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폴더블 OLED 관련주는 애플이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첫 폴더블 아이폰에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을 전량 채택된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1,500만대 이상 공급 예상되며, 삼성의 폴더블 화면 주름 최소화 기술이 LG·BOE 대비 우수성 입증. 이로 인해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OLED 시장 점유율이 70%대로 회복될 전망. 7.8형 대화면 적용으로 프리미엄화 전략도 주목받으며, 관련주 상승 모멘텀 지속 예상됩니다.
▶출처: 이코노믹 데일리 보도 " 삼성디스플레이, 애플 폴더블 OLED 공급한다 "
2025.03.12 - [오늘의 특징주] - 삼성전기 유리기판 관련주 5종목 | 세종에 시생산 라인 가동
2025.03.12 - [오늘의 특징주] - 물류자동화 로봇 관련주 6종목 | 레인보우로보틱스, 티로보틱스와 MOU
2025.03.14 - [오늘의 특징주] - 반도체 패키징 유리기판 관련주 5종목 | 게임체인저로 부상
2025.03.15 - [분류 전체보기] - 구글 제미나이 로보틱스 로봇 관련주 6종목
2025.03.17 - [오늘의 특징주] - GTC 2025 반도체 관련주 5종목 | 엔비디아 최신 AI 기술 발표
1. 비아트론
1-1. 비아트론(141000)이 애플 폴더블폰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폴더블 OLED 패널 제조 핵심 장비 공급
비아트론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과정에서 필수적인 열처리 장비를 전문으로 개발·생산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폴더블폰의 OLED 패널은 고온에서의 정밀한 열처리 공정이 요구되는데, 삼성디스플레이는 비아트론의 장비를 활용해 애플에 공급할 패널을 생산할 것으로 보입니다. 업계 보고서에 따르면, 비아트론은 LG디스플레이와 중국 BOE에도 동일한 장비를 공급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② 삼성디스플레이·BOE와의 협력 관계 강화
비아트론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중국 BOE 등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체입니다. 2025년 4월 기준, BOE는 비아트론으로부터 약 620억 원 규모의 열처리 장비를 도입했으며, 이는 폴더블 OLED 생산라인 확장에 따른 수요 증가를 반영한 것입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비아트론의 2024년 매출 중 80% 이상이 디스플레이 장비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애플 폴더블폰 수요 증가와 직결될 전망입니다.
③ 반도체·2차 전지 장비 사업 다각화
최근 비아트론은 디스플레이 장비뿐 아니라 반도체 후공정 장비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3년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FC-BGA(고성능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 필요한 '진공 오토 라미네이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일본 업체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이는 디스플레이 의존도를 낮추고 신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2. 비아트론(141000)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① 디스플레이 열처리 장비 시장 선점
비아트론은 LTPS TFT, Oxide TFT 등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열처리 장비 분야에서 글로벌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 양산라인에 공급되는 장비는 정밀 온도 제어 기술로 차별화되었으며, 이는 애플 폴더블폰 패널 생산에도 적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② 글로벌 고객사 기반 확보
중국 시장 진출을 통해 BOE, CSOT 등 현지 디스플레이 업체와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은 65%를 넘어섰으며, 이는 국내 경쟁사 대비 높은 해외 시장 의존도를 보여줍니다.
③ R&D 역량 기반 기술 다각화
비아트론은 매년 매출의 10%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박형 기판 열처리 기술을 개발해 LG디스플레이에 공급했으며, 이는 폴더블폰의 경량화·내구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1-3. 비아트론(141000)의 주요 사업 계획 3가지
① 반도체 장비 사업 본격화
2025년 상반기 중 진공 오토 라미네이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해당 장비는 FC-BGA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국내 주요 반도체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연간 200억 원 규모의 매출을 목표로 합니다.
②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비 개발
마이크로 LED·투명 OLED 등 신기술 적용을 위한 장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발표된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8세대 OLED 패널용 대형 열처리 장비 시장 진입을 준비 중입니다.
③ 북미·유럽 시장 진출 확대
기존 아시아 중심의 수출 구조에서 벗어나 북메이저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체와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미국 텍사스州에 현지 법인을 설립해 현지화 전략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비아트론은 애플 폴더블폰 수요 증가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비 수주 확대와 반도체 장비 사업의 신규 성장 동력을 동시에 확보한 종목입니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의 70%대 점유율 회복 전망과 글로벌 고객사 기반은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예상하게 합니다.
2. HB솔루션
2-1. HB솔루션(297890) 관련주 포함 구체적 이유
① 삼성디스플레이와의 전략적 협력 관계
2025년 4월 삼성디스플레이와 305억 원 규모의 디스플레이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작년 매출 대비 31.7%에 달하는 규모로, 애플 폴더블폰 양산에 필요한 핵심 장비를 공급한다는 점에서 주목받았습니다.
② OLED 증착 장비 분야 기술력
소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 전 세계 점유율 1위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의 아이폰 SE4용 OLED 패널 생산에 필요한 증착 장비를 공급하며 시장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③ 반도체 계측 장비 사업 다각화
나노 마이스(Nano-MEIS) 장비 개발로 반도체 산화막 두께 측정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이는 기존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축적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한 사례입니다.
2-2. HB솔루션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디스플레이 전·후공정 장비 특화
전공정에서는 두께 측정기, 점등 검사기 등을 개발하며, 후공정에서는 카메라 렌즈 주변 빛샘 방지 기술(ELB)을 적용한 도포 장비를 공급합니다. 2024년 삼성디스플레이에 납품한 ELB 장비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패널 생산에 핵심 역할을 합니다.
② 잉크젯 기술 기반 장비 개발
8K 화질 대응이 가능한 컬러필터(CF) 잉크젯 장비를 개발해 삼성디스플레이에 파일럿 장비를 공급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공정 대비 원가를 30% 이상 절감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생산에 유리합니다.
③ 반도체·2차전지 사업 확장
2025년 반도체 웨이퍼 두께 측정 장비인 나노 마이스를 양산에 성공하며 SK하이닉스 등 국내 파운드리 업체와 시험 납품을 진행 중입니다. 이는 매출 다각화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됩니다.
2-3. 주요 사업 계획 및 전략
① 글로벌 고객사 확보 노력
중국 BOE를 비롯해 미국 애플 공급망에 진입하기 위한 기술 검증을 진행 중입니다. 2024년 말 베트남 현지 법인을 설립해 현지 생산 역량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② R&D 투자 확대
매출의 7%를 연구개발 비용으로 할당하며, 특히 미세공정 측정 정확도를 99.9%로 높인 4세대 나노 마이스 장비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③ 수익성 개선 방안
2025년 1분기 영업이익률 18% 달성을 목표로 고부가가치 장비 비중을 65%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반도체 장비 매출 비중을 현재 15%에서 30%로 끌어올리는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삼성디스플레이, BOE 등 1티어 고객사와의 장기 협력 관계
- OLED 후공정 장비 시장에서 40% 점유율로 선두 위치
- 2024년 기준 1,200억 원 규모의 수주 잔량 확보
리스크
- 주요 고객사인 삼성디스플레이 매출 의존도 68%
- 반도체 장비 사업의 초기 단계 진입으로 수익성 불확실성
투자 포인트
- 애플 폴더블폰 1,500만대 생산에 따른 2차 하청 수혜 기대
- 2025년 예상 PER 23.5배로 업계 평균(35.2배) 대비 저평가
- 3분기 분기별 매출 성장률 12% 예상으로 실적 개선 전망
3. 이녹스첨단소재
3-1. 이녹스첨단소재(272290)가 애플 폴더블 OLED 관련주로 포함된 구체적인 이유
① 폴더블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기술 보유
이녹스첨단소재는 OLED 디스플레이의 핵심 소재인 패턴드 필름과 커버레이 필름을 생산하며, 삼성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 등 주요 패널 업체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폴더블 스크린에 필수적인 유연성과 내구성을 갖춘 소재 개발 역량을 인정받아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 공급망 진입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삼성디스플레이가 애플 폴더블 패널의 주름 최소화 기술을 확보하면서, 이녹스첨단소재의 기술 협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② 애플 공급망 다각화 전략 수혜 기대
신한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이녹스첨단소재는 2025년 아이폰 SE4 및 아이폰 17 시리즈부터 LTPO 패널용 소재 점유율 확대가 예상됩니다. 기존 LTPS 패널 대비 전력 효율성이 높은 LTPO 기술 도입 확대 흐름에 발맞춰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특히 애플이 삼성디스플레이를 통해 폴더블 OLED 패널을 전량 공급받는 가운데, 이녹스첨단소재의 공급 비중 증가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고객사와의 협력 실적
이녹스첨단소재는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뿐 아니라 애플 향 OLED 소재 공급 이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실적에서 애플 공급으로 인한 매출 증가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향후 폴더블 아이폰 출시에 따른 추가 수요 창출이 기대됩니다. NH투자증권은 이같은 점을 근거로 목표주가를 54,000원으로 상향 조정한 바 있습니다.
3-2. 이녹스첨단소재(272290)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① OLED 소재 시장 선점
고분자 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OLED용 봉지제, 커버레이 필름 등 핵심 소재를 공급하며, 글로벌 OLED 패널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했습니다. 2024년 기준 OLED 부문 매출 비중은 전체의 58%를 차지하며, 애플·삼성·LG 등 주요 고객사와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② FPCB 소재 분야 경쟁력
연성회로기판(FPCB)용 소재 사업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52%를 기록하며, 삼성전자·애플 등 글로벌 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폴더블폰은 일반 스마트폰 대비 2배 이상의 FPCB가 필요하므로, 관련 수요 증가가 실적 성장으로 직결될 전망입니다.
③ 재무적 안정성 강화
2024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05.8% 증가한 8,688억 원을 기록했으며, 2025년에는 1조 원대 돌파가 예상됩니다. 원가 절감 및 제품믹스 개선으로 영업이익률이 25% 수준으로 상승하며, 투자 유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3-3. 이녹스첨단소재(272290)의 주요 사업계획
① OLED 소재 공급 확대
2025년 하반기 삼성디스플레이의 8.7세대 OLED 라인 가동에 맞춰 신규 생산 설비를 확충할 계획입니다.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투명 피복 필름(TFE) 개발에 주력하며, 애플 공급량을 30% 이상 증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② 반도체 패키지 사업 다각화
반도체 PKG용 접착 테이프 사업을 본격화해 2026년까지 매출 비중 2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고부가가치 제품인 실리콘 음극재용 파우더 생산라인도 확보하며, 2차전지 시장 진출을 추진 중입니다.
③ R&D 투자 강화
매년 매출액의 7%를 연구개발 비용으로 할당하며,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초박형 필름(12㎛ 이하) 및 차세대 투과율 개선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 특허 출건 수는 전년 대비 40% 증가한 15건을 기록했습니다.
3-4. 이녹스첨단소재(272290)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이녹스첨단소재는 OLED·FPCB 소재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애플 폴더블 아이폰 수혜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2025년 예상 PER은 10배 내외로 업계 평균(15배) 대비 저평가되어 있으며, 목표주가 대비 37.6%의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다만,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아(상위 3개사 65%) 수요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4. 덕산네오룩스
4-1. 덕산네오룩스(213420)가 애플 폴더블폰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OLED 핵심 소재의 기술적 우위
덕산네오룩스는 OLED 디스플레이의 핵심 소재인 레드 발광층(Red Host)과 정공수송층(HTL)을 국산화한 유일한 기업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15년 이상 협력하며 축적된 기술력은 애플 폴더블폰의 OLED 패널 공급망에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의 폴더블 화면 주름 최소화 기술에 필요한 블랙 PDL 소재를 독점 공급하며 경쟁사 대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② 애플 공급망 진입 가능성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애플 폴더블 아이폰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이 전량 채택될 전망입니다. 덕산네오룩스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주요 협력사로, 블랙 PDL과 레드 호스트 소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온 실적을 바탕으로 애플 간접 수혜가 예상됩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1,500만 대 규모의 초기 출하량이 예상되며, 이는 매출 성장으로 직결될 것으로 분석됩니다.
③ IT OLED 시장 확대 수혜
애플은 아이폰 SE4를 비롯해 태블릿과 노트북에도 OLED 적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덕산네오룩스는 삼성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LG디스플레이를 통한 애플 공급망 다각화에도 참여 중이며, 2025년 기준 IT 기기용 OLED 매출 비중이 3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폴더블폰 수요와 더불어 사업 다각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지점입니다.
4-2. 덕산네오룩스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①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개발
신한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덕산네오룩스는 무편광 기술의 핵심인 블랙 PDL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습니다. 이 소재는 기존 편광판 대비 두께를 30% 이상 줄이면서 전력 효율을 25% 개선했으며, 삼성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에 적용된 바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블랙 PDL 매출은 전년 대비 40% 증가했으며, 애플 폴더블폰 적용 시 추가 성장이 예상됩니다.
② 글로벌 고객사 포트폴리오 강화
현대차증권 분석에 의하면 덕산네오룩스는 삼성디스플레이(매출 비중 65%), LG디스플레이(20%), 중국 BOE(15%) 등 글로벌 패널 업체와 협력 중입니다. 특히 2024년 3분기 북미 고객사와의 공급 계약을 확대하며 해외 매출 비중을 70%까지 끌어올렸습니다. 이는 단일 고객사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시장 변동성 리스크를 헷지하는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③ 연구개발 투자 확대
키움증권 리포트에 언급된 바에 따르면, 회사는 매출의 12%를 R&D에 투자해 2025년 상반기 중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기술 개발을 완료했습니다. 이 기술은 디스플레이 유연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개선해 폴더블폰 수명 연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미 중국 BOE와의 시험 생산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4-3. 주요 사업계획 3가지 전략
① 폴더블폰 소재 시장 선점
2026년 애플 폴더블 아이폰 양산을 대비해 블랙 PDL 생산라인을 확장 중입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2025년 2분기까지 경기도 평택 공장에 300억 원 규모의 시설 투자를 완료할 예정이며, 연간 생산 능력을 50톤에서 80톤으로 증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애플 수요 전체의 40% 이상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② 중형 OLED 시장 공략
신한투자증권 분석에 의하면, 노트북과 태블릿용 중형 OLED 패널 수요가 2025년 3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덕산네오룩스는 8.6세대 IT OLED 패널에 특화된 HTL 소재를 개발해 LG디스플레이에 공급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연말까지 양산 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 분야에서의 성공은 매출 다각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③ 신소재 사업 다각화
2024년 인수한 현대중공업터보기계의 산업용 펌프 사업을 통해 반도체·배터리 장비 시장에 진출합니다. 키움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부문에서 2025년 71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OLED 사업의 주기적 변동성을 상쇄하는 안정자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덕산네오룩스는 애플 폴더블폰 출시로 인한 OLED 소재 수요 증가를 가장 선제적으로 수혜받을 종목입니다. 블랙 PDL의 기술적 장벽과 삼성디스플레이와의 오랜 협력 관계가 강점으로 작용하며, 2025년 예상 PER 28.3배(삼성증권 기준)는 업계 평균 대비 15% 할인된 수준으로 평가 매력이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2분기 삼성 갤럭시 Z 폴드6 출하량 증가가 실적을 견인할 전망이며, 장기적으로는 2026년 애플 폴더블폰 본격 양산이 성장 동력이 될 것입니다. 다만 중국 업체들의 기술 추격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IT 수요 감소 리스크는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5. 에프앤에스테크
5-1. 에프앤에스테크가 관련주로 포함된 구체적인 이유
① 삼성디스플레이 OLED 장비 공급 기업
에프앤에스테크는 삼성디스플레이에 OLED Wet 장비(세정기, 박리기, 식각기)를 공급하는 핵심 협력사입니다. 2025년 1분기 삼성디스플레이는 모니터용 OLED 시장에서 76.5% 점유율을 기록하며, 이는 퀀텀닷(QD)-OLED 기술 기반의 장비 지원 덕분입니다. 애플 폴더블폰 공급 확대로 삼성디스플레이의 추가 투자가 예상되며, 에프앤에스테크의 수혜 가능성이 큽니다.
② 반도체 부품 사업 다각화
UV 램프와 CMP 패드 등 반도체 부품 사업을 확장하며 매출 구조를 개선했습니다. 2024년 반도체 부품 매출은 전년 대비 128.5% 증가한 184억 원을 기록했으며,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③ 유리기판 검사장비 공급
SKC 자회사인 앱솔릭스에 유리기판 검사장비(AOI)를 공급한 이력이 있습니다. 애플이 폴더블폰에 7.8형 대화면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고정밀 유리기판 수요 증가에 따른 장비 수주 확대가 기대됩니다.
5-2. 대표적인 사업 특징
① OLED Wet 장비 전문성
에프앤에스테크는 디스플레이 공정용 세정기, 박리기, 식각기 등 고부가가치 장비를 주력으로 합니다. 2023년 삼성디스플레이와 체결한 360억 원 규모의 8.6세대 OLED 장비 계약은 기술력 입증 사례입니다.
② 반도체 소재 사업 성장
CMP 패드와 UV 램프는 반도체 웨이퍼 평탄화 및 초순수 살균에 필수적인 소재입니다. 2025년 반도체 부품 매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 아래, 삼성전자와의 공동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③ 유리기판 기술력 보유
대형 글라스 슬리밍(Glass Slimming) 장비를 켐트로닉스에 110억 원 규모로 공급한 바 있습니다. 이는 유리기판 두께 조절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반영하며, SKC의 유리기판 사업과 시너지가 예상됩니다.
5-3. 주요 사업 계획
① 유리기판 검사장비 시장 공략
애플 폴더블폰의 대형 화면 적용에 따라 고정밀 검사장비 수요가 증가할 전망입니다. 에프앤에스테크는 앱솔릭스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북미 시장 진출을 준비 중입니다.
② 대형 장비 사업 강화
2025년 3월 체결한 110억 원 규모의 대형 글라스 슬리밍 장비 계약을 통해, 유리기판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입니다.
③ 반도체 부품 매출 확대
재생 CMP 패드 개발로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심화하고, 2026년까지 반도체 부품 매출을 300억 원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에프앤에스테크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애플 폴더블 OLED 공급으로 인한 장비 수주 증가, 반도체 부품 사업의 다각화를 통한 리스크 헷지, 유리기판 시장의 신성장동력 확보라는 3가지 강점을 보유합니다. 단기적으로는 2025년 하반기 애플 폴더블폰 출시에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되며, 장기적으로는 반도체 소재와 유리기판 장비 사업이 성장 견인차 역할을 할 것입니다.
2025.02.15 - [오늘의 특징주] - CXL 양산 관련주 5종목, 넥스트 HBM으로 평가
2025.01.25 - [오늘의 특징주] - 천리안 5호 우주항공 관련주 5종목
2024.12.11 - [키워드 이슈 종목] - 삼성전자 XR기기 메타버스 관련주 6종목
2024.12.20 - [키워드 이슈 종목] - OLED 관련주 6종목(중국 디스플레이 제재)
2024.12.25 - [키워드 이슈 종목] - 폴더블폰 관련주, 애플 폴더블폰 2026 양산 시작!
'키워드 이슈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양자암호 관련주 6종목|협력 본격화 주목 (0) | 2025.04.16 |
---|---|
두산로보틱스 로봇 관련주 6종목 M&A 수혜 (1) | 2025.04.16 |
화상회의 알래스카 LNG 관련주 6종목 (1) | 2025.04.16 |
미 145% 관세, 중 희토류 수출 중단 관련주 (2) | 2025.04.15 |
생성형 AI 의료기기 임상 승인 관련주 6종목 분석 (2) | 2025.04.15 |
AI 100조 투자 창투사 관련주 5종목 급등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