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워드 이슈 종목

이재명 10조 AI컴퓨팅센터 관련주 주목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4. 13.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

이재명 전 대표가 410일 발표한 '광주 10AI컴퓨팅센터 구축' 공약에 따라 AI 관련주가 11일 강세를 기록했습니다. 이 정책은 AI 인프라 확보를 통한 경제성장 전략을 기반으로 하며, 실용주의적 기술 투자 확대가 예상되면서 투자 심리 급반등으로 이어졌습니다.

 

▶출처: 뉴시스 보도  " 이재명 "10조 규모 AI컴퓨팅센터·AI도시 광주 구축" 대선 공약 검토 "

 

2025.04.09 - [오늘의 특징주] - 세종시 관련주 5종목 | 행정수도 이전

 

2025.04.09 - [오늘의 특징주] - 중국 대미관세 발표에 음식료 관련주 상승 6종목

 

2025.04.09 - [오늘의 특징주] - 트럼프 50% 관세 발표에 희토류 관련주 급등세

 

2025.04.11 - [오늘의 특징주] -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주 | 삼성-레인보우 협업 주목

 

2025.04.12 - [뉴스 종목] - K컬쳐 콘텐츠 관련주 5종목 주목 | 전략산업 지정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1

 

 

1. 이스트에이드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2

1-1. 이스트에이드가 "광주 10AI컴퓨팅센터 구축" 정책 관련주로 주목받은 이유

AI 기술 기반 금융 데이터 분석 서비스 확장

이스트에이드는 20252월 금융 데이터 분석 기업 딥서치 및 가상자산 데이터 기업 보난자랩과 협력해 'AI 가상자산 투자정보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포털 '(ZUM)'을 통해 가상자산 시세 분석, 글로벌 시장 동향 비교 등 정교한 정보를 제공하며, AI 기술을 활용한 투자 인사이트 강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이재명 정책의 AI 인프라 투자와 맞물려 실용적 기술 적용 사례로 평가받았습니다.

정부·지자체 협력 프로젝트 참여

202412월 보건복지부와 협업한 '시니어 말벗' 서비스 개발에 참여한 바 있습니다. AI 휴먼 기술을 활용한 이 프로젝트는 고령층 대상 맞춤형 케어 솔루션으로, 향후 광주 AI컴퓨팅센터의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과의 시너지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20254월 한국인공지능협회와의 협약을 통해 AI 산업 생태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습니다.

AI 대중화를 위한 그룹사 역량 결집

이스트에이드는 20243월 사명을 '줌인터넷'에서 변경하며 이스트소프트 그룹의 AI 기술 자원을 본격적으로 통합했습니다. 특히 AI UX(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해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 확장 계획을 발표하며, 정부의 AI 인프라 투자와의 연계성을 강조했습니다.

1-2. 이스트에이드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AI 기반 데이터 플랫폼 강점

이스트에이드는 202412월 기준 자체 개발한 AI 데이터 분석 플랫폼 '딥아이(Deep AI)'를 통해 금융, 헬스케어, 보안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상자산 시장의 변동성 분석에 특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해 투자자들의 신뢰도를 높인 사례가 있습니다.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시장 확장

20252월 보난자랩과의 협력으로 가상자산 시장에 진출한 것을 시작으로, 국내외 AI 스타트업과의 기술 융합을 추진 중입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LLM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2025년 하반기 해외 시장 진출을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용자 중심의 AI 서비스 디자인

'AI 경험 디자인'을 핵심 미션으로 삼아 포털 서비스 ''의 개편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54월 출시된 'AI 1초 요약' 기능은 사용자 검색 패턴을 분석해 신속한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했으며, 가짜 뉴스 판별 기술을 접목해 신뢰성을 강화했습니다.

1-3. 이스트에이드의 주요 사업 계획

AI 휴먼 기술의 상용화 가속화

이스트소프트 그룹의 '페르소(PERSO)'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경로당, 실시간 건강관리 서비스 등 공공 분야 사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2025년 상반기 중 광주시와의 협업을 통해 AI 기반 스마트시티 인프라 구축에 참여한다는 계획이 보고서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업을 통해 AI 휴먼 기술을 글로벌 플랫폼에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특히 일본 시장을 겨냥한 AI 말벗 서비스 실증 실험을 진행 중이며, 2025년 말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금융·가상자산 분야 AI 솔루션 심화

가상자산 투자정보 서비스의 성공을 바탕으로, 2025년 하반기 중 주식·부동산 데이터 분석 서비스로 영역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딥러닝을 활용한 시장 예측 모델 개발에 약 50억 원 규모의 R&D 예산을 투입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이스트에이드는 AI 기술과 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사업 다각화로 단기적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이재명 정책의 AI 인프라 투자와의 직접적 연관성은 매력적인 수혜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강점

이스트소프트 그룹의 기술 자원 통합으로 경쟁력 강화

정부·지자체 협업 프로젝트를 통한 안정적 수익 창출 기대

가상자산·금융 분야의 선점 효과

리스크

2024년 연결 기준 영업손실 42억 원 기록으로 단기적 수익성 개선 필요

해외 시장 진출 시 경쟁사 대비 기술 차별화 전략 미흡

투자 포인트

2025년 하반기 예정된 AI 컴퓨팅센터 관련 추가 수주 계약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글로벌 협업 발표 시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성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3

2. 피아이이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4

2-1. 피아이이(452450)AI 관련주로 주목받은 구체적인 이유

AI 비전 검사 솔루션의 기술적 우위

피아이이는 제조 공정에서 AI 기반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비전 검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2차전지 분야에서 외관 검사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며 국내 메이저 배터리 기업 3사의 주요 협력사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는 AI 인프라 투자가 확대될 경우 검사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시장 기대를 반영합니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과의 시너지

데이터 기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업은 제조 현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핵심 기술로 평가받습니다. 피아이이는 AI를 활용한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및 예측 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왔으며, 이번 정책이 공장 자동화 수요를 촉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비파괴 검사(NDT) 기술의 확장성

최초 파이이이는 초음파·엑스레이·CT를 활용한 내부 결함 검사 기술을 상용화하며 반도체·의료 장비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AI 컴퓨팅센터 구축과 함께 첨단 산업의 품질 관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실적 성장으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2-2. 피아이이의 대표적 사업 특징

AI 비전 솔루션의 차별화

국내 유일하게 2차전지 전 공정(전극·조립·활성화)에 적용 가능한 검사 시스템을 보유했습니다.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 머신비전 대비 검사 속도를 30% 이상 개선했으며, 이는 삼성SDI·LG에너지솔루션 등에 납품된 실적에서 확인됩니다.

데이터 기반 스마트팩토리 구축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종 장비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생산 라인의 이상 신호를 실시간 감지합니다. 20243분기 기준 자동차 부품사와의 협업을 통해 공정 안정화 솔루션을 도입했으며, 이는 생산 가동률 15% 향상으로 이어졌습니다.

비파괴 검사(NDT) 기술의 산업 적용

반도체 패키징 검사를 위한 TGV(Through Glass Via) 솔루션을 개발하며 SK하이닉스와의 시범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의료 분야에서는 X-ray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를 제공해 폐암 조기 진단 정확도를 40% 이상 높인 바 있습니다.

2-3. 2025년 주요 사업 계획

반도체 검사 시장 공략

2025년 상반기 중 TGV 검사 솔루션의 본격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균열 검출을 AI 영상 분석으로 해결하며, 국내 1위 검사 정확도를 기록했습니다.

AI 에이전트 사업 강화

제조 현장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AI 에이전트 개발에 약 2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접목해 작업자에게 최적화된 공정 개선안을 제시하는 시스템을 구축 중입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20256월까지 유럽 현지 법인 설립을 완료하고, 독일·폴란드의 자동차·배터리 기업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미 20244분기 베트남 진출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 현지 공장에 솔루션을 공급한 바 있습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AI·스마트팩토리 시장 성장성과 직접적인 연계성
  • 2차전지·반도체 등 핵심 산업의 검사 수요 증가 수혜
  • 2025년 예상 매출 1,500억 원(전년 대비 21% 성장), 영업이익률 10%

리스크

  •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상위 3사 매출 비중 70%) 특정 기업의 감산 시 실적 타격 가능성
  • 경쟁사 대비 시장점유율이 낮아 신규 사업 진출 시 마진 압박 발생 가능

투자 전략

단기적으로는 정책 호재에 따른 변동성이 예상되나, 중장기적으로는 AI 검사 솔루션의 해외 진출과 반도체 사업 다각화가 성공할 경우 주가 상승 여력이 큽니다.

3. 플리토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5

3-1. 플리토(300080)AI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고품질 언어 데이터 확보 역량

플리토는 25개 언어·1,400만 글로벌 유저 기반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I 모델 학습에 필수적인 언어 데이터의 품질과 양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아 글로벌 IT 기업들과의 협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립국어원 병렬 말뭉치 구축 사업을 4년 연속 수주하며 공공 분야에서도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실시간 AI 번역 솔루션 기술력

애플 '비전 프로'와 협력해 38개 언어를 지원하는 '라이브 트랜스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음성-텍스트 변환(STT)과 기계번역(MT) 기술을 결합해 국제 회의나 관광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며 매출이 66% 급증했습니다.

저비용 AI 모델 확산 수혜

중국 딥시크의 GPT-4 수준 모델 개발로 고성능 GPU 의존도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며, 플리토의 데이터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품질 데이터를 통한 비용 효율성 개선이 실적 성장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3-2. 플리토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언어 데이터 판매 중심의 수익 구조

2024년 기준 매출의 74.6%가 데이터 판매에서 발생합니다. IT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주요 고객으로 삼으며, 단가가 높은 아랍어·동남아 언어 데이터 비중이 30%로 확대됐습니다.

플랫폼 기반 집단 지성 시스템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다수 참여자가 데이터를 구축·검수하는 방식으로 정확도와 생산성을 동시에 확보했습니다. 이 모델은 소규모 전문가 중심 시스템 대비 비용을 60% 이상 절감하는 효과를 냈습니다.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확장

사우디아라비아 메타코드와의 MOU 체결,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자버와의 협력을 통해 AI 번역 기술을 적용한 다국어 알림 메시지 서비스도 출시 예정입니다.

3-3. 향후 사업 계획 및 성장 전략

생성형 AI 기술 개발 가속화

와이즈넛과 공동으로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솔루션과 LLM(Large Language Model) 연구를 진행합니다. 일본 시장을 시작으로 동남아·북미로 기술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고부가가치 데이터 포트폴리오 강화

문단·장문 단위의 복잡한 언어 데이터 생산 비중을 확대해 단가를 상승시킬 예정입니다. 2024년 말까지 마이너 언어 데이터 매출 비중을 40%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실시간 번역 시장 선점

애플·삼성 등과의 협력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용 소형화된 AI 번역 엔진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50개 언어 지원을 목표로 기술 고도화를 진행 중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플리토는 AI 학습용 데이터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269억 원(+51.5% YoY), 영업이익 23억 원(흑자 전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증권사 리포트에서는 "고객 다변화와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투자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AI 데이터 수요 증가 : LLM 성능 향상을 위한 고품질 데이터 의존도 심화
  • 해외 시장 성장 가능성 : 중동·동남아 언어 데이터에 대한 글로벌 수요 확대
  • 기술 선점 효과 : 실시간 번역 솔루션을 통한 B2B 시장 선점

, 해외 경쟁사 대비 규모가 작아 R&D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은 리스크 요인으로 꼽힙니다.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6

4. 코난테크놀로지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7

4-1. 코난테크놀로지가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광주 AI 인프라 구축 사업의 핵심 파트너

코난테크놀로지는 2023년부터 국가AI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GPU 기반 인프라 구축 경험을 축적했습니다. 20254월 발표된 정부의 GPU 1만 개 확보 계획과 연계해 광주 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추가 사업 수주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국산 AI 반도체 생태계 구축 선두주자

리벨리온과 협력해 NPU(신경망 처리장치) 기반 키오스크 개발을 진행 중이며, 이는 외국산 GPU 의존도를 낮추는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248월 산업통상자원부의 국산 시스템온칩 사업에 참여하며 기술 검증을 마친 상태입니다.

정부 지원 프로그램 적극 참여

국방부 지능형 플랫폼 구축 사업(2024), 한국남부발전 생성형 AI 구축(2025) 등 공공 분야에서 실적을 쌓았습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공공기관 수주액이 전년 대비 58% 증가하며 정책 수혜를 직접적으로 누리고 있습니다.

4-2. 코난테크놀로지의 대표적 사업 특징

자체 LLM 기술의 현지화 강점

202411410억 개 파라미터 규모의 '코난 LLM'을 공개하며 한국어 데이터 3,200억 개를 학습해 국내 B2B 시장에 특화된 모델을 제공합니다.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보안성을 강조하며 금융·공공 분야에서 수주 실적을 확대 중입니다.

다각화된 산업 적용 사례

에너지 분야에서는 한국남부발전과 38억 원 규모의 생성형 AI 구축 계약을 체결했으며, 국방 분야에서는 실시간 전장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공급했습니다. 20251분기 기준 산업별 매출 비중은 공공 45%, 제조 30%, 금융 25%로 다변화된 수익 구조를 보입니다.

하드웨어 협업을 통한 제품화 전략

SK텔레콤과 협력해 AI 동시통역 솔루션 '트랜스 토커'를 출시했으며, KAI와는 유무인 복합체계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엔비디아 H100 GPU 140장을 확보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이 가능합니다.

4-3. 향후 주요 사업계획

국방 AI 플랫폼 고도화 추진

20252분기 중 '코난 와처' 기반 지능형 국방플랫폼에 LLM 기술을 접목해 실시간 전술 분석 시스템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2030년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 사업 수주를 목표로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의료 AI 시장 진출 확대

뷰노·루닛과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트윈 기반 예지정비 솔루션을 의료장비 시장에 적용합니다. 2025년 내 FDA 승인을 목표로 한 영상 분석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테스트 베드 구축

2026년까지 동남아시아 3개국에 AI 컴퓨팅 클러스터를 설립해 현지 언어 처리 최적화 모델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태국과 베트남을 시작으로 해외 진출 교두보를 마련 중입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정부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
  • 국방·의료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의 기술 선점
  • 2025년 예상 매출 385억 원(전년 대비 57% 성장)

리스크

  • GPU 확보 경쟁 심화에 따른 원가 부담
  • 해외 기업의 기술 추격 가능성

5. 에스피소프트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8

5-1. 에스피소프트(443670) 관련주 포함 구체적 이유

MS 코파일럿 라이선스 사업의 독보적 입지

에스피소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생성형 AI 소프트웨어 '코파일럿' 라이선스 국내 공급사로, MS SPLA(서비스 제공자 라이선스 계약)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합니다. 코파일럿은 오픈AIGPT-4DALL·E 기술을 기반으로 한 MS의 핵심 AI 제품으로, 에스피소프트는 해당 사업 확장을 통해 AI 시장 선점 가능성이 큽니다.

AI 기반 플랫폼 및 가상화 기술 경쟁력

에스피소프트는 AI를 활용한 업무 자동화 플랫폼과 가상 OS(운영체제) 개발에 주력해왔습니다. 최근 MS의 챗GPT가 적용된 가상 OS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며 기업용 AI 솔루션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보안이 강화된 망 분리 환경에서도 코파일럿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디지털 전환 솔루션 시장 선도

클라우드 기반 IT 인프라 구축 사업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삼성전자·SKT 등 대기업과의 협력 실적을 보유했습니다. MS 애저 클라우드와의 협력을 통해 AI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도 참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광주 AI컴퓨팅센터 프로젝트와의 시너지 가능성을 높입니다.

5-2. 대표적 사업 특징

SPLA 라이선스 사업의 안정적 수익 기반

MS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유통 사업은 에스피소프트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합니다. 최근 MSAI 기능을 모든 제품에 도입하며 코파일럿 관련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사업부문의 성장세가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AI 통합 클라우드 솔루션 제공

에스피소프트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동영상 압축·보안 솔루션을 패키지로 제공하며, AI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고객사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합니다. 특히 금융·의료 분야 맞춤형 AI 모델 개발 실적이 두드러집니다.

가상화 사업의 신성장동력화

데스크톱 가상화 서비스(DaaS)VDI(가상 데스크탑 인프라)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2024년 기준 가상 OS 매출이 전년 대비 320% 증가하며, AI 연계 제품 출시로 실적 성장이 예상됩니다.

5-3. 주요 사업 계획

코파일럿 라이선스 사업 확대

상장 자금을 활용해 MS 코파일럿의 국내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예정입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코파일럿 전용 가상 OS 상용화를 목표로 하며, 기업용 AI 비서 수요 증가에 대응합니다.

AI 데이터센터 구축 참여

MS와 오픈AI135조 원 규모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와의 연계 가능성이 주목받습니다. 국내 AI 인프라 시장에서 클라우드 및 보안 솔루션 공급을 통해 수혜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AI 파트너십 강화

MS뿐만 아니라 아마존·구글과의 협력 확대를 모색 중입니다. 해외 빅테크 기업의 AI 투자 증가 추세에 발맞춰 기술 교류 및 공동 개발 프로젝트 참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에스피소프트는 MS와의 강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라이선스 수익을 확보하면서도 AI·클라우드 분야의 성장 잠재력을 동시에 갖춘 종목입니다. 20243분기 기준 영업이익률 15.6%로 동종업계 평균(10.2%)을 상회하며 재무 건전성도 우수합니다.

투자 포인트

  • 단기: 광주 AI컴퓨팅센터 수주 참여 기대감
  • 중장기: MS 코파일럿 시장 점유율 확대 및 해외 진출 전략
  • 리스크: MS 의존도 높음(매출의 70% 이상), 글로벌 AI 규제 강화

이재명 AI 공약 관련주9

 

2025.04.10 - [오늘의 특징주] - 창투사 국부펀드 관련주 6종목 투자 전략

 

2025.04.11 - [오늘의 특징주] -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주 | 삼성-레인보우 협업 주목

 

2025.03.27 - [키워드 이슈 종목] - LLM AI 로봇 관련주 5종목 | 기술 경쟁 가속

 

2025.04.03 - [오늘의 특징주] - SK온 로봇 관련주 5종목 성장세 주목

 

2025.03.14 - [뉴스 종목] - 양자 우위 달성 양자암호 관련주 6종목 | 디웨이브 시뮬레이션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