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종목

K컬쳐 콘텐츠 관련주 5종목 주목 | 전략산업 지정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4. 12.

K컬쳐 콘텐츠 관련주

K컬쳐 콘텐츠 관련주는 더불어민주당이 드라마·영화·웹툰·게임 등 K-콘텐츠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제작비 세액공제를 현행 5~15%에서 30% 수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재명 전 대표는 'K-이니셔티브' 정책 비전을 발표하며 E-스포츠 생태계 조성, 게임 등급제 현대화 등 게임산업 지원책도 포함했는데, 이에 411일 관련주들이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출처: 조선일보 보도  " [단독] 민주, ‘K-컬쳐’ 전략산업 지정·세제 지원 공약 추진 "

 

2025.03.13 - [오늘의 특징주] - K뷰티 화장품 관련주 6종목 | 미국 경기 침체에도 해외 수출 상승

 

2025.03.17 - [오늘의 특징주] - 방한 관광객 11% K뷰티 화장품 구매 관련주 6종목

 

2025.03.21 - [오늘의 특징주] - 음식료 가격인상 관련주 4종목

 

2025.03.24 - [오늘의 특징주] - 미중 갈등에 한한령 해제 기대감 | 중국 소비 관련주 6종목

 

2025.04.01 - [오늘의 특징주] - 틱톡 매각 광고 관련주 5종목

 

K컬쳐 콘텐츠 관련주1

 

 

1. 스튜디오미르

K컬쳐 콘텐츠 관련주2

1-1. 스튜디오미르(408900)K-콘텐츠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

글로벌 OTT 플랫폼과의 협력 강화

스튜디오미르는 넷플릭스, 워너브라더스 등 글로벌 OTT와 장기 계약을 체결하며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20253월 중국의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커지면서 북미와 아시아 시장 동시 진출 가능성이 부각되었습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중국 양회에서 한류 제한 완화 논의가 진행되자 동사의 주가가 20% 이상 급등한 바 있습니다.

정부의 세액공제 확대 정책 직접 수혜

20243월 정부는 영상콘텐츠 제작비의 30% 세액공제를 발표했으며, 스튜디오미르는 중소기업으로서 최대 30%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제작비 부담 감소로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KoBiz 보도에 따르면, 국내 지출비용 80% 이상 조건을 충족해 추가 공제까지 적용 가능합니다.

자체 IP 개발을 통한 수익 다각화

동사는 2023123D 애니메이션 사업부를 분할해 스튜디오미르CGI를 설립하며 IP 확보에 나섰습니다. 유진투자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2025년까지 자체 IP 기반 애니메이션 제작을 확대해 장기 성장동력을 구축 중입니다.

1-2. 스튜디오미르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애니메이션 총괄 제작 역량

프리프로덕션(기획)부터 포스트프로덕션(편집)까지 전 과정을 내재화해 높은 완성도를 자랑합니다. 2022년 키움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총괄 제작 방식으로 일반 제작 대비 4.8배 높은 수주 단가를 기록하며 수익성을 강화했습니다.

성인 대상 애니메이션 특화

주니어 콘텐츠가 주류인 국내 시장과 달리, 성인층을 타깃으로 한 2D 애니메이션에 집중합니다. ‘위쳐: 늑대의 악몽’, ‘할리퀸등 작품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했습니다.

해외 법인을 통한 현지화 전략

미국 법인(Studio Mir US)을 통해 현지 유통사와 직접 협업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2023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매출 비중이 70%를 넘어섰습니다.

1-3. 스튜디오미르의 주요 사업 계획

중국 시장 진출 가속화

2025년 상반기 한한령 해제를 앞두고 중국 내 애니메이션 유통 채널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3월 증권가 리포트에 따르면, 현지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제작·유통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메타버스·AI 기술 도입

202410월 공모자금 152억 원을 투입해 VFX(시각효과) 기술 개발과 AI 기반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을 구축 중입니다. 이는 제작 기간 단축과 원가 효율화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IP 라이선싱 사업 확장

자체 개발한 IP를 게임, 굿즈 등으로 확장해 장기적인 로열티 수익을 창출할 계획입니다. 20251분기 기준 3개의 신규 IP를 확보했으며, 2026년까지 매출의 20%를 라이선싱에서 발생시킬 목표입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스튜디오미르는 K-콘텐츠 정책 수혜와 글로벌 시장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종목입니다. 다만, 제작 계약 의존도가 높아 매출 변동성이 크다는 점과 20254월 기준 P/S 비율이 4.8배로 업계 평균(1.5) 대비 고평가된 점은 리스크 요인입니다.

투자 포인트

단기: 한한령 해제와 세액공제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중장기: 자체 IP 포트폴리오 확장과 기술 투자를 통한 수익성 강화

K컬쳐 콘텐츠 관련주3

2. M83

K컬쳐 콘텐츠 관련주4

2-1. M83(476080)K-콘텐츠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구체적 이유

VFX 기술을 통한 K-콘텐츠 제작 참여

M83은 드라마, 영화, OTT 콘텐츠의 시각효과(VFX) 제작 분야에서 국내 1위 기업입니다. 대표적으로 영화 <한산: 용의 출현>의 해전 장면을 구현하며 726만 관객을 동원하는 데 기여했으며, 최근 넷플릭스 오리지널 <스위트홈2·3>의 크리처 디자인을 담당했습니다. 이러한 실적은 K-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 재개에 따른 수혜 기대

2025년 상반기 중국의 한한령 해제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M83은 현지 블록버스터 프로젝트 수주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411월 중국 감독 한연의 SF 영화 <성하입몽> 메인 VFX 제작사로 선정되었으며, 대형 테마파크 실감형 콘텐츠 협업도 진행 중입니다. 이는 중국 내 K-콘텐츠 수요 증가에 따른 실적 성장 가능성을 반영합니다.

정부 지원 정책과의 시너지

더불어민주당의 K-콘텐츠 전략산업 지정 및 세액공제 확대 방안은 M83의 사업 모델과 직결됩니다. 제작비 세액공제율이 30%로 상승할 경우, M83R&D 투자와 해외 진출 비용 절감 효과가 예상됩니다. 특히 게임·e스포츠 생태계 지원책은 VFX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그래픽 솔루션 수요 증가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2-2. M83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차별화된 VFX 기술력

M83은 워터 시뮬레이션, AI 기반 크리처 제작 등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 개발한 메타씬 크리에이터는 가상 공간 연출 기술로, 영화·게임·메타버스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노르웨이 VFX 스튜디오 김프빌 인수를 통해 유럽 시장에 진출했으며, 2025년 미국 진출을 위해 현지 기업 인수 협상 중입니다. 특히 할리우드급 VFX 시장 규모(10조원 이상)를 고려할 때 해외 매출 비중 확대가 기대됩니다.

수익원 다각화 전략

기존 영화·드라마 중심 사업에서 테마파크 어트랙션, 클라우드 기반 VFX 솔루션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2024년 기준 테마파크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68% 증가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는 제작 기간 단축 효과로 국내 OTT 업체들과의 협업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2-3. M83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미국 시장 공략 본격화

2025년 중 노르웨이 계열사를 거점으로 북미 시장 진출을 추진 중입니다. 할리우드 스튜디오와의 협업을 통해 마블·DC 코믹스 원작 영화의 VFX 수주를 목표로 하며, 기술 검증을 위해 2026LA 지사 설립을 계획했습니다.

실감형 콘텐츠 플랫폼 구축

KIST와의 협력으로 개발 중인 실시간 3D 객체 식별 기술을 2025년 말 상용화할 예정입니다. 이 기술은 게임·메타버스·가상 프로덕션 분야에 적용될 예정이며, 국내 최초로 유니티·언리얼 엔진과의 호환성을 확보했습니다.

ESG 경영 강화

2024년 지속가능성 보고서에 따르면, M83VFX 제작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 30% 감축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친환경 렌더링 기술 도입과 재활용 가능한 장비 사용 비율을 2026년까지 70%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2-4. M83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K-콘텐츠 수출 확대와 정부 지원 정책의 직접적 수혜 기업
  •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기술력과 해외 매출 성장세(2024년 해외 매출 42% → 2025년 예상 58%)
  • OTT·게임·테마파크 등 신사업 다각화로 안정성 확보

리스크

  •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아 한한령 재개 시기 지연에 따른 영향
  • VFX 업계의 인력 부족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 압력

투자 포인트

단기적으로는 20255월 예정된 중국 문화 사절단 방한 협의 결과를,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시장 진출 성과를 주시해야 합니다. 또한 2026년 예정된 게임 등급제 개편이 VFX를 활용한 실시간 그래픽 수요를 촉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5.03.01 - [오늘의 특징주] - TSMC 팹리스 투자 검토 퓨리오사AI 관련주

 

2025.03.12 - [오늘의 특징주] - 미키17 중국 개봉 엔터 관련주 6종목

3. 에이스토리

K컬쳐 콘텐츠 관련주5

3-1. 에이스토리(241840)K-콘텐츠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글로벌 OTT 플랫폼과의 협력 강화

에이스토리는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 글로벌 OTT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콘텐츠 수출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190개국에 방영권을 판매하며 4억 시간의 시청 기록을 달성했고, 유괴의 날은 아마존과의 계약으로 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습니다. 이는 K-콘텐츠의 글로벌 수요 증가와 맞물려 향후 매출 확대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자체 IP(지식재산권) 활용을 통한 다각화 전략

에이스토리는 제작한 드라마의 IP를 리메이크 판권 판매, 웹툰·게임·OST 등으로 확장하는 사업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78%IP 관련 수익으로, 우영우의 미국 리메이크 계약 진행과 킹덤게임 출시 예정 등 추가 수익 창출이 기대됩니다. 이는 단순 제작 수익을 넘어 장기적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습니다.

정책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력

중국 APEC 회의 개최를 앞두고 한중 문화 교류 확대 움직임이 활발해지며, 에이스토리는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네트워크를 미리 구축했습니다. 최근 진행 중인 4개 대형 프로젝트 중 2건이 중국 진출과 직접 연계되어 있으며, 한한령 해제 시 기존 협력 관계를 토대로 빠른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2. 에이스토리(241840)의 대표적 사업 특징

고퀄리티 드라마 제작 역량

에이스토리는 ENA·넷플릭스와 협업해 우영우, 모래에도 꽃은 핀다등 흥행작을 배출하며 제작 능력을 인정받았습니다. 2023년 기준 제작 편당 평균 제작비는 150억 원 수준으로, 대규모 예산 투입과 세밀한 스토리텔링으로 완성도를 높인 것이 특징입니다.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제휴

아시아·유럽·북미 시장을 겨냥한 라이선스 계약과 현지 제작사와의 공동 제작을 확대 중입니다. 20252월 발표에 따르면, 유괴의 날영국 리메이크 프로젝트가 추진 중이며, 미국·프랑스·터키 등 7개국과 리메이크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정부 지원 정책 적극 활용

정부의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 공제 확대(최대 30%) 정책에 발맞춰 국내 지출 비중 80% 이상의 작품을 집중 제작 중입니다. 20243월 발표된 미디어·콘텐츠 산업융합 발전방안에 따라 1조 원 규모의 K-콘텐츠 전략펀드 투자도 예정되어 있어 재무 안정성 개선 효과가 기대됩니다.

3-3. 에이스토리(241840)의 주요 사업 계획

글로벌 OTT 시장 공략 가속화

2025년 하반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DAO(제작비 300억 원)와 애플TV+를 위한 시즌제 드라마 제작을 준비 중입니다. 특히 AI 기술을 접목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개발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으며, 향후 3년 내 해외 매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IP 확장을 통한 수익 다각화

우영우IP를 활용한 뮤지컬·웹툰·게임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20252월 기준, 미국 리메이크 계약금만 200억 원을 돌파했으며, 영화화와 브랜드 협업을 통한 라이선스 수익도 기대됩니다.

정책 자금 활용한 대형 프로젝트 추진

정부의 K-콘텐츠 복합문화단지 조성 사업에 참여해 2035년까지 제작 스튜디오·체험관·교육센터를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제작 인프라 확보와 함께 관광 수익 연계를 목표로 하며, 2026년까지 5조 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넷플릭스·아마존 등 글로벌 플랫폼과의 협업으로 해외 시장 성장 가능성 확보.
  • 자체 IP를 활용한 수익 다각화로 장기적 안정성 예상.
  • 정부의 K-콘텐츠 지원 정책 수혜로 재무 구조 개선 효과 기대.

리스크

  • 단기적 실적 변동성(제작 일정 지연·흥행 실패 가능성).
  • 해외 리메이크 계약 성사 여부에 따른 주가 변동성.

투자 포인트

  • 2025년 5월 중국 APEC 회의에서 한한령 해제 공식화 시 수혜 예상.
  • 2026년 K-콘텐츠 복합문화단지 착공에 따른 테마주 상승 가능성.

K컬쳐 콘텐츠 관련주6

4. 코퍼스코리아

K컬쳐 콘텐츠 관련주7

4-1. 코퍼스코리아(322780)K-콘텐츠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글로벌 숏폼 콘텐츠 시장 선점

코퍼스코리아는 2025년 상반기 중 일본과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숏폼 드라마 플랫폼 론칭을 준비 중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숏폼 콘텐츠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60% 성장이 예상되며, 이 회사는 밤부네트워크와의 합작법인을 통해 제작비 절감과 빠른 배급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최근 4거래일 연속 상승세는 이러한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K-웹툰·웹소설 해외 배급 확대

일본 시장에서 한류 웹툰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코퍼스코리아는 국내 플랫폼사와 협력해 20251분기 내 일본 배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일본 디지털 만화시장 성장 잠재력이 높아지면서 신의 탑’, ‘노블레스등 인기 IP를 활용한 OSMU(원 소스 멀티 유즈) 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OTT 플랫폼과의 전략적 협업

코퍼스코리아는 일본 내 한류 채널 운영을 위해 글로벌 OTT사와 협의 중이며, 자체 편성권을 통한 콘텐츠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베마TV, U-NEXT 등 현지 OTT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배급 사업 외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4-2. 코퍼스코리아의 대표적 사업 특징

일본 시장 중심의 한류 콘텐츠 배급

코퍼스코리아는 일본 OTT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드라마, 예능, 웹툰 등 477개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10월 기준 일본 법인을 통해 매출의 70% 이상을 해외에서 창출하며, 현지화 시스템을 활용한 맞춤형 편성이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저비용·고효율 숏폼 콘텐츠 제작

기존 OTT 대비 제작비를 40% 이상 절감한 숏폼 드라마 플랫폼을 론칭 예정입니다. 20254월 중 10편 이상의 콘텐츠를 공개할 계획이며, 단기간에 다양한 장르를 테스트해 수익 모델을 빠르게 확보할 전략입니다.

IP 활용을 통한 OSMU 사업 확장

웹툰 신의 탑을 애니메이션과 게임으로 확장한 사례처럼, 자사 보유 IP를 활용해 드라마·예능·이커머스 등 다각화된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최근 화장품 유통과 자막 제작 분야에서도 사업 영역을 넓히며 수익성을 개선했습니다.

4-3. 2025년 코퍼스코리아의 주요 사업 계획

숏폼 드라마 플랫폼 하이퍼에픽론칭

20252분기 중 일본과 미국에서 숏폼 전용 플랫폼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15~3분 길이의 드라마 10편을 선보이며 Z세대 타깃 광고 모델을 테스트합니다. 제작비 대비 광고 수익률이 기존 대비 2배 이상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시장 진출을 통한 글로벌 확장

일본 시장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2025년 하반기 미국 진출을 계획 중입니다. 현지 파트너사와의 합작 법인 설립을 검토하며, K-콘텐츠 수요가 높은 LA·뉴욕 지역을 첫 타깃으로 삼았습니다.

웹툰·웹소설 IP 발굴 및 투자 확대

국내 웹툰 플랫폼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연간 20개 이상의 신작 IP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2025년 중 신입사원 강회장’, ‘유일무이 로맨스등 자체 제작 드라마를 통해 OSMU 사업을 본격화합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일본 시장에서의 안정적 수익 기반과 숏폼 콘텐츠 성장 동력 확보.
  • K-이니셔티브 정책에 따른 세제 지원으로 제작비 부담 감소 전망.
  • OSMU 사업을 통한 IP 활용도 제고로 장기적 수익성 개선 가능성.

리스크

  • 2024년 연결 기준 영업손실 294억 원 기록으로 단기적 재무 압박 존재.
  • 글로벌 OTT 플랫폼 간 경쟁 심화에 따른 배급 수수료 감소 가능성.

투자 포인트

  • 2025년 2분기 숏폼 플랫폼 론칭과 미국 시장 진출이 주요 변수입니다.
  • PER 79.75배(2024년 9월 기준)로 업계 평균 대비 저평가되어 있어, 성장세 반영 시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2025.02.02 - [오늘의 특징주] - 딥시크 패권전쟁 AI 챗봇 관련주 6종목

 

2024.12.16 - [키워드 이슈 종목] - 빅테크 기업 AI 광고 관련주 5종목

5. 쇼박스

K컬쳐 콘텐츠 관련주8

5-1. 쇼박스(086980)K-콘텐츠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영화 및 드라마 제작 역량의 국내외 인정

쇼박스는 2024년 개봉한 영화 '파묘'1,189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 신화를 기록했습니다. 이 작품은 할리우드 리메이크 계약까지 체결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력과 스토리텔링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20253CJ ENM과의 협업을 통해 정현주 신임 영화사업부장을 선임하며 제작 라인업 강화에 나섰습니다.

OTT 플랫폼과의 전략적 협업 확대

202410월 넷플릭스 가입자 증가 소식에 쇼박스 주가가 6.6% 상승한 바 있습니다. 이는 자사 콘텐츠인 '이태원 클라쓰'가 넷플릭스 글로벌 차트 진입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OTT 공급 수익 모델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정부의 세액공제 확대 정책 직접 수혜

20254월 발표된 K-콘텐츠 세액공제 확대(5~15% 30%)는 쇼박스와 같은 제작사에 즉각적인 재무적 이익을 제공합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영화 제작비용이 931억 원으로 집계된 만큼, 해당 정책을 통해 최대 279억 원의 세금 감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5-2. 쇼박스(086980)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영화 투자·배급의 선도적 포트폴리오

쇼박스는 2024년 기준 국내 영화 시장 점유율 19.1%를 기록하며 '암살', '내부자들' 등 천만 관객 작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 배급으로 20241분기 매출 120억 원을 달성하며 다각화 전략을 보여주었습니다.

드라마 사업의 본격화

2023년 드라마 '살인자o난감''마녀' 판권을 200억 원에 계약하며 제작사로서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이는 2021'이태원 클라쓰' 성공 이후 2년 만의 신작으로, OTT 플랫폼 수요 증가에 대응한 전략입니다.

글로벌 협업을 통한 리스크 분산

미국 블룸하우스(Blumhouse)5년간 6편의 공동 제작 계약을 체결했으며, 20243월 중국 호북성 홈쇼핑 사업 진출을 위한 자회사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5-3. 쇼박스(086980)의 주요 사업계획

웹툰 원작 IP 확보 및 영상화 가속화

2025년 상반기 기준 8개 웹툰 원작의 영화·드라마 제작을 확정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네이버 웹툰 '신의 탑' 실사판 제작이 진행 중이며, 이는 3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XR 기술을 활용한 메타버스 콘텐츠 개발

202412월 발표된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가상 스튜디오 구축에 150억 원을 투자해 2025년 말까지 360VR 영상 제작 시스템을 완성할 계획입니다. 이는 게임·영화 연계 콘텐츠 생산을 위한 인프라입니다.

동남아 시장 공략을 위한 현지 파트너십

베트남 최대 OTT 플랫폼 FPT Play20252월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습니다. 현지 언어 더빙 버전의 한국 드라마 10편을 공급하며 수출 매출 30%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4. 쇼박스(086980)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2024년 매출 919억 원(+128.8% YoY), 영업이익 308억 원(흑자 전환) 기록
  • 정부의 K-콘텐츠 지원 정책과 OTT 시장 성장이라는 산업적 호재
  • 웹툰·게임 IP 연계를 통한 신사업 성장 가능성

리스크

  • 단일 영화 흥행 실패 시 매출 변동성 확대 가능성(2023년 '비상선언' 흥행 실패로 422억 원 손실)
  • 넷플릭스·디즈니+ 등 글로벌 플랫폼과의 협상력 약화 우려

투자 전략

단기적으로는 20252분기 예정된 '신의 탑' 제작 현황을 주시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XR 기술 투자 성과와 동남아 시장 진출 성과가 주요 관건입니다. 현재 PER 6.7, PBR 1.38배로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상태이나, 콘텐츠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본격화될 경우 재평가 가능성이 높습니다.

K컬쳐 콘텐츠 관련주8

 

2025.04.04 - [오늘의 특징주] - 엔터 관세 무풍지대 관련주 6종목 상승

 

2025.04.06 - [오늘의 특징주] - 조기대선 레이스 속 일자리 관련주 핵심 종목

 

2025.04.10 - [오늘의 특징주] - 창투사 국부펀드 관련주 6종목 투자 전략

 

2025.04.11 - [키워드 이슈 종목] - 웹툰 국가전략사업 지정 관련주 5종목 투자 분석

 

2025.02.25 - [오늘의 특징주] - 중국 문화사절단 방한 한한령 수혜주 6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