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특징주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 6종목, 전력망확충법 소위 통과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2. 19.

에너지-3법-전력설비

에너지 3법 첫 처리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는 정부가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산업을 위해 전력망 확충을 지원하는 내용의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을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를 열어 소위를 통과시켰다는 뉴스로 이틀째 장중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기사 바로가기>>>

 

전력망확충법, 국회 산자위 소위 통과‥'에너지 3법' 첫 처리

정부가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산업을 위해 전력망 확충을 지원하는 내용의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이 여야 합의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 소위를 통과했습니다. 국회 산자

imnews.imbc.com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 목차

1. LS ELECTRIC 

2. 두산에너빌리티

3. 산일전기

4. LS

5. HD현대일렉트릭

6. 효성중공업

에너지-3법-전력설비

1. LS ELECTRIC  010120      현재주가>>>

1-1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의 직접적 수혜 기대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은 전력망 건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민 반발과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직접 지원하는 체계를 도입했습니다. LS ELECTRIC은 변압기, 차단기 등 전력기기 생산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법안 통과로 인한 수주 증가가 예상됩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매출이 최근 60% 이상 성장하며 글로벌 사업 확장에도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대응 역량

AI 기술 발전에 따른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은 LS ELECTRIC의 핵심 사업 분야와 직결됩니다. 국내 상용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시장에서 60% 이상의 점유율을 보유한 LS ELECTRIC은 고효율 배전 솔루션을 제공하며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빅테크 기업과의 데이터센터 수주 계약 추진 소식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선제적 투자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통합을 위한 분산형 전력망 구축에 LS ELECTRIC이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4년 덴마크 해상풍력 프로젝트에서 792억 원 규모의 변전소용 장비를 수주한 경험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연계 전력망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직류배전 기술 개발로 전력 손실 감소와 효율 개선에도 주력 중입니다.

1-2 사업특징

다양한 전력기기 포트폴리오 구축

초고압 변압기부터 고압차단기, 배전반에 이르기까지 전력 시스템 전반에 걸친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5년 말까지 초고압 변압기 생산 능력을 2배 이상 확대하는 증설 계획을 진행 중이며, 중저압차단기 분야에서는 2030년까지 연간 1,300만 대 생산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해외 매출이 2024년 상반기 기준 50% 이상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테트라 테크(Tetra Tech) 등 글로벌 에너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AI 데이터센터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세제 혜택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 개발

ICT 기술을 접목한 에너지관리시스템(EMS)과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6월 국내 최대 규모의 간척지 태양광 발전소 설비를 수주하며 신재생에너지 사업에서의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직류배전 시스템 국산화를 통해 전력 손실을 기존 대비 30% 이상 줄이는 성과도 거두었습니다.

1-3 사업계획

초고압 변압기 생산 역량 강화

2025년 말까지 초고압 변압기 생산 라인을 증설해 기존 대비 2배 이상의 생산 능력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이는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2026년까지 총 4,000억 원 규모의 추가 매출 창출이 기대됩니다. 현재 진행 중인 미국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와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도 주목할 만합니다.

해상풍력 발전 사업 확장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덴마크 해상풍력 프로젝트 성공 경험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변전소용 변압기 및 고압차단기 수주를 확대하며 재생에너지 연계 전력망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2025년 중동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의 사업 영역 확대도 검토 중입니다.

AI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제공

글로벌 기술 기업 버티브(Vertiv)와 협력해 AI 데이터센터용 종합 전력 관리 시스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고효율 전력 공급과 열 관리 기술을 결합한 원스톱 솔루션을 통해 2026년까지 해당 분야 매출 1조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가 2022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만큼, 이 분야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에너지-3법-전력설비

2.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현재주가>>>

2-1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원자력 에너지 분야의 기술 경쟁력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급 및 유지보수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습니다. 2024년 기준 원자력 부문 수주 실적은 4.9조 원을 달성했으며, 체코 원전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유럽 시장 진출을 가속화 중입니다. 원자력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정부 정책 지원이 기업 성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입니다.

가스터빈 시장 진출 확대

미국 가스터빈 서비스 시장 공략을 위해 한국남부발전(KOSPO)과 컨소시엄을 구축했습니다. 20251월 체결된 협약에 따라 북미·중동 지역에 3.4조 원 규모의 신규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한 고효율 설비 공급 계획이 진행 중입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 선점

X-energy와의 전략적 투자 계약을 통해 SMR 분야에서 60기 이상의 수주를 목표로 합니다. 2027년까지 1.3조 원의 투자 예산을 편성해 차세대 원자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수소 생산 등 다각적 응용 기술 개발로 청정에너지 시장 선도를 준비 중입니다.

2-2 사업특징

원자력-재생에너지 융합 전략

2024년 기준 원자력 부문에서 전체 매출의 42%를 차지하며, 소형모듈원자로(SMR)와 기존 원전 설비 유지보수를 병행합니다.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해상풍력 터빈 부품 공급 확대를 통해 유럽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글로벌 EPC(설계·조달·시공) 역량

중동 지역 12GW 규모의 복합화력발전소 건설 현장에서 한국 최초로 가스터빈 현지 조립 기술을 적용했으며, 2024년 해외 수주 비중이 전체의 68%로 확대되었습니다.

수소 생산 인프라 구축

울산에 연간 1,200톤 규모의 그레이수소 생산 시설을 가동 중이며, 2026년까지 청정수소 전환 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합니다. 수소 터빈 개발 프로젝트에 320억 원을 투자해 2025년 시제품 출시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2-3 사업계획

202510.7조 원 수주 목표 달성

원자력(4.9조 원), 가스터빈(3.4조 원), 재생에너지(1조 원) 분야에 집중 투자합니다. 특히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AI 데이터센터용 전력설비 수요 증가에 대응한 마케팅 강화를 진행 중입니다.

미국 시장 공략 본격화

20252DL E&C, 한국남부발전과 '팀 코리아 컨소시엄'을 결성해 북미 가스터빈 서비스 시장 진출을 추진 중입니다. 2026년까지 현지 생산시설 3개소 추가 확보 계획을 수립했으며, 2.8조 원 규모의 투자가 예상됩니다.

SMR 생태계 구축

X-energy와 협력해 2028년까지 60기 이상의 소형모듈원자로 공급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202411월 체결된 2,500억 원 규모의 선행 투자를 통해 핵심 부품 국산화율을 92%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에너지-3법-전력설비

3. 산일전기 062040    현재주가>>>

3-1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에 따른 수혜 기대

산일전기는 변압기·리액터 등 전력설비 분야에서 35년 이상의 기술력을 보유한 전문 기업입니다. 정부가 전력망 설치 과정의 주민 반발을 해소하기 위해 특별법을 추진하면서, 전력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핵심 장비의 수요가 급증할 전망입니다. 특히 20247GE Vernova164억 원 규모의 BESS용 변압기 공급 계약을 체결한 사례는 정책 수혜를 선제적으로 반영한 대표적 예시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연계 전력망 수요 대응

태양광·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변압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산일전기는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특수 변압기를 공급하며, 2023년 기준 매출의 67.3%를 해당 분야에서 달성했습니다. 미국 Duke Energy, Vestas와의 지속적 협력은 향후 성장 동력으로도 작용할 것입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한 성장성 확보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시장 공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12월 미국 PG&E와의 2,524억 원 규모 수주 계약은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는 사례입니다. 또한 트럼프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기조와 맞물려 북미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되며, 이는 2025년 예상 매출액 4,419억 원(전년 대비 +38.4%) 달성의 기반이 됩니다.

3-2 사업특징

특수 변압기 분야의 기술적 강점

산일전기는 일반 변압기보다 까다로운 환경에서 사용되는 특수 변압기 제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20246월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미국·유럽 내 300MW급 태양광 발전소에 공급된 PAD Mount 변압기는 영하 40~영상 50의 극한 조건에서도 안정성을 입증받았습니다. 이는 GE·TMEIC 등 글로벌 기업과의 오랜 협력으로 쌓은 노하우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생산 능력(CAPA) 증설을 통한 시장 선점

20248월 제2공장 가동을 시작으로 연간 생산 능력을 7,000억 원 수준으로 확대했습니다. 이는 기존 3,000억 원 대비 133% 증가한 규모로, 20251분기 2,524억 원의 수주 잔고를 처리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특히 AI 데이터센터·EV 충전소용 변압기 라인 증설은 신산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입니다.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

2021648억 원에서 20243,339억 원으로 매출이 5배 이상 성장하는 동안, 영업이익률은 1.2%에서 32.8%로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와 원자재 구매 협상력 강화 덕분입니다. 20243분기 277억 원의 영업이익(전년 대비 +63%)은 그러한 전략의 성과를 잘 보여줍니다.

3-3 사업계획

국가 전력망 프로젝트 적극 참여

20252월 산업통상자원부와 체결한 스마트 그리드 구축 사업에 참여하며, 1,200억 원 규모의 초고압 변압기 공급을 협의 중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수도권과 신재생에너지 단지를 연결하는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며, 완료 시 연간 420억 원의 추가 매출이 예상됩니다.

첨단 산업용 고효율 장비 개발

반도체·이차전지 공장용 345kV급 변압기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202411월 삼성전자 DS부문과의 시제품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2025년 상반기 양산을 앞두고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기존 대비 에너지 손실을 15% 줄인 것이 특징이며, 연간 600억 원 이상의 매출 기여가 전망됩니다.

미국 현지 생산 기반 강화

트럼프 정부의 수입 관세 강화에 대응해 텍사스주에 현지 공장 건설을 검토 중입니다. 202412LS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2026년까지 2,000억 원을 투자해 연산 1만 대 규모의 생산라인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는 북미 시장 점유율을 현재 7%에서 15%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에너지-3법-전력설비

4. LS  006260     현재주가>>>

4-1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전력 인프라 수직 계열화 완성

LS그룹은 변압기(LS일렉트릭), 전선(LS전선), 구리(LS MnM) 생산까지 전력 인프라 사업을 수직 통합했습니다. 이 구조는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시 그룹 전체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송배전 수주 잔액 역대 최대 규모 달성

20251분기 기준 LS그룹의 송배전 수주 잔액은 약 9조 원으로, 2022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전력 인프라 수요 증가를 반영하며, 북미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센터 건설 확대가 주요 원인입니다.

북미 시장 공략 본격화

LS일렉트릭의 북미 매출은 20241분기 2,4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0% 성장했습니다. 미국 노후 전력망 교체 수요와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발맞춘 현지 생산 거점 확보(텍사스 공장 건설)가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됩니다.

4-2 사업특징

글로벌 생산 거점 다각화 전략

LS전선은 멕시코에 버스덕트 신규 공장을 건설 중이며, 이를 통해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해저 전력케이블 분야에서 아시아 1위인 LS전선은 KT서브마린을 인수해 시공 역량까지 확보했습니다.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집중

DC 전력기기, 중전압 직류배전망 기술 등 신재생에너지 전환에 특화된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직류배전 기술은 전력 손실을 20% 이상 줄일 수 있어 차세대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RE100 대응을 위한 ESS 사업 확장

LS일렉트릭은 미국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에 ESS(에너지저장장치)를 공급하며 재생에너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했습니다. 2024년 엘펨스 인수를 통해 태양광·풍력 종합 솔루션 제공체계를 구축한 점도 경쟁력으로 꼽힙니다.

4-3 사업계획

북미 시장 매출 1조 원 돌파 목표

2025년 북미 지역 매출 목표를 1조 원으로 설정하고, 텍사스 신규 공장 가동을 통해 현지 생산량을 40% 이상 확대할 예정입니다. AI 데이터센터 수요를 겨냥한 초고압 변압기 공급 확대가 핵심입니다.

직류배전망 국제표준 선도

2025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총회에서 중전압 직류배전 기술 표준 제안을 준비 중입니다. 이 기술은 재생에너지 연계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기대됩니다.

해상풍력 프로젝트 수주 확대

에너지 3법 중 해상풍력특별법 통과에 따라 LS그룹은 SK오션플랜트, 씨에스윈드와 협업해 5GW 규모의 해상풍력 사업 참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6년까지 관련 매출 3조 원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에너지-3법-전력설비

5. HD현대일렉트릭 267260     현재주가>>>

5-1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글로벌 전력망 확충 수요 대응 역량

중동 및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대규모 전력 인프라 수주 실적이 두드러집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네옴 프로젝트에 고압 차단기 및 변압기 공급 계약(670억 원)을 체결했으며, 미국 내 데이터센터 및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변압기 수요 증가로 2024년 북미 지역 매출 비중이 31%까지 성장했습니다. 특히 미국 유틸리티 기업 AEP와의 3,500대 배전변압기 공급 계약(1,062억 원)은 현지 생산 기반(앨라배마 공장)을 활용한 전략적 진출의 성과로 평가받습니다.

정부 정책과의 시너지 효과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 추진에 따라 국내 변압기 시장 수혜가 예상됩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울산 공장의 초고압 변압기 생산능력 확장(2026년 완료 예정)을 통해 756kV급 제품 공급 역량을 강화 중입니다. 이는 미국의 중국산 변압기 수입 제한 조치와 맞물려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할 전망입니다.

수익성 구조 개선

수주 전략을 고부가가치 프로젝트 중심으로 전환하며 영업이익률이 202310.1%에서 202411.5%로 상승했습니다. 특히 초고압 변압기의 평균 판매단가(ASP) 상승과 생산효율화로 마진 개선이 지속되며, 2025년 예상 영업이익은 4,950억 원(전년 대비 31% 성장)으로 추정됩니다.

5-2 사업특징

재생에너지 연계 전력장비 특화

태양광·풍력 발전 연계를 위한 HJT(Heterojunction) 기술 기반 태양광 모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대면적 HJT 태양전지 상용화 기술개발'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되며, 양면발전(Bifacial) 기술 적용으로 전력 효율을 22%까지 끌어올린 제품을 양산 중입니다.

글로벌 수주 다변화 전략

사우디·미국 외에도 유럽·동남아 시장 공략을 가속화했습니다. 20243분기 누적 수주액은 381,600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으며, 2028~2029년까지 착공 예정인 프로젝트 위주로 수주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확보했습니다.

기술 경쟁력 기반 수익성 강화

자체 개발한 SF6-Free GIS(가스절연개폐장치)SF6 대신 친환경 가스를 사용해 탄소배출량을 99% 감소시켰습니다. 해당 제품은 2023CES 혁신상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2024년 매출에서 15%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수익원으로 부상했습니다.

5-3 사업계획

생산능력 확대를 통한 시장 점유율 강화

울산 공장에 756kV 초고압 변압기 전용 라인을 2026년까지 증설하며 연간 300억 원 추가 매출을 목표로 합니다. 앨라배마 2공장 건설(2025년 완료 예정)로 북미 시장 공급량을 40% 확대할 계획이며, 특히 미국 신재생에너지 세법(IRA) 수혜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현지 조달 비중을 75% 이상으로 높일 방침입니다.

차세대 전력관리 시스템 개발

자체 개발한 Hi-Smart 3.0 모니터링 시스템을 고도화해 2025년 중 스마트그리드 통합솔루션으로 출시 예정입니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 전력수요 예측·분석 기능을 강화해 데이터센터·ESS 연계에 특화되었으며, 이미 국내 8,000여 개 발전소에 적용되어 운영 효율성 개선 사례를 축적 중입니다.

ESG 경영 심화를 통한 지속가능성 제고

2030년까지 자사 제품의 재활용률 95% 달성을 목표로 친환경 소재 사용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합니다. 2023년 도입한 공급망 ESG 평가 시스템을 통해 협력사 150여 곳의 탄소배출량을 모니터링 중이며, 2025년부터는 협력사별 맞춤형 감축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에너지-3법-전력설비

6. 효성중공업 298040     현재주가>>>

6-1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미국 노후 전력망 교체 수요 선점

20243월 미국 테네시주 초고압 변압기 공장 가동률 상승 이후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2025년 기준 북미 지역 누적 수주액이 37,184억 원에 달합니다. 미국 전체 전력망의 70% 이상이 25년 이상 노후화된 상황에서 향후 5년간 1,5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가 예상되며, 이 회사의 현지 생산 역량이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대응 능력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이 20251,000TWh를 넘어설 전망입니다. 효성중공업은 765kV 초고압 변압기 기술을 보유한 국내 유일 기업으로, 최근 영국 내셔널그리드와 6800억 원 규모 전력망 구축 계약을 체결하며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 중입니다.

ESS 시장 선도적 위치

BNEF(블룸버그NEF)의 20242분기 '에너지 스토리지 티어1'에 2분기 연속 선정되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에 292MWh 규모 ESS를 공급했습니다. 현재 전 세계 200개 이상 지역에서 2.7GWh 용량의 운영 경험을 보유하며 재생에너지 저장 솔루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6-2 사업특징

초고압 변압기 글로벌 기술력

20247월 미국·일본과 체결한 765kV 글로벌 최고 수준의 초고압 송전 설비 계약이 대표적입니다. 이 기술은 전력 손실을 기존 대비 30% 이상 절감하며, 20251월 기준 전력기기 부문 누적 수주액이 64,443억 원에 달해 사업 기반이 탄탄합니다.

EPC(설계·조달·시공) 통합 사업 확장

20246월 동남아시아 900MW급 화력발전소 EPC 프로젝트 수주를 시작으로, 아이슬란드 최초 디지털 변전소(20247)UAE 액화수소 플랜트 건설(2025년 상반기)까지 다각화된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디지털 전력 솔루션 혁신

20252'일렉스 코리아 2025'에서 공개한 AI 기반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아모르 플러스'는 예측 정밀도를 92%까지 향상시켰습니다. 이 시스템은 말레이시아 등 7개국에 수출되며 스마트 그리드 시장에서 기술 선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6-3 사업계획

미국 생산량 40% 확대

테네시 공장의 연간 생산량을 202415GW에서 202621GW로 증설할 계획입니다. 이는 북미 시장의 변압기 수요 증가(연간 12% 성장률 예상)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으로, 20251분기 이미 8,200억 원 규모 신규 수주를 확보한 상태입니다.

ESS 글로벌 시장 점유율 15% 목표

2025년 하반기 영국 320MWh 해상풍력 ESS 프로젝트 착수와 함께, 2026년까지 유럽 시장 매출 비중을 현재 28%에서 35%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특히 독일의 재생에너지 저장 의무화 정책(2030년까지 80% 이상)을 주요 수혜 요소로 보고 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 기술 상용화 가속

AR 기반 변전소 검사 시스템을 20253분기 중동 6개국에 도입할 예정이며, HVDC(초고압 직류 송전) 기술을 활용한 200MW급 시스템을 2026년 상반기 국내 최초로 상용화합니다. 이를 통해 전력 손실을 45% 이상 절감할 계획입니다.

 

양자암호 관련주: 트럼프 AI 인프라 5000억달러 투자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 양자암호 관련주는 도널드 트럼프가 AI에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미국 오라클등이 최소 5000억 달

intap365.com

 

 

AI 인프라 전력설비 관련주 5종목

트럼프 AI 인프라 투자는 전력 인프라업계 호재AI 인프라 전력설비 관련주는 AI 데이터센터의 급증에 따른 전력사용량이 더욱 커지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이 AI 인프라 구축에 5000억달러 투자를

intap365.com

 

 

한전 KPS 해외 원전 사업 확장 주가 상승 관련주 6종목

글로벌 원전시장에서 한전 KPS의KPS 경쟁력원전 장비 관련주는 한전 KPS가KPS가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의 증기발생기 교체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유럽 시장 입지를 강화했고. 2024년 체코

intap365.com

 

에너지-3법-전력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