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수술 의료기기 관련주는 일론 머스크가 수술용 로봇이 5년 내 최고 외과의사를 능가할 것이라 예측하였으며 뉴럴링크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이식에 로봇을 활용 중이며, ALS 환자 대상 성공 사례를 공개하면서, 이 발표에 힘입어 29일 국내 의료기기 관련주 상승세 나타났습니다. 수술로봇·의료AI 기술 발전이 관련 테마주 성장 동력으로 부각하였습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 머스크 "수술 로봇, 5년내 최고 외과의사 능가할 것"
머스크 "수술 로봇, 5년내 최고 외과의사 능가할 것" | 연합뉴스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수술용 로봇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몇 년 안에 인간 의사...
www.yna.co.kr
의료기기 관련주 목차
1. 알파녹스
2. 크라우드윅스
3. 고영
4. 쓰리빌리언
5. 더블유에스아이
6. 큐렉소
1. 알파녹스 043100
1-1. 알파녹스(043100)가 "로봇 수술 의료기기"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① 수술용 로봇과 연계된 의료기기 제조 역량
알파녹스는 척추·골절·인공관절용 임플란트 및 외과용 수술기구를 제조하는 국내 대표 기업입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수술용 로봇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고품질 수술 도구 공급이 필수적인데, 해당 분야에서 50년 이상의 기술력을 보유하며 로봇 수술 시스템과의 시너지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난 2024년 8월 발표된 딥테크 스케일업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AI 기반 의료기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② AI 헬스케어 기술과의 융합 전략
2025년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적용 온디바이스 AI 스케일업 밸리' 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알파녹스는 실시간 바이탈 신호 분석과 맞춤형 수면 관리 기술을 개발 중이며, 로봇 수술과 연계된 데이터 기반 의료 솔루션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이 기술은 향후 수술 로봇의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으로 활용될 전망입니다.
③ 글로벌 수출 확대를 통한 시장 선점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혁신 수출지향형' 사업에 선정되어 척추 임플란트 전용 접착제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보도된 바에 따르면, 이 접착제는 로봇 수술 시 임플란트 고정에 필요한 핵심 소재로, 미국·유럽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로봇 수술 분야에서의 해외 경쟁력 강화가 기대됩니다.
1-2. 알파녹스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의료기기와 헬스케어의 이중 사업 구조
알파녹스는 메디컬(수술기구·임플란트)과 헬스케어(온열매트·수소수기) 사업을 병행합니다. 2024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메디컬 부문이 전체 매출의 68%를 차지하며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구축했으나, 헬스케어 부문의 성장률이 최근 2년간 연평균 22%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② 정부 지원 R&D 프로젝트 참여
2025년 4월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중기부 등에서 총 4건의 국책 과제를 수행 중입니다. 특히 '온디바이스 AI 기반 헬스케어' 프로젝트에는 15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으며, 이는 향후 로봇 수술 분야로의 기술 확장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③ 드라마 협찬을 통한 마케팅 강화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를 비롯해 주요 의학 드라마에 수술기구를 협찬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기사에 따르면, 이 전략으로 국내 의료기기 시장 점유율이 전년 대비 9% 증가했습니다.
1-3. 알파녹스의 주요 사업계획
① AI 융합 의료기기 상용화
2027년까지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2025년 4월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심박수·혈압 등 바이탈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수술 로봇과 연동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2026년 상반기 시제품 공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② 글로벌 임상 시험 확대
미국 FDA 승인을 위한 임상 2상 진입을 준비 중입니다. 2024년 10월 유상증자로 조달한 360억 원 중 45%를 해당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며, 유럽 CE 인증 획득도 병행할 방침입니다.
③ 수술 로봇 호환 소재 개발
생분해성 접착제와 로봇 암(end-effector) 호환 수술기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중기부 과제 선정 당시, "3년 내 시장 출시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정부 지원 R&D를 바탕으로 한 기술 경쟁력 우위
- 로봇 수술 시장 성장에 따른 수요 증가 수혜 예상
- 2025년 4월 기준 PBR 1.03배로 업계 평균(2.16배) 대비 저평가 가능성
리스크
- 2024년 연간 영업손실 13억 원 기록으로 단기 수익성 불확실성
- 유상증자 물량(2024년 12월 )에 따른 주가 희석 우려
2. 크라우드윅스 355390
2-1. 크라우드웍스(355390)가 "로봇 수술 의료기기"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
① 의료 AI 데이터 구축 경험
크라우드웍스는 자회사 닥터웍스를 통해 의료 분야 AI 데이터 구축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의료 영상 분석, 수술 로봇 학습 데이터 가공 등에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를 제공하며, 국내 1,100명 이상의 자문 의료진과 협력해 축적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수술 로봇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평가받습니다.
② 생성형 AI 기술과의 시너지
최근 개발한 에이전틱 AI 솔루션 '알피(Alpy)'는 의료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을 지원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크라우드웍스는 수술 로봇의 의사 결정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AI 모델 학습 및 검증 서비스를 확대 중이며, LG AI연구원의 '엑사원(EXAONE)'과의 협업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③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과의 협력
2024년 하반기부터 일본 및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의료 AI 데이터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특히 자율주행 수술 로봇 개발을 위한 멀티모달 데이터(영상·음성·텍스트) 수집 및 가공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이는 뉴럴링크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과 유사한 맥락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2-2. 크라우드웍스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AI 데이터 라벨링 플랫폼
국내 최대 52만 명의 크라우드소싱 라벨러 인력을 기반으로 고품질 AI 학습 데이터를 공급합니다. 2024년 기준 누적 프로젝트 건수는 1,000건을 넘어섰으며,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학습 데이터 구축에도 참여했습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매출의 65% 이상이 데이터 사업에서 발생합니다.
② 맞춤형 LLM 개발 서비스
기업별 특화된 소형 언어모델(SLM)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국 딥시크社와 협력해 한국어 LLM 'R1'을 출시할 예정이며, 의료 기록 분석·수술 리포트 생성 등 B2B 시장 공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③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확장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와의 협력을 통해 Workstage™ SaaS 버전을 글로벌 시장에 론칭했습니다. 의료기기 기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 보안 및 실시간 협업 도구 수요가 증가하며, 2024년 매출의 24%를 AI 사업에서 기록했습니다.
2-3. 주요 사업계획 및 전략
① 의료 AI 데이터 시장 선점
닥터웍스를 통해 수술 로봇·영상진단기기 학습용 데이터 구축 프로젝트를 확대합니다. 2025년까지 의료 분야 매출 비중을 3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현재 국내 3대 병원과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② 에이전틱 AI 솔루션 고도화
자체 개발한 '알피(Alpy)'를 의료 현장에 적용해 수술 절차 최적화, 환자 데이터 분석 등 기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기업용 LLM과의 연동을 통해 실시간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을 구축 중이며, 2025년 2분기 중 첫 사례 발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일본 법인(CWJ)을 거점으로 아시아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프랑스 HEC 인큐베이터와 협약을 체결했으며, 유럽 의료기기 기업 대상 데이터 가공 수주를 목표로 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해외 매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할 전망입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크라우드웍스는 AI 데이터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의료기기 테마의 성장세를 선도할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353억 원(+54.8% YoY)을 기록하며 본격적인 실적 턴어라운드에 돌입했습니다. 특히 닥터웍스를 통한 의료 AI 사업 확장과 글로벌 클라우드 파트너십이 향후 성장 동력으로 꼽힙니다.
다만, 영업이익률이 아직 낮고(-15억 원, 2024년 기준) R&D 투자 확대로 단기적 자금 소요가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LLM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가격 압력이 지속될 경우 수익성 저하 가능성도 주의해야 합니다.
투자 포인트
- 의료 AI 데이터 수요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매출 성장
- 에이전틱 AI 솔루션 '알피'의 시장 선점 효과
- 일본·유럽 진출을 통한 글로벌 매출 다각화
3. 고영 098460
1. 고영이 "로봇 수술 의료기기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뇌수술용 의료로봇 '카이메로'의 기술력
고영은 국내 최초로 뇌수술용 의료로봇 '카이메로'를 개발한 기업입니다. 이 로봇은 환자의 의료 영상을 분석해 수술 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며, 삼성서울병원과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등 주요 대형 병원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1월 미국 FDA의 시판 전 허가(510(k))를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의 신호탄을 쐈습니다.
② 국내외 임상 성과와 파트너십 확보
삼성서울병원과의 공급 계약을 통해 2년간의 임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신경외과 분야에서의 우수성을 입증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이정일 교수는 "카이메로가 수술 성공률 향상과 합병증 감소에 기여했다"고 평가하며, 실제 수술 현장에서의 유용성을 강조했습니다.
③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인증 추진
고영은 현재 중국 NMPA, 유럽 CE, 미국 FDA 인증을 순차적으로 추진 중입니다. 2025년 하반기 FDA 승인을 목표로 하는 가운데,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해 매출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의료로봇 시장 규모가 2028년 5조 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전략입니다.
3-2. 고영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① 3D 검사장비 분야의 세계적 경쟁력
고영은 SMT(표면실장기술) 공정용 3D 검사장비 시장에서 세계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D SPI(납도포검사기)와 AOI(부품실장검사기)는 테슬라, 지멘스 등 글로벌 기업에 공급되며, 매출의 90% 이상을 해외 수출로 달성하고 있습니다.
② 의료로봇 사업의 기술 융합
반도체 및 전자제품 검사장비에서 쌓은 3D 측정 기술을 의료 분야에 접목했습니다. 카이메로는 로보틱스, 의료영상, 광학 기술이 결합된 융합 제품으로, 국내 의료기기 시장에서 차별화된 포지션을 확보했습니다.
③ R&D 투자를 통한 지속적 혁신
매출의 20%를 R&D에 투자하며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 9월 기준 300억 원 이상을 투입해 의료로봇의 정밀도 향상과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3. 고영의 주요 사업 계획
① 의료로봇 적용 범위 확대
현재 뇌수술에 특화된 카이메로를 척추 수술 등 신경외과 다른 분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추가 임상 시험을 진행하며, 신규 적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② 해외 인증 획득 및 시장 공략
미국 FDA 승인 후 유럽과 중국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방침입니다. 특히 중국은 의료로봇 수요가 연평균 25% 성장 중인 점을 고려해 현지 파트너십 구축에 나서고 있습니다.
③ AI 기술과의 시너지 강화
의료영상 분석에 AI 알고리즘을 접목해 수술 정확도를 높이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2025년 말까지 AI 기반 실시간 수술 지원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기술 선도성: 3D 검사장비와 의료로봇 분야에서의 독보적인 기술 보유.
- 성장 잠재력: FDA 승인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감이 높음.
- 다각화 전략: 반도체·의료로봇 사업의 균형 있는 포트폴리오 구축.
리스크 요인
- 해외 인증 지연: FDA 승인 절차가 예상보다 늦어질 경우 매출 성장에 차질 가능성.
- 경쟁 심화: 글로벌 의료로봇 업체들과의 경쟁에서의 생존력 검증 필요.
투자 포인트
2025년은 고영이 의료로봇 사업의 본격적인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해입니다. FDA 승인 여부와 해외 첫 수주 계약 발표가 주가 변동성의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부진이 지속되나, 장기 투자 관점에서 기술력과 시장 선점 효과를 고려해 관심을 가질 만한 종목입니다.
4. 쓰리빌리언 394800
4-1. 쓰리빌리언이 "로봇 수술 의료기기"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① AI 기반 진단 기술의 시너지 효과
쓰리빌리언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유전체 데이터에서 병원성 변이를 99.4% 정확도로 분석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술은 수술 전 환자의 유전적 특성을 파악해 로봇 수술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희귀질환 환자의 유전자 변이를 사전에 진단함으로써 수술 로봇의 오작동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② 글로벌 의료기업과의 협력 확대
2024년 11월, 쓰리빌리언은 미국 유전체 분석 기업 소마젠과 협약을 체결하며 북미 시장 진출을 가속화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소마젠은 코스닥 상장사로 의료기기 분야에서 신뢰도 높은 파트너입니다. 양사의 협력은 AI 진단 기술과 수술 로봇 플랫폼의 결합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③ 데이터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
회사는 7만 건 이상의 희귀질환 유전체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AI를 활용한 신약 후보 물질 발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이 데이터는 수술 로봇의 학습 모델 개선에도 활용될 수 있어 장기적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4-2. 쓰리빌리언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초정밀 AI 진단 시스템 "EVIDENCE"
5분 이내에 99.4% 정확도의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이 시스템은 의료 인력 소요를 99% 절감합니다. 2024년 미국 CAP 인증을 획득하며 기술력을 입증받았으며, 노바티스·다케다 등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 사례가 있습니다.
② 해외 매출 70%의 글로벌 사업 구조
2024년 상반기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70%에 달하며, 중동·북미·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 중입니다. 특히 KOTRA의 해외지사화 사업 지원으로 LA 현지 인프라 구축을 진행 중이며, 2027년 흑자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③ 신사업 다각화 전략
Full Service(종합 진단) 외에도 특정 질환 맞춤형 검사, SaaS형 소프트웨어 구독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2026년까지 신약 후보 물질 10건 이상 발굴 및 기술 이전 2건을 계획하며, 치료제 개발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4-3. 향후 사업 계획 및 성장 전략
① 미국 시장 본격 진출
2025년 상반기 중 텍사스 지역에 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며, 현지 의료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합니다. 기사에 따르면, 미국 희귀질환 진단 시장 규모는 2029년 50조 원 이상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② AI 알고리즘 고도화
현재 보유한 3Cnet(병원성 예측 시스템)의 정확도를 99.9%까지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경쟁사인 구글 딥마인드의 Alphamissense를 넘어서는 기술 우위를 목표로 합니다.
③ 치료제 개발 파이프라인 구축
희귀질환 데이터와 AI 플랫폼을 활용해 2026년까지 10개 치료제의 전임상 개발을 계획했습니다. 최근 이수앱지스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 물질을 발굴한 바 있습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AI 진단 분야에서의 기술적 초격차
- 글로벌 시장에서의 선점 효과(70여 개국 진출)
- 신약 개발을 통한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리스크
- 지속적인 적자 구조(2024년 상반기 영업손실 3,548억 원)
- 미국 시장 규제 장벽과 경쟁사 대응
투자 포인트
- 2025년 미국 법인 설대로 인한 매출 성장 예상
- AI 신약 플랫폼의 상용화 가능성
- 의료AI 테마의 장기 성장성
5. 더블유에스아이 299170
5-1. "더블유에스아이(299170)"가 로봇 수술 의료기기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
① 산부인과 수술용 AI 로봇 '유봇(U-BOT)' 개발 및 상용화
자회사 이지메디봇을 통해 국내 최초로 개발된 산부인과 복강경 수술용 어시스트 로봇 '유봇'을 2025년 상반기 중 상용화할 예정입니다. 유봇은 자궁 절제술, 자궁근종 절제술 등에서 의료진의 수술 정확도와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앞두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대병원에서 진행된 시험에서 93% 이상의 성공률을 기록하며 기술력을 입증받았습니다.
② 글로벌 특허 및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유봇은 국내 특허를 완료했으며 미국과 유럽을 대상으로 국제 특허 출원을 진행 중입니다. 또한 2024년 7월 품질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9001 인증을 획득해 제품 신뢰성을 강화했습니다. 이는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초석이 되고 있습니다.
③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기술 협력
2024년 6월 협동로봇 전문 기업 두산로보틱스와 MOU를 체결해 의료 로봇 솔루션 개발에 나섰습니다. 두산로보틱스의 로봇 암(ARM) 기술을 유봇에 접목해 수술 정밀도를 개선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국내외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5-2. 대표적인 사업 특징
① 의료 유통에서 제조·AI 로봇까지 사업 다각화
기존에는 국소지혈제, 척추 의료기기 유통이 매출의 70%를 차지했으나, 2024년 5월 의약품 제조사 인트로바이오파마를 인수하며 제조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2027년 완공 예정인 자동화 신공장을 통해 생산 역량을 3배 이상 늘릴 계획입니다.
②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심혈관 의료기기 시장 진출
영국 키말(KIMAL)과 협력해 중심정맥카테터(CVC)를 국내에 유통 중이며, 중국 Lifetech의 심장판막치료기기 '럭스 밸브'도 도입 예정입니다.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제품들을 통해 국내 심혈관 중재시술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③ R&D 투자를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
매출의 8%를 연구개발에 투자해 2025년 상반기 중 AI 로봇 사업 본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지메디봇은 2024년 8월 KOITA로부터 연구개발전담부서 인정을 받으며 정부 지원금 확보에도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5-3. 향후 주요 사업계획
① 2025년 유봇 상용화 및 해외 수출
2025년 1분기 식약처 허가를 받은 후 국내 시장에 유봇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동시에 동남아시아와 중동 지역을 대상으로 수출 계약을 추진 중이며, 현지 의료기관과의 시범 운영을 통해 현지화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② 자동화 신공장 구축을 통한 생산 효율성 개선
2027년까지 연간 300억 원 규모의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기존 대비 생산 능력을 3배 이상 확대합니다. 이를 통해 제조 원가를 15% 절감하고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③ AI 로봇 포트폴리오 확장
유봇에 이어 2026년까지 정형외과 수술용 로봇과 재활 치료용 로봇 개발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해 수술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는 기능을 추가해 차별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의료 로봇 분야에서의 기술 선점과 ISO 9001, 글로벌 특허 등으로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 400개 이상의 병원 네트워크를 보유해 유통과 제조 사업 간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 2025년 예상 매출 600억 원(전년 대비 48% 성장), 영업이익 60억 원(ROE 12%)로 성장성이 뛰어납니다.
리스크
- 로봇 사업의 상용화 지연 가능성과 규제 승인 절차의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 해외 시장 진출 시 현지 의료 규제와 경쟁사 대응이 필요합니다.
투자 포인트
고령화로 인한 의료 로봇 수요 증가와 AI 기술 접목으로 장기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단기적으로는 2025년 상반기 유봇 허가 여부와 하반기 실적 개선률을 주시해야 합니다.
6. 큐렉소 060280
6-1. 큐렉소(060280)가 "로봇 수술 의료기기"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① 첨단 수술로봇 기술 보유
큐렉소는 국내 최초로 인공관절 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CUVIS-Joint)'와 척추 수술로봇 '큐비스-스파인(CUVIS-Spine)'을 개발한 기업입니다. 특히 '큐비스-조인트'는 CT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뼈를 자동 절삭하는 완전 자동화 기술을 구현해 글로벌 경쟁사와 차별화되었습니다. 2024년 일본 후생노동성(PMDA)으로부터 제조판매 승인을 획득하며 해외 시장 진출의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② 재활로봇 사업 확장
'모닝워크(Morning Walk)'와 '인모션(InMotion)' 같은 재활로봇 라인업을 보유하며, 의료 현장의 수요 변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간병로봇 지원사업'에 선정되며, 재활 분야에서의 기술력을 공식 인정받았습니다. 이는 병원 내 인력 부족 문제 해결과 함께 신규 수익원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2023년 일본 교세라(KYOCERA)와의 독점 판매 계약 체결은 큐렉소의 해외 전략을 대표합니다. 교세라는 1조 8,000억 엔 규모의 매출을 올리는 글로벌 기업으로, 현지 유통망을 통해 일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이그젝텍(Exactech)과의 어깨 관절 임플란트 판권 계약(2025년 3월)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했습니다.
6-2. 큐렉소(060280)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R&D 중심의 기술 경쟁력
2024년 기준, 매년 55~60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해 기술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큐비스-스파인'은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으로부터 혁신의료기술로 선정되며 안전성과 잠재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이는 수술 정확도 향상과 병원 내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입니다.
② 해외 시장 개척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인허가를 확보하며 글로벌 판매망을 구축 중입니다. 2024년 3월 대만 식품의약청(TFDA)으로부터 '큐비스-조인트' 판매 승인을 완료했으며, 인도 메릴헬스케어와의 공급 계약을 통해 연간 100대 이상의 수술로봇 공급을 목표로 합니다.
③ 수직적 사업 구조
의료로봇(33%), 임플란트(13%), 무역(54%)으로 구성된 다각화된 사업 모델을 운영합니다. 무역 사업부문은 식품 원료 수입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며, 의료로봇 부문의 성장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6-3. 큐렉소(060280)의 주요 사업계획
① 신시장 진출 가속화
2025년 하반기 베트남과 태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입니다. 현지 의료기기 인증 획득과 현지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해외 매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② 신제품 라인업 강화
어깨 관절 임플란트(이그젝텍 기술 도입)와 AI 연동 수술로봇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발표 예정인 '큐비스-조인트 2.0'은 수술 시간 단축과 정밀도 향상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③ 병원 맞춤형 솔루션 제공
국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수술로봇 임대 프로그램을 확대해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전략입니다. 2024년 국내 20개 병원과 협약을 체결하며, 장비 도입 비용 부담으로 인한 수요 감소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6-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 성장 동력
글로벌 수술로봇 시장이 연평균 1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큐렉소는 자동화 기술과 가격 경쟁력으로 점유율 확보가 가능합니다.
✔ 리스크 요인
해외 인허가 지연 가능성과 경쟁사(인튜이티브 서저리컬 등)의 기술 격차가 주요 변수입니다. 또한, 무역 사업부문의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투자 전략
단기적으로는 일본 시장 진출 성과(2025년 10대 이상 판매 목표)와 국내 재활로봇 수주 확대를 주시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AI·로봇 기술의 융합으로 발생할 신규 사업 기회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현재 주가(2025년 4월 기준)는 PER 45배로 성장주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나, 실적 성장률 대비 저평가 여지가 있습니다.
2025.04.19 - [키워드 이슈 종목] - 비대면진료 2호 법안 관련주 6종목|약품 배송 제외
2025.04.20 - [키워드 이슈 종목] - 주사제 대체할 먹는 비만치료제 관련주 6종목
2025.04.23 - [오늘의 특징주] - FDA 허가 줄기세포 관련주 4종목 특징
2025.04.24 - [키워드 이슈 종목] - 효과 연장 먹는 비만치료제 관련주 6종목
2025.03.31 - [테마 종목] - 바이오 관련주 6종목 | 공매도·상호관세中 상승하는
'키워드 이슈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GLP-1 복제약 소송 승리로 주가 폭등한 비만치료제 관련주 TOP6 (0) | 2025.04.30 |
---|---|
SKT 유심 해킹 사태, 보안 관련주 6종목 특징 (2) | 2025.04.29 |
미 해군장관 방한 MRO 20조 조선주 배경과 전망 (1) | 2025.04.27 |
낙스트라 나트륨이온배터리 공개 관련주 6종목 계획 (1) | 2025.04.27 |
주파수 경매 통신 관련주 6종목 특징 (1) | 2025.04.24 |
효과 연장 먹는 비만치료제 관련주 6종목 (2)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