다. 이 기술이 큐라티스의 생산라인에 적용되면 경쟁력 있는 비만치료제 공급이 가능해집니다.
③ CDMO 사업을 통한 수익 다각화
큐라티스는 오송바이오플랜트에서 mRNA 백신 및 LNP(지질나노입자) 기반 치료제의 위탁생산(CDMO)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해외 첫 수주를 앞두고 있으며, GLP-1 복제약 대신 정품 생산 수요가 증가할 경우 CDMO 매출 증대가 기대됩니다.
1-2. 큐라티스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End-to-End 백신 개발 역량
합성면역증강제 GLA-SE 플랫폼을 통해 신약 개발부터 생산, 품목허가까지 모든 단계를 자체적으로 수행합니다. 청소년 및 성인용 결핵백신 QTP101은 글로벌 2b/3상 임상을 진행 중이며, 2025년 허가를 목표로 합니다.
②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이라크 이맘후세인홀리시라인 재단과 250억 원 규모의 기술 협력 프로젝트를 체결해 중동 시장 진출을 준비 중입니다. 또한 필리핀 기업과의 합작법인을 통해 동남아 결핵백신 시장(약 4.5조 원 규모)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③ 유통 네트워크 구축
자체 유통망을 활용해 국내외 시장에 직접 진출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필리핀 린프라 코프로부터 16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현지 임상 인프라를 확보했습니다.
1-3. 주요 사업계획 및 성장 전략
① 비만치료제 생산라인 가동
2025년 하반기 인벤티지랩의 기술을 적용한 비만치료제 생산라인을 오송바이오플랜트에 구축할 예정입니다. 연간 5,000만 바이알 규모의 생산이 가능해져 CDMO 매출 증가가 기대됩니다.
② 결핵백신 상용화 추진
QTP101의 글로벌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2026년 상반기 품목 허가를 목표로 합니다. 필리핀을 시작으로 동남아 시장에 진출하며, 2030년까지 아세안 지역에서 1조 원 이상의 매출을 목표로 합니다.
③ mRNA-LNP 플랫폼 개발
mRNA 백신과 LNP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6년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하며, 미국 FDA와의 사전협의를 진행 중입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큐라티스는 백신 플랫폼과 CDMO 사업을 통해 단기적 수익과 장기적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기업입니다. 인벤티지랩과의 협력을 통해 비만치료제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으며, 중동 및 동남아 진출로 글로벌 사업 확장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주요 리스크로는 임상 단계의 개발 지연 가능성과 해외 규제 장벽이 있으나,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2. 인벤티지랩 389470
2-1. 인벤티지랩이 GLP-1 복제약 소송승리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글로벌 제약사와의 전략적 협력 강화
인벤티지랩은 독일계 빅파마 베링거인겔하임과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협력은 소송 승리로 인한 정품 약물 수요 증가에 대비한 제형 개발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로, 베링거인겔하임의 펩타이드 신약 후보물질을 기반으로 비임상시험용 시료 공급을 담당하며 향후 상업화 단계까지 협력 예정입니다.
② 차별화된 약물전달기술(IVL-DrugFluidic®) 보유
마이크로플루이딕스 기술을 활용한 IVL-DrugFluidic® 플랫폼은 기존 주사제 대비 환자 편의성을 높인 1개월 지속형 주사제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최근 공개된 임상 데이터에서 기존 대비 73배 향상된 생체이용률을 확인하며,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경구용 제형(리벨서스) 기술 적용 사례에서도 기술적 우위를 입증했습니다.
③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경쟁력 확보
2025년 4월 29일 발표에 따르면, 주 1회 복용으로도 약효가 지속되는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기존 주사제의 근육 감소 부작용을 보완하면서도 젭바운드(체중 재증가) 현상을 최소화한 혁신적 접근으로 평가받으며, 글로벌데이터의 2033년 GLP-1 시장 규모 전망(181조 원)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 포트폴리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2. 인벤티지랩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① 장기지속형 주사제 플랫폼 기술의 상용화
IVL-DrugFluidic® 플랫폼을 통해 개발 중인 IVL3021(1개월 지속형 비만치료제)은 유한양행과의 협력을 통해 2025년 하반기 임상 1상 시작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기술은 초기 약물 방출을 제어해 혈중 농도 안정성을 확보하며, 노보노디스크의 주사제 대비 월 1회 투여로 환자 부담을 줄였습니다.
② 경구용 제형 개발 역량 집중
2024년 말부터 동물실험을 통해 경구용 GLP-1 제제의 제형 안정성을 검증한 바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는 이 프로젝트는 화이자·암젠 등이 경구제 개발을 포기한 틈새 시장을 공략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와 미국 FDA 동시 신청을 준비 중입니다.
③ GMP 생산 기반 확충을 통한 글로벌 공급 체계 구축
2024년 10월 390억 원 규모 전환사채(CB)를 발행해 GMP 시설 확장에 투자했습니다. 이는 베링거인겔하임·유한양행과의 협력 프로젝트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mRNA 백신 생산을 위한 LNP 플랫폼 사업과 병행해 다각화된 수익원을 창출할 전망입니다.
2-3. 인벤티지랩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① IVL3021의 글로벌 임상 개시
2025년 하반기 미국·유럽 시장을 겨냥한 임상 1상을 시작합니다. 유한양행과의 협력 하에 비임상시험을 완료했으며, 1개월 지속형 주사제의 상업화를 통해 2027년까지 해외 매출 50%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② 경구용 비만치료제의 임상 진입
2025년 상반기 중 동물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약후보물질을 선정할 예정입니다. 주사제와 경구제를 아우르는 투 트랙 전략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계획 중이며, 2026년까지 국내 허가를 목표로 합니다.
③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및 기술이전 가속화
베링거인겔하임 외에도 유럽 소재 제약사와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을 논의 중입니다. 기술이전 계약 체결 시 마일스톤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LNP 플랫폼을 활용한 mRNA 백신 수주 확대도 병행합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인벤티지랩은 GLP-1 복제약 소송 승리로 촉발된 정품 약물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과 사업 계획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IVL-DrugFluidic® 플랫폼을 통한 장기지속형 주사제와 경구용 제형 개발은 시장 차별화 요소로 작용하며, 베링거인겔하임·유한양행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3. 라파스 214260
3-1. 라파스(214260)가 GLP-1 복제약 소송승리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
①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술을 활용한 비만치료제 개발
라파스는 마이크로니들(미세바늘) 패치 기술을 기반으로 한 비만치료제 개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의 GLP-1 복제약 소송 승소로 인해 기존 주사제의 시장 점유율이 공고해지면서, 라파스의 패치형 제형이 차별화된 솔루션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라파스는 대원제약과 공동 개발 중인 'DW1022'(붙이는 위고비)의 임상 1상에서 혈중 약물 농도가 확인되어 기술적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②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파트너십 확보
라파스는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한 해외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2014년 설립된 라파스재팬을 통해 매출의 13%를 달성하며 현지 생산 및 유통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일본 매출 목표를 60억 원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미국 OTC(일반의약품) 시장 진출도 추진 중입니다. 이는 GLP-1 시장 확대에 따른 글로벌 수요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③ 의약품 패치 분야의 선제적 기술력 확보
라파스는 마이크로니들 패치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연구개발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마글루타이드(위고비 성분) 패치 개발을 통해 기존 주사제 대비 상온 유통 가능성, 의료폐기물 감소 등의 장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최근 임상 1상 결과를 바탕으로 2·3상 임상을 준비 중이며, 기술 이전(L/O)을 통한 수익화 계획도 수립했습니다.
3-2. 라파스(214260)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① 마이크로니들 기술 기반의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
라파스는 화장품 패치에서 시작해 의약품 및 백신 패치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현재 매출의 90%는 화장품 분야에서 발생하지만, 비만치료제 패치(DW1022)와 여드름 치료용 OTC 제품 개발로 의약품 비중을 높이고 있습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기준 의약품 매출 비중은 10%이며 향후 성장이 기대됩니다.
② 글로벌 인증 획득을 통한 신뢰도 제고
라파스는 국내 최초로 마이크로니들 패치 GMP(우수제조관리기준) 인증을 취득했습니다. 이는 의약품 생산 기준을 충족함을 의미하며, 미국 FDA 승인을 위한 토대로 평가됩니다. 또한 일본 시장에서의 흑자 전환 성과는 해외 규격 준수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③ ODM과 자사 브랜드의 이중 사업 모델
라파스는 글로벌 화장품 기업에 ODM(위탁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공급하며 수익 안정성을 확보했습니다. 동시에 자사 브랜드 'ACROPASS'를 통해 내수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ODM 매출 비중은 51.4%로, 해외 수출 중심의 사업 구조가 두드러집니다.
3-3. 라파스(214260)의 주요 사업계획
① 비만치료제 패치의 임상 시험 및 상용화 추진
라파스는 DW1022의 임상 2·3상을 2025년 하반기 중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0.23mg~0.9mg 용량을 대상으로 한 추가 실험을 통해 최적화된 제형을 선별할 예정입니다. 또한 2026년 상반기 국내 허가 신청과 동시에 글로벌 파트너 탐색에 나설 방침입니다.
② 미국 및 일본 시장 공략 확대
미국 시장에서는 OTC 제품 라인업을 확장해 2025년 매출 5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일본에서는 라파스재팬을 통해 연간 6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목표로 하며, 현지 유통망을 활용한 신제품 출시를 준비 중입니다.
③ 백신 패치 개발을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라파스는 코로나19 백신 패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결핵, B형간염 등 감염병 예방용 백신 패치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중 전임상 실험을 완료하고 기술 이전을 통한 사업화 모델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라파스는 마이크로니들 기술을 활용해 비만치료제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GLP-1 복제약 소송 승소로 인한 정품 약물 수요 증가는 패치형 제품의 시장 진입에 긍정적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임상 결과에 따른 주가 변동성이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는 2033년 181조 원 규모의 GLP-1 시장에서 기술 선도 기업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로는 ▲글로벌 파트너십 확보 가능성 ▲의약품 매출 비중 증대 ▲백신 패치 사업의 신규 성장동력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다만, 경쟁사 대비 낮은 영업이익률(-14.1%, 2024년 상반기 기준)과 R&D 투자 확대에 따른 현금유출 리스크는 주의해야 합니다.
4. 블루엠텍 439580
4-1. 블루엠텍(439580)이 GLP-1 복제약 소송승리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
① 위고비 유통을 통한 직접적 수혜 기대
블루엠텍은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위고비' 국내 유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위고비 출시 직후 1시간 만에 품절 사태가 발생하며 시장 수요를 입증했고, 2025년 3월에는 월간 매출 1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데이터의 GLP-1 시장 성장 전망(2033년 181조 원)과 맞물려, 원천 특허 소송 승리로 정품 약물 수요가 증가할 경우 블루엠텍의 유통량 확대가 예상됩니다.
② 온라인 의약품 유통 플랫폼 '블루팜코리아'의 경쟁력
블루팜코리아는 국내 2만 7,000개 병의원을 회원으로 보유한 전문의약품 이커머스 플랫폼입니다. 2024년 10월 위고비 공급 당시 서버 다운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의료진의 빠른 주문 처리와 공급망 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 중입니다. 노보 노디스크 외 MSD, 사노피 등 글로벌 제약사와의 총판 계약도 유통 다각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③ 종합병원 시장 진출을 통한 성장 잠재력
2025년 2월 순천향대학병원 등 4개 병원에 의약품을 공급하며 종합병원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의원 대상 매출이 주를 이루던 기존 구조에서 탈피해 8.5조 원 규모의 종합병원 유통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 중입니다. 이는 장기적 성장동력으로 평가받습니다.
4-2. 블루엠텍(439580)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효율적 유통 구조 개선
기존 도매사-소매사-병원의 복잡한 유통망을 단순화한 '도매사-플랫폼-병원' 구조를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제약사의 영업 비용을 절감하고 병의원의 재고 관리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2024년 기준 블루팜코리아를 통한 위고비 유통 점유율은 30%로 추정됩니다.
② 고부가 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단순 의약품 유통을 넘어 백신, 진단키트, 의료기기 등 고수익 제품군을 확보했습니다. 2025년 1분기 MSD의 MMR 백신 수요가 93% 증가하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으며, 사노피 독감백신 유통도 추가로 체결됐습니다.
③ ICT 기반 물류 시스템
2023년 240억 원을 투자해 구축한 물류센터는 -20°C에서 25°C까지 다양한 온도대 의약품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위고비와 같은冷藏 제품의 안정적 공급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3. 블루엠텍(439580)과 라파스(214260)의 사업계획
① 백신 유통 시장 공략
블루엠텍은 2024년 8월 사노피와 독감백신 유통 계약을 체결했으며, 라파스는 일본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백신 패치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 두 기업의 시너지를 통해 백신 유통-제조 생태계 구축이 기대됩니다.
② 병원 시장 확대 전략
블루엠텍은 종합병원 유통 확대를, 라파스는 피부과 전용 패치 공급을 각각 목표로 합니다. 2025년 1분기 블루엠텍의 종합병원 매출 비중은 15%로 집계되며, 라파스는 국내 주요 병원과 시범 공급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4-4. 블루엠텍(439580)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위고비 유통을 통한 단기 실적 개선 가능성
49.1%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한 성장세
2024년 9월 기준 유동자산 6,005억 원으로 재무 안정성 확보
리스크
노보 노디스크사에 대한 의존도가 2024년 기준 매출의 35%를 차지
2024년 영업적자(-41억 원) 지속으로 수익성 개선 필요
투자 포인트
2025년 위고비 매출 기여 본격화(연간 400억 원 예상)
종합병원 시장 진출로 TAM(총 가능 시장) 3배 확대
블루팜코리아 회원 수 증가(월평균 3% 성장률)에 따른 플랫폼 파워 강화
5. 나이벡 138610
5-1. 나이벡이 GLP-1 복제약 소송승리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차세대 비만치료제 'NP-201'의 우수한 효능
나이벡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NP-201은 기존 GLP-1 계열 약물(위고비, 삭센다) 대비 체지방 감소 효과가 10% 이상 우수합니다. 특히 근손실 없이 체중을 감량할 수 있어 환자들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4년 10월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링 미팅에서 NP-201의 효능이 주목받으며 기술 이전 가능성도 높아졌습니다.
②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플랫폼 보유
나이벡은 자체 개발한 'NIPEP-TPP' 플랫폼을 활용해 경구제형 비만치료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2024년 12월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염증성장질환 치료제에서 경구제형의 효능을 입증하며 비만치료제 적용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이는 주사제 중심인 기존 GLP-1 시장과 차별화되는 강점입니다.
③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 협력 가속화
2025년 4월 한양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NP-201의 미국 제약사와의 기술이전(L/O)이 임박한 상황입니다. 섬유화 치료제로 개발 중인 NP-201은 비만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며, 이는 매출 성장으로 직결될 전망입니다.
5-2. 나이벡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① 펩타이드 기반 차별화된 신약 개발
나이벡은 20년 이상 축적한 펩타이드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NP-201(비만·섬유화 치료제), NIPEP-IBD(염증성장질환 치료제) 등을 개발 중입니다. 2024년 10월 호주 임상 1b상 결과에서 NP-201의 안전성과 효능이 검증되며 신약 후보물질로 입증되었습니다.
② 고부가가치 의료소재 사업 병행
치과용 골이식재와 콜라겐소재 사업으로 연간 26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매출총이익률 51.7%로 신약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자체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③ 글로벌 임상 및 규제 노하우 확보
미국 FDA 임상 2상 진입을 앞둔 NIPEP-IBD를 비롯해, 호주와 미국에서 NP-201의 임상을 진행하며 글로벌 신약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2025년 3월 보스턴 파마 서밋에서 16개 글로벌 기업과 협력 논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5-3. 나이벡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① NP-201의 기술이전 및 상업화 추진
2025년 6월까지 미국 제약사와의 본계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양증권에 따르면, 계약 상대방은 NP-201을 폐섬유증·비만·염증성장질환 등 다중 적응증으로 개발할 계획이며, 기술이전 성사 시 신약 파이프라인 가치가 재평가될 전망입니다.
② 비만치료제 적응증 확대
NP-201의 체지방 감소 효과를 활용해 당뇨병·고혈압 등 동반질환 치료 영역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합니다. 2024년 12월 동물실험에서 지방분화 억제 기능을 입증하며 2차 적응증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③ 경구제형 플랫폼 기술 확장
NIPEP-TPP 플랫폼을 활용해 비만치료제 외에도 역노화 치료제·KRAS 표적 항암제 등 다양한 경구용 신약 개발을 계획 중입니다. 2025년 3월 발표된 기사에 따르면, 경구제형의 약물 전달 효율을 3배 이상 개선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나이벡은 펩타이드 신약 개발과 안정적인 의료소재 사업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한 독특한 사업 모델을 갖추고 있습니다. NP-201의 기술이전이 성사될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크며, 경구제형 개발로 GLP-1 시장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할 전망입니다.
단기적으로는 2025년 6월 예정된 기술이전 계약 체결이 주요 변수이며, 장기적으로는 비만치료제 시장 확대(2033년 181조 원 예상)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신약 개발 특성상 임상 단계별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투자 시 파이프라인 진행 상황과 글로벌 제약사 협력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6. 디앤디파마텍 347850
6-1. 디앤디파마텍이 GLP-1 복제약 소송 승리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
① 독자적인 경구용 GLP-1 플랫폼 기술 보유
디앤디파마텍은 '오랄링크(Oralink)' 기술을 통해 기존 주사제 대비 편의성을 극대화했습니다. 노보 노디스크의 경구용 제품 대비 12.5배 높은 흡수율을 기록했으며, 음식 섭취 제한 없이 복용 가능한 점이 차별화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 기술은 저흡수율 문제를 해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②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임상 속도
미국 바이오벤처 멧세라와 협력해 경구용 비만 치료제 DD02S의 임상 1상을 2024년 11월 시작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간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으며, 성공적인 데이터 확인 시 기술 검증과 함께 주가 상승이 기대됩니다.
③ 다양한 적응증 포트폴리오 확보
비만 치료제 외에도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 DD01, 삼중작용제 DD15 등을 개발 중입니다. DD01은 4주 투여로 간내 지방 함량 51%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2026년 상반기 임상 2상 결과 발표 예정입니다.
6-2. 디앤디파마텍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① 경구용 치료제 기술 혁신
보고서에 따르면, 디앤디파마텍은 펩타이드 구조 설계와 제형 최적화 기술을 결합해 경구용 GLP-1의 성능을 극대화했습니다. 기존 대비 10배 이상의 흡수율과 낮은 생산 원가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② 글로벌 임상 개발 속도
MASH 치료제 DD01은 미국 FDA로부터 패스트트랙 지정을 받아 신속한 개발이 가능해졌습니다. 2025년 2분기 중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2026년 6월 결과 발표 예정입니다.
③ 다각화된 질환군 타깃
비만과 MASH 외에도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NLY01을 개발 중입니다.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치료제로의 확장을 통해 리스크 분산 구조를 형성했습니다.
6-3. 디앤디파마텍의 주요 사업계획
① 2025년 상반기 임상 결과 발표
경구용 비만 치료제 DD02S의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2025년 상반기 공개할 예정입니다. 성공적 데이터 확보 시 기술 검증과 파트너십 확대가 기대됩니다.
② 기술 이전 및 글로벌 협력 확대
2023년 멧세라와 체결한 1조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기반으로 추가 협력을 모색합니다. 특히 멧세라의 나스닥 상장이 가시화되며 시너지 효과가 예상됩니다.
③ 신규 파이프라인 연구개발 가속화
GLP-1·GIP·글루카곤 삼중작용제 DD15와 경구용 아밀린 계열 DD07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20개 이상의 글로벌 빅파마와 협업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6-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디앤디파마텍은 GLP-1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력과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경구용 플랫폼 기술과 글로벌 임상 속도는 경쟁사 대비 두드러진 강점입니다. 다만, 2025년 상반기 임상 결과에 따른 주가 변동성과 잠재적 오버행(51.8% 물량 해제) 리스크는 고려해야 합니다.
투자 포인트
- 기술 검증 가능성: DD02S 임상 1상 결과에 따른 단기 호재
- 장기 성장성: MASH 치료제 DD01의 2026년 상용화 전망
- 글로벌 협력 확대: 멧세라와의 추가 계약 및 파트너십 잠재력
2025.03.25 - [오늘의 특징주] - 개별 호재 바이오 관련주 6종목 | FDA 혁신 치료제 지정, 폐암 완치 등
2025.03.31 - [테마 종목] - 바이오 관련주 6종목 | 공매도·상호관세中 상승하는
2025.04.04 - [분류 전체보기] - 바이오주 6종목 관세 쇼크 '면제' 주목
2025.04.15 - [키워드 이슈 종목] - 생성형 AI 의료기기 임상 승인 관련주 6종목 분석
2025.04.16 - [키워드 이슈 종목] - AI홈닥터 원격의료 관련주 6종목 상승세 분석
'키워드 이슈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 수술 로봇 발표에 주목해야 할 의료기기 관련주 6 종목 (0) | 2025.04.30 |
---|---|
SKT 유심 해킹 사태, 보안 관련주 6종목 특징 (2) | 2025.04.29 |
미 해군장관 방한 MRO 20조 조선주 배경과 전망 (1) | 2025.04.27 |
낙스트라 나트륨이온배터리 공개 관련주 6종목 계획 (1) | 2025.04.27 |
주파수 경매 통신 관련주 6종목 특징 (1) | 2025.04.24 |
효과 연장 먹는 비만치료제 관련주 6종목 (2)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