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세종시 이전 관련주는 민주당 이재명·김동연·김경수 후보 모두 세종시 행정수도 완전 이전을 공약으로 제시했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국회·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김동연 후보는 사법기관 청주 이전을 주장하며 충청권 표심 공략에 나섰습니다. 이에 세종시 인프라 개발 기대감이 확대되며 4월 18일 관련주들이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행정수도 이전은 수도권 집중 해소 및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가 예상됩니다.
▶출처: MBC 보도 " "세종으로 완전 이전"‥'행정수도' 치고 나왔다 "
2025.04.12 - [뉴스 종목] - K컬쳐 콘텐츠 관련주 5종목 주목 | 전략산업 지정
2025.04.13 - [뉴스 종목] - 게임 관련주 급등! K-콘텐츠 전략산업 지정
2025.04.13 - [키워드 이슈 종목] - 이재명 10조 AI컴퓨팅센터 관련주 주목
2025.04.15 - [키워드 이슈 종목] - 양자내성암호 시범사업 관련주 6종목 분석
2025.04.15 - [키워드 이슈 종목] - AI 100조 투자 창투사 관련주 5종목 급등
1. 계룡건설
1-1. 계룡건설(013580)이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① 충청권 대표 건설사로서의 입지
계룡건설은 대전·세종 지역을 기반으로 한 중견 건설사로, 세종시 행정타운 및 주거단지 시공 경험이 풍부합니다. 2024년 12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체결한 1,041억 원 규모의 평택고덕 공공주택 건설 계약을 통해 공공 인프라 분야에서의 역량을 입증했으며, 세종시 내 대형 프로젝트 참여 이력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습니다.
② 정책 발표 즉각적 수혜 기대
역대 대선 시즌마다 세종시 이전 논의가 재점화될 때마다 계룡건설 주가는 급등세를 기록해왔습니다. 2025년 4월 18일 민주당 대권 후보들의 세종시 완전 이전 공약 발표 직후, 주가가 전일 대비 29.92% 상승하며 상한가를 기록한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이는 정치적 이슈에 대한 시장의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사례로, 향후 추가 정책 추진 시 재차 수혜가 예상됩니다.
③ 인프라 확장에 따른 수요 증가
세종시 행정기능 강화에 따라 교량·도로·청사 건설 등 SOC(사회간접자본) 수요가 급증할 전망입니다. 계룡건설은 PHC 파일·교량용 자재 제조 부문에서 삼보산업(009620)과 협력하며 세종시 내 건설 자재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2023년 대한건설협회 시공능력 평가에서 충청권 1위를 차지한 바 있습니다.
1-2. 계룡건설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종합 건설 역량
건축(60.11%), 토목(19.66%), 분양사업(18.01%)을 아우르는 종합 사업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매출 2.98조 원 중 3.5%를 해외사업에서 차지하며, 인도네시아·필리핀 등 5개국에 현지 법인을 운영 중입니다.
② 공공 프로젝트 집중
LH·방위사업청 등 정부 기관과의 협업 실적이 두드러집니다. 2025년 2월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5-1L5BL 아파트 건설공사 시공사로 선정되었으며, 2024년 12월 평택고덕 공공주택 사업 수주로 2028년까지 1,041억 원 규모의 수익을 확보했습니다.
③ 기술 경쟁력 강화
2023년 31.7억 원 규모의 R&D 투자를 진행하며 모듈러 주택·스마트팜 등 신사업 분야에 진출했습니다. 특히 스마트시티 연계 기술 개발을 통해 세종시 내 첨단 인프라 수주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1-3. 주요 사업계획 및 전략
① 해외 시장 다각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현지 법인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인프라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2024년 방글라데시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해외 매출 비중을 5%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② 스마트 건설 기술 도입
자체 개발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적용해 공사비 절감(약 15%) 및 일정 단축(20%) 효과를 달성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접목한 주상복합 건설 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③ 수익성 중심 사업 선별
2023년 이후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해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 4% 유지를 목표로, 고마진 민간 분양사업 비중을 25%까지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세종시 내 프리미엄 아파트 단지 개발에 집중할 방침입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세종시 이전 기대감이 단기 주가 동력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중장기 성장 요소가 존재합니다.
정치적 리스크 헤지 가능성: 여야를 막론하고 지역균형발전 정책 추진이 지속되며, 세종시 개발 수요는 장기적으로 유지될 전망입니다.
배당 안정성: 2025년 예상 배당수익률 3.04%로 건설업계 평균(2.1%) 대비 높은 편이며, 5년 연속 배당 성장 기록 중입니다.
2. 대주산업
2-1. 대주산업이 세종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구체적 이유
① 세종시 인근 부동산 보유
대주산업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과 서천군 장항읍에 공장을 운영하며, 세종시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에 위치합니다. 2025년 4월 8일 더불어민주당의 행정수도 이전 특별조치법 발의 소식에 따라 세종시 인근 부동산을 보유한 기업으로 수혜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보도 자료에 따르면, 대주산업은 세종시와 인접한 지역에 약 3만 평 규모의 토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② 충청권 인프라 구축 참여 경험
과거 대주산업은 세종시 인근 지역에서 장기간 사업을 영위하며 축적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건설·유통 분야에서의 역량을 인정받았습니다. 2023년 12월 충청권 공공시설 리모델링 사업에 참여한 실적이 있으며, 이는 향후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추가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으로 평가됩니다.
③ 정치적 이슈 대응 경험
2020년 7월 정치권의 행정수도 이전 논의 당시 대주산업은 46.54%의 주가 상승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2025년 3월에도 세종시 완전 이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22% 이상의 급등을 보이며 시장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는 정책 변화에 따른 주가 변동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사례로 분석됩니다.
2-2. 대주산업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① 동물식용 배합사료 전문 기업
대주산업은 1962년 설립된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 기업으로, 양축사료와 반려동물 사료를 주력으로 생산합니다. 2024년 12월 기준 전체 매출의 78%가 사료 사업에서 발생하며, 특히 반려동물 사료 '캣츠랑', '도그랑' 시리즈는 국내 시장 점유율 15%를 차지합니다.
② 종속회사를 통한 사업 다각화
동물용의약품 제조업체인 남전물산을 종속회사로 보유하며, 사료-의약품 연계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2024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60억 원으로 전년 대비 0.9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9.45%를 기록해 업계 평균(6.2%)을 상회했습니다.
③ 안정적인 재무 구조
2024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16%로 동종 업계 평균(35%) 대비 우수한 편입니다. 현금성 자산은 237억 원이며, 2024년 주당 40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해 시가배당률 2.7%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3. 대주산업의 주요 사업계획
① 프리미엄 반려동물 사료 시장 공략
2025년 상반기 중 고단백·저알러지 제품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관련 기사에 따르면, 2024년 12월 국내 최초 발효효소 적용 사료를 출시하며 R&D 투자액을 전년 대비 18% 증액했습니다.
②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 확대를 목표로 합니다. 2025년 3월 베트남 현지 법인 설립을 완료했으며, 연간 50억 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한 상태입니다.
③ ESG 경영 강화
2026년까지 공장 내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2024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폐기물 재활용률을 92%에서 95%로 상향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대주산업은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논의에 따른 정책 수혜 기대감과 반려동물 산업 성장이라는 두 가지 메가트렌드에 동시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상으로는 20일·60일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을 형성하며 상승 모멘텀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
- 정책 리스크 대비: 세종시 인근 부동산 보유로 인한 개발 수요 증가 가능성
- 산업 성장성: 국내 반려동물 사료 시장 연평균 성장률 12% (2023~2027년 전망)
- 재무 안정성: 낮은 부채비율과 안정적인 현금흐름으로 하방 리스크 감소
3. 프럼파스트
3-1. 프럼파스트(035200)가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구체적 이유
① 세종시 내 생산 거점 확보
프럼파스트는 세종시 연동면에 약 3만 3,000㎡ 규모의 배관자재 생산 공장을 운영 중입니다. 2024년 12월 발표된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이 공장은 PB파이프 및 배관 이음관 등 건설 현장 필수 자재를 생산하며,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인프라 수요 증가 시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② 세종시 토지 자산 보유
2025년 3월 기준, 프럼파스트는 세종시에 약 50억 원 상당의 토지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기업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당 토지의 장부가치는 10억 원이지만 시장가치가 5배 이상으로 평가되며,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③ 정치적 이슈와의 연동성
2025년 4월 18일 보도된 언론 기사에 따르면, 주요 대선 후보들의 세종시 이전 공약 발표 직후 프럼파스트 주가가 6.36% 상승했습니다. 이는 2020년 7월 행정수도 논의 당시 15.26% 급등세를 기록한 역사적 패턴과 유사하여 테마주로서의 매력도를 입증했습니다.
3-2. 프럼파스트(035200)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① 건설 소재 분야 전문성
프럼파스트는 1992년 설립 이후 건축용 플라스틱 배관자재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왔습니다. 2024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 보고서에 따르면, PB파이프 국내 점유율 25%를 기록하며 애경리메텍에 이어 2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② 해외 시장 진출 확대
중국 칭다오에 생산법인을 설립해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중국 매출이 전년 대비 185.3% 증가하며 신성장동력으로 부각되었습니다.
③ 수익성 안정성
2024년 연간 영업이익률은 8.2%로 건설 소재 업계 평균(5.1%)을 상회했습니다. 동절기 매출 감소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공공기관 발주 증가로 4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3.1% 성장하며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입증했습니다.
3-3. 프럼파스트(035200)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① 신제품 개발 투자 확대
2025년 상반기 증권사 애널리스트 리포트에 따르면, 프럼파스트는 기존 PB파이프 제품군에 더해 친환경 배관재(ECO-PIPE) 개발에 120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이는 2026년까지 매출의 30%를 신제품에서 발생시키겠다는 목표와 연계됩니다.
② 동남아 시장 진출 가속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현지 법인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2025년 3월 발표된 해외진출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현지 건설 붐과 인프라 수요를 활용해 2027년까지 동남아 매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
③ 스마트팩토리 구축
세종시 공장에 AI 기반 생산설비 도입을 통해 원가 절감에 나섭니다. 2025년 2월 기업 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연간 35억 원의 인건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3-4. 프럼파스트(035200)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인프라 수요 증가 수혜 가능성
0.86배의 낮은 PBR로 저평가 우려 완화
2025년 예상 PER 23.27배로 업계 평균(30.1배) 대비 투자 매력도 존재
리스크
원자재 가격 변동성(폴리부틸렌 수입 의존도 80%)
정치적 변수에 따른 테마주 변동성 확대 가능성
투자 포인트
단기적으로는 세종시 테마에 따른 수급 호조를, 중장기적으로는 해외 사업 확장과 스마트팩토리 효과를 주시해야 합니다. 특히 2025년 2분기 예정된 인도네시아 법인 설립 관련 추가 공시가 긍정적인 주가 반응을 이끌어낼 것으로 전망됩니다.
4. 유라테크
4-1. 유라테크가 세종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구체적 이유
① 세종시 내 토지 및 공장 보유
유라테크는 세종시에 약 122억 원 상당의 토지와 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 산업통상자원부의 메가시티 조성 계획 발표 당시 해당 토지가 부각되며 주가가 12% 상승한 바 있습니다. 행정수도 이전 시 부동산 가치 상승 기대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② 정부 지원을 통한 지역 대표 기업 지위
2021년 10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세종시 지역대표 중견기업으로 선정되며 연간 4억 원의 R&D 지원금을 받았습니다. 이는 행정수도 이전 시 인프라 확충에 필요한 정부 지원을 선점할 수 있는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③ 정치적 이슈와의 연계성
2025년 3월 이재명 대표의 세종시 대통령실 이전 검토 지시 직후, 유라테크 주가는 시간외 시장에서 4.95% 급등했습니다. 2003년 노무현 정부 당시 행정수도 이전 논의 시기와 유사한 주가 움직임을 보이며 테마주로서의 매력도를 입증했습니다.
4-2. 유라테크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자동차 점화 시스템 전문성
유라테크는 국내 점화코일 시장 62%, 점화플러그 시장 15%를 점유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와의 안정적인 공급 관계를 바탕으로 2024년 연결매출 2,035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② 기술 혁신과 품질 관리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을 도입해 제품 개발부터 양산까지 품질을 통제합니다. 특허 108건, 디자인권 10건을 보유하며, 2025년 3월 증권보고서에서는 EV용 인렛 온도센서 개발로 전기차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③ 글로벌 시장 진출
중국 일조승우무역유한공사와 베트남 현지법인을 통해 해외 매출 비중을 35%까지 확대했습니다. 2025년 1분기 해외 수주량이 전년 대비 18%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4-3. 주요 사업 계획 및 전략
① 전기차 부품 사업 확대
2025년 4월 10일 매경증권 기사에 따르면, EV 충전 시 인렛단자 과열방지용 온도센서를 유라코퍼레이션에 공급 중입니다. 향후 3년 내 전기차 관련 매출 비중을 3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② 충청권 인프라 수혜 대응
세종시 부강면에 위치한 10만㎡ 규모 공장을 활용해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건설 자재 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8일 산업부 자료에 따르면 세종시 인근 건설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신규 라인 증설을 검토 중입니다.
③ R&D 투자 강화
2025년 3월 11일 공시된 연결영업이익 110억 원(전년 대비 74.2% 증가) 중 23억 원을 R&D에 재투자했습니다. 자율주행차용 정밀 센서 개발에 약 50억 원을 추가로 투입할 예정입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유라테크는 행정수도 이전 테마와 자동차 부품 시장 성장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종목입니다. 세종시 토지 보유와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단기적 수혜가 기대되며, 전기차 부품 사업 확대로 중장기 성장 동력도 확보했습니다.
다만 2025년 3월 2일 한국기업평판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자동차부품업계 내 브랜드 영향력은 15위로 아직 개선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정치적 변수에 따른 주가 변동성 리스크도 존재하므로, 매수 시점과 장기 투자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5. 희림
5-1. "희림 037440" 종목이 세종시 이전 관련주로 포함된 구체적인 이유
① 세종시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설계 수주 실적
2023년 10월 희림은 세종 5-1생활권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사업의 건축설계를 수주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세종시 내 모빌리티·에너지·교육 등 7대 혁신 요소를 반영한 도시공간 계획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약 241억 원 규모의 설계용역 계약을 체결하며, 향후 행정기관 이전에 따른 추가 수요 발생 가능성이 큽니다.
② 세종시 내 토지 및 시설 보유
희림은 세종시 연동면에 공장 부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 이전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만큼, 해당 부지의 자산 가치 재평가 효과가 기대됩니다. 실제로 최근 세종시 아파트 거래량이 전월 대비 84% 증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③ 정부 발주 사업 참여 경험
희림은 인천국제공항, 사우디 NEOM 시티 등 대형 공공 프로젝트 설계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행정수도 이전과 연계된 인프라 개발 시,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추가 수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희림의 2024년 예상 매출액은 2,484억 원으로 전년 대비 9.8% 성장할 전망입니다.
5-2. "희림 037440" 종목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글로벌 건축설계 역량
희림은 세계 7위 건축설계사로, 인천공항·사우디 공항·카타르 월드컵 경기장 등 해외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2023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은 30%를 넘어섰으며, 특히 중동 지역에서의 수주 확대가 두드러집니다.
② 스마트시티 및 친환경 기술 강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VR/AR 기반 설계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시티 구현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세종시 국가시범도시 프로젝트에서는 에너지 효율화 시스템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해 미래형 도시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③ 종합 건설 관리(CM) 사업
희림은 설계부터 감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22년 CM 사업 매출은 1,127억 원으로, 국내 대형 건설사와의 협력을 통해 프로젝트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5-3. "희림 037440" 종목의 주요 사업계획
① 해외 시장 공략 확대
2025년 사우디 NEOM 시티와 EXPO 유치 관련 인프라 투자에 대응해 현지 지사와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증권사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매출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②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 집중
세종시를 시작으로 창원·부산 등에도 스마트시티 모델을 확장할 예정입니다. 특히 자율주행차 기반 모빌리티 시스템과 에너지 자립형 주거단지 설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③ 기술 혁신을 통한 수익성 제고
친환경 건축물 인증(LEED·G-SEED) 획득을 위한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4년 연구개발비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98억 원으로 편성됐으며, 이를 통해 고부가가치 프로젝트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5-4. "희림 037440" 종목의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종합 평가
희림은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테마와 스마트시티 수요 증가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대표 종목입니다. 2024년 예상 PER은 5.3배로 업계 평균(8.2배) 대비 저평가되어 있으며, PBR 0.76배 역시 매력적입니다. 다만, 해외 프로젝트 수주 지연이나 국내 부동산 시장 침체는 리스크 요인으로 주의해야 합니다.
투자 포인트
- 저평가 역전 가능성: 현재 주가가 52주 최고가 대비 33% 하락한 구간에서 저점 매수 기회
- 배당 수익률: 연간 4.1%의 안정적 배당 제공(2024년 예상 기준)
- 장기 성장성: 글로벌 인프라 투자 확대와 국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확장에 따른 수혜 예상
6. 신신제약
6-1. 신신제약이 세종시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① 세종시 본사 및 대규모 부지 보유
신신제약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세종첨단산업단지 내 3만 8,285㎡ 규모의 대규모 부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종시 인프라 개발 수요 증가 시 토지 가치 상승이 기대된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신신제약은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정책과 연계해 추가적인 사업 확장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② CDMO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
신신제약은 기존 CMO(위탁생산) 사업을 CDMO(위탁개발생산)로 확대하며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세종시에 위치한 공장은 향후 정부 지원 인프라 프로젝트와 연계될 경우, 의약품 생산 물량 증가 및 수익성 개선이 예상됩니다. 2025년 1월 보도에 따르면, 세종 공장의 생산 품목 다각화를 통해 연간 500억 원 규모의 매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③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감
행정수도 이전으로 인한 세종시 인구 유입 증가는 의약품 수요 확대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신신제약은 세종시 소재 기업으로서 지역 내 의료 인프라 확충에 따른 수혜를 입을 수 있으며, 이는 매출 성장으로 직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 4월 증권사 리포트에서는 세종시 내 의약품 유통망 강화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를 기대한다는 분석이 제기되었습니다.
6-2. 신신제약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첩부제 시장 선점
신신제약은 국내 최초로 TDDS(경피약물전달시스템) 기술을 적용한 첩부제(파스)를 상용화했습니다. 대표 제품인 '신신파스 아렉스'는 6년 연속 브랜드파워 1위를 차지하며 시장 점유율 40% 이상을 유지 중입니다. 2024년 3월 기사에 따르면, 해당 제품의 국내 매출은 연간 600억 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② 글로벌 시장 진출
중국을 비롯한 해외 시장 공략에 적극적입니다. 2024년 3월 보도에 따르면, 신신파스 아렉스의 중국 수출을 시작으로 동남아 및 중동 지역으로 판매망을 확대 중이며, 2025년 해외 매출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③ R&D 투자 강화
경피형 과민성 방광염 치료제(임상 3상), 마이크로니들 기반 비만 치료제(임상 1상) 등 차세대 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인터뷰에서 이병기 대표는 "의약품 수익의 15%를 R&D에 재투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6-3. 주요 사업계획 및 전략
① CDMO 사업 확대
2025년 기준 신신제약은 세종 공장의 생산 라인을 3개에서 5개로 늘리고, 연간 생산 능력을 30% 증대할 계획입니다. 특히 mRNA 백신 원액 생산 설비 도입을 검토 중이며, 이는 국내 제약사 중 선도적인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② 마이크로니들 기술 상용화
피부 투과 효율을 높인 마이크로니들 패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기사에 따르면, 탈모 치료제와 항노화 화장품 분야에서 기술 라이선싱을 추진 중이며, 2026년 상반기 중 시장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③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입
2025년 상반기 중 '플렉스' 시리즈를 출시하며 의약품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합니다. 세종 공장에 별도의 생산 라인을 구축해 초기 연간 50억 원 규모의 매출을 목표로 합니다.
6-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신신제약은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수혜주로서 토지 자산 가치 상승과 지역 내 수요 증가라는 이중적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TDDS 기술을 기반으로 한 첩부제 시장에서의 경쟁력은 물론, CDMO 사업과 마이크로니들 신제품 라인업을 통해 중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한 점이 긍정적입니다.
다만, 2025년 현재 주가 수익률(PER) 35배로 동종 업계 평균(25배) 대비 높은 편이며, 해외 시장 진출 성과가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평가 절상 폭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단기 투자보다는 세종시 개발 계획 진행 상황과 신제품 판매 실적을 꾸준히 모니터링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2025.04.16 - [뉴스 종목] - 트럼프 희토류 수입 안보 조사 관련주 5종목
2025.04.17 - [키워드 이슈 종목] - 선택적 모병제 방산 관련주 6종목
2025.02.26 - [오늘의 특징주] - STO 법제화 관련주 5종목, 토큰 증권 제도화
2025.03.01 - [테마 종목] - [오늘의 테마] 이재명 관련주 5종목, 한국갤럽 여론조사 1위
2025.03.01 - [테마 종목] - [오늘의 테마] 영상콘텐츠 관련주 5종목 분석, 글로벌 OTT 계약 확대
'키워드 이슈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믹스 정책" 확대로 주목 받는 원전주 5종목 (0) | 2025.04.19 |
---|---|
비대면진료 2호 법안 관련주 6종목|약품 배송 제외 (1) | 2025.04.19 |
사재기 광풍 K뷰티 관련주 6종목 (2) | 2025.04.18 |
상호관세 면세 태양광 관련주 6종목 (0) | 2025.04.18 |
선택적 모병제 방산 관련주 6종목 (0) | 2025.04.17 |
AI홈닥터 원격의료 관련주 6종목 상승세 분석 (2)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