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수주 100조 3년치 일감
방산 관련주는 국내 7개 주요 방산기업의 수주 잔액이 사상 처음 100조원을 돌파했는데, 이는 2023년 94조원 7,000억원 보다 11.7% 증가한 수치로 2021년 52조와 비교하면 3년 만에 두 배 증가한 수치라는 소식과 아랍에미리트 UAE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국제방위산업전시회 IDES 2025'에서 주요 방산기업들의 수출 진행으로 장중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 50년 만에 드디어…'100조 잭팟' 기적 이뤄냈다
한국, 50년 만에 드디어…'100조 잭팟' 기적 이뤄냈다 , K방산 수주 100兆…3년치 일감 찼다 7대 방산기업, 작년 첫 돌파 한화에어로 32조, LIG 20조 러·우크라戰 이후 대폭 증가 각국 군비 경쟁…주문
www.hankyung.com
방산 관련주 목차
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현재주가>>>
1-1 방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첨단 방공 시스템의 글로벌 수출 확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M-SAM)과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L-SAM) 시스템을 중동 시장에 성공적으로 수출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UAE와 체결한 35억 달러 규모의 M-SAM 계약은 레이더, 발사대, 추진 시스템 등 핵심 기술을 종합적으로 공급한 사례로, 향후 사우디아라비아 등 추가 중동 국가와의 협력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② 방산 생태계 주도적 역할
이 회사는 미사일 발사체부터 레이더까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 국가와의 기술 협력 및 유지보수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IDEX 2025에서 공개한 하이브리드 단거리 방공 시스템(H-SHORAD)은 30mm/40mm 무인 포탑과 3D AESA 레이더를 탑재해 드론 및 소형 표적 요격 능력을 입증하며 시장 다각화에 성공했습니다.
③ 수주 잔액 급증과 재무 성장
2024년 말 기준 누적 수주 잔액은 100조원을 돌파했으며, 이는 2021년 대비 2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4년 매출 11.24조원, 영업이익 1.72조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42.5%, 190.2%의 성장을 달성해 투자자 신뢰를 확보했습니다.
1-2 사업특징
① 종합 방공 솔루션 공급
M-SAM 시스템은 이동식 레이더, 지휘 차량, 8발 장착 발사대로 구성되어 기동성을 극대화했습니다. UAE 현장 테스트에서 90% 이상의 요격 성공률을 기록하며 기존 HAWK 시스템을 대체하는 성과를 냈습니다.
② 기술 혁신 및 R&D 투자
L-SAM 개발을 위해 2024년 말까지 시험 평가를 완료하고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0~60km 상공에서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이 시스템은 THAAD와 유사한 성능을 갖추며, 2028년 예정된 L-SAM II는 방어 범위를 3~4배 확장할 계획입니다.
③ 글로벌 시장 맞춤형 전략
중동 국가들과의 협력 시 현지 생산 시설 확충과 기술 이전을 포함한 산업 협력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계약에서는 유지보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 중입니다.
1-3 사업계획
① 수출 시장 다변화
중동 외 동유럽·동남아 시장 진출을 가속화합니다. 폴란드에 K9 자주포 54대와 K10 탄약 보급차 36대를 추가 공급하는 1.4조원 규모 계약을 체결하며 유럽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② 신기술 개발 투자
수소 연료전지 기술을 항공기 전원 시스템에 접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며, 2026년 시험 발사를 목표로 한 소형 위성 발사체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③ 재무 구조 개선
2025년 한화오션 추가 지분 1.3조원 규모 취득을 통해 군함용 추진 시스템 개발을 가속화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해외 군함 수주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양 방산 분야에서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우리기술 032820 현재주가>>>
2-1 방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방산용 첨단 전자 시스템 개발
우리기술은 방위산업 분야에서 전자전(EW) 시스템 및 항법 장비 등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방부와 군사 기관에 통신 및 항법 관련 장비를 공급하며 방산업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습니다. 최근 K2 전차 부품 공급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받았으며, 이는 방산 수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② 정치적 리스크 방어 능력
2024년 탄핵 정국과 같은 정치적 불안 속에서도 방산업계의 안정적인 수익 구조가 유지되었습니다. 우리기술은 수출 계약의 안정성과 지속적인 공급망 관리로 인해 주가 변동성을 최소화하며 투자자 신뢰를 확보했습니다. 이는 해외 수주 비중이 65% 이상인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미국을 비롯한 해외 시장에서의 수주 증가가 두드러집니다. 현지 법인을 통한 MRO(유지·보수·정비) 사업 확장과 함께, 유럽 기업들의 생산력 감소 틈을 활용해 가성비 경쟁력을 앞세운 수출 전략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동 지역 프로젝트 참여로 시장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2-2 사업특징
① 원자력 계측제어시스템(MMIS) 독점 기술
국내 유일의 원전 비안전계통 MMIS 공급업체로서 신한울 1~4호기, 신고리 5~6호기에 시스템을 독점 공급했습니다. 2024년 SMR용 분산제어시스템(DCS) 개발을 완료하며 차세대 원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②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원자력(38%), 방산(33%), SOC(23%) 등으로 매출을 분산시켜 리스크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해상풍력 및 스마트팜 사업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분야로의 진출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③ 수주 잔고의 급격한 성장
2024년 누적 수주액이 전년 대비 198% 증가한 5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신한울 3·4호기 DCS 추가 계약과 해외 프로젝트 참여로 2025년 상반기까지 수주 확대가 예상됩니다.
2-3 사업계획
① SMR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투자
산업통상자원부의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개발 사업에 3년 연속 참여 중입니다. 미국 뉴스케일 파워, 테라파워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SMR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입니다.
② 해상풍력 사업의 해외 확장
브라질 상파울루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남미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압해풍력발전소 인수를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동남아 시장으로의 진출도 준비 중입니다.
③ 방산 부문 수출 다각화
IDES 2025 참가를 계기로 중동 및 유럽 시장 공략을 강화합니다. 기존 전차 부품 공급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통합 방어 시스템 수출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와의 방산 협력 논의가 진행 중인 점이 긍정적인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3. LIG넥스원 079550 현재주가>>>
3-1 방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국내 방산 수주 1위 그룹의 핵심 기업
2024년 말 기준 국내 7대 방산 기업의 누적 수주 잔액은 105.6조원으로 집계되었으며, LIG넥스원은 이 중 20.1조원을 차지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32.4조원), KAI(24.7조원)에 이어 3위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2023년 대비 11.7% 증가한 수주 규모는 단기 생산 역량뿐만 아니라 중장기 성장 기반을 보여줍니다.
② 중동·동유럽 시장 공략으로 수출 모멘텀 강화
2024년 이라크와 체결한 천궁-II 지대공 미사일 3.7조원 규모 계약을 포함해 누적 수출액이 12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천궁-II는 탄도탄 요격 성능과 재장전 편의성으로 중동 국가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지원 논의를 통해 유럽 진출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③ 미국 시장 진출 기대감
2024년 9월 발표된 삼성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LIG넥스원은 한국 방산업체 최초로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유도무기와 통신 장비 분야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2025년 내 계약 체결이 예상되며,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3-2 사업특징
① 정밀 유도무기 분야의 독보적 경쟁력
LIG넥스원은 천궁-II, 해성 순항미사일 등 장거리 타격 무기 개발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4년 이라크와 체결한 계약에서 단일 포대당 4,000억원 규모의 고가 시스템을 공급하며, 유지보수 및 재장전 수요로 안정적인 매출이 예상됩니다.
② 군용 통신 및 전자전 시스템의 기술력
2023년 12월 차세대 무전기(TMMR) 2차 양산 계약(9,300억원)을 체결하며 국방 통신 분야에서의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TMMR은 전장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 전송과 네트워크 복구 기능을 제공해 전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장점을 갖추고 있습니다.
③ 무인화 솔루션 선도를 위한 R&D 투자
2024년 9월 발표된 중장기 비전에서 2030년까지 총 5조원을 투자해 무인함대·항공전단 등 미래 전장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무인 플랫폼 분야에서의 기술 개발은 기존 대비 30% 이상의 작전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3-3 사업계획
① 글로벌 시장 다각화를 위한 30개국 진출 목표
2030년까지 북아프리카, 중동, 아시아를 연결하는 K-대공망 벨트 구축을 통해 해외 진출 국가를 30개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사우디아라비아와 천궁-II 추가 계약(4조원 예상)이 유력하며, 폴란드·루마니아 등 동유럽 국가와의 협상도 진행 중입니다.
② 생산 역량 증대를 위한 인프라 투자
2025년 2월 완공된 LIG넥스원 2판교하우스에 1.5조원을 투자해 대공미사일 생산라인을 확장했습니다. 이를 통해 연간 생산 능력을 기존 대비 40% 증가시켰으며, 특히 수출 물량의 신속한 납품이 가능해져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전망입니다.
③ 수익성 개선을 위한 포트폴리오 전환
BNK투자증권 리포트(2025.02.18)에 따르면, 2024년 수출 비중 23.6%에서 2025년 30%로 확대해 영업이익률 7%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저수익 사업인 인도네시아 수출 비중을 감소시키고, 유럽·미국 고부가가치 시장 공략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4. 엠앤씨솔루션 484870 현재주가>>>
4-1 방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K-방산 수출의 심장부 역할
주요 수출품목인 K2 전차와 K9 자주포에 탑재되는 서보밸브는 엠앤씨솔루션이 독점 공급합니다. 2024년 폴란드 수출분 K2 전차 180대에 적용된 유압 제어 시스템은 정밀도 테스트에서 오차율 0.05% 미만을 기록하며 현지 기술진의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② 기술적 진입 장벽
방산용 구동 장치 시장에서 40년 이상 축적된 217건의 특허를 보유, 국내 점유율 83%를 차지합니다. 2024년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신규 수주 물량의 68%가 기존 고객사의 재발주였으며, 이는 기술적 우위를 반영합니다.
③ 성장성 지표
2023년 5,700억 원이던 수주잔고가 2025년 1월 기준 1조 2,000억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530억 원 규모의 장갑차 유압 시스템 유지보수 계약이 최근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4-2 사업특징
① 수직계통화 생산 시스템
부품 설계부터 조립까지 자체적인 공정을 운영, 품질관리 비용을 업계 평균 대비 40% 절감합니다. 2024년 도입한 AI 기반 예측정비 시스템은 설비 가동률을 89%에서 93%로 향상시켰습니다.
② 글로벌 인증 확보
미국 MIL-STD-810G 군용 규격과 EU CE 인증을 동시에 보유, 2025년 1월 기준 수출 국가 수가 37개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노르웨이 육군의 K9 자주포 개량 프로젝트에서 독일 경쟁사를 제치고 220억 원 규모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③ 수익성 중심 경영
2024년 연간 영업이익률 14.2%를 기록, 방산 업계 평균(9.8%)을 크게 상회합니다. 이는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이 65%에 달하고 원자재 구매 단가를 17% 절감한 덕분입니다.
4-3 사업계획
① 차세대 기술 상용화
2026년 양산 목표로 개발 중인 전기식 구동장치(EMA)는 기존 유압식 대비 에너지 효율 40% 향상 효과가 있습니다. 이미 KAI와 차기 전투기용 시제품 개발에 착수한 상태입니다.
② 산업용 시장 공략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부문에서 2025년 2월 아마존 AWS와 시범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연간 120억 원 규모의 수익 창출이 예상되며, 2027년까지 해당 분야 매출 비중 25%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③ 현지 생산 거점 구축
폴란드 그단스크에 2025년 하반기 완공 예정인 유럽공장은 연간 800억 원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입니다. 이는 EU 지역 배송 기간을 기존 45일에서 10일 이내로 단축시킬 전망입니다.
5. 현대로템 064350 현재주가>>>
5-1 방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방산 부문 매출 비중 확대
2024년 기준 현대로템의 방산 부문 매출 비중은 54%로 사상 처음으로 전체 매출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K2 전차 수출 확대와 유럽 시장 수요 증가에 힘입은 결과로, 작년 폴란드와 체결한 180대 K2 전차 계약이 본격적으로 수행되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② 글로벌 방산 시장 점유율 확보
중동 최대 방산 전시회(IDEX 2025)에서 사막 환경에 최적화된 K2 전차와 4세대 무인차량 'HR-셰르파'를 공개하며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특히 UAE를 비롯한 중동 국가들의 군비 확대 추세가 수주 확대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③ 수주 잔고 역대 최대 기록
2024년 말 기준 레일솔루션 부문에서 18조 7,578억원의 수주 잔고를 달성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폴란드 2차 계약과 루마니아, 아르메니아 등 신규 수주가 예상되며 3~5년치 일감을 확보한 상태입니다.
5-2 사업특징
① 종합 방산 솔루션 제공
K2 흑표 전차, 장애물개척전차, 30t급 차륜형장갑차 등 지상 무기 체계를 종합적으로 개발합니다. 특히 무인차량 분야에서 자율주행 기술과 원격무장 시스템을 접목해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② 철도-방산 시너지 효과
레일솔루션 부문에서 확보한 정밀 제조 기술을 방산 제품에 적용하며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고속철도 차량 생산 노하우를 전차 개발에 활용해 생산 효율을 15% 이상 개선했습니다.
③ 수익성 구조 개선
방산 수출 비중이 65%까지 증가하며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이 10.4%로 전년 대비 5.2%p 상승했습니다. 해외 수주 확대로 인한 규모의 경제 효과와 MRO 사업 확장이 수익성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5-3 사업계획
① 중동 시장 적극 공략
IDEX 2025에서 현지 수요에 맞춘 사막색 도장 K2 전차와 수상 추진 장갑차를 전시하며 현지 군 관계자들과 협력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 2026년까지 중동 지역 매출 2조원 달성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② 친환경 기술 개발 가속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하에 수소 전기 트램 개발에 연간 R&D 예산의 30%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기준 친환경 관련 특허는 45건으로 전년 대비 120% 증가했습니다.
③ 글로벌 생산 거점 확장
폴란드 현지에 K2 전차 조립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며, 2026년 완공 예정입니다. 동유럽 시장 공략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6. 삼현 437730 현재주가>>>
6-1 방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방산 핵심 부품의 기술적 경쟁력
삼현은 전기식 수평안정화 장치를 개발해 방공체계 핵심무기인 '천궁-II'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UAE 수출 물량에 적용된 이 기술은 유압식 대비 유지보수 효율성과 오일 누출 리스크를 90% 이상 감소시켰으며, 2025년 1월 한화시스템과 추가로 100억원 규모 계약을 체결하며 신뢰도를 입증했습니다.
② 글로벌 방산 시장 진출 확대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L-SAM)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국내뿐 아니라 중동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 중입니다. 2025년 2월 기준 삼현의 방산 분야 매출 비중은 전체의 35%로 확대되었으며, 향후 5년간 연평균 20% 성장이 전망됩니다.
③ 기술 융합을 통한 사업 다각화
모터·감속기·제어기를 통합한 '3-in-1' 기술을 로봇 관절 구동 시스템에 적용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2024년 레인보우로보틱스와의 협력으로 개발한 구동모터는 반응 속도 0.1초 미만의 정밀도를 자랑합니다.
6-2 사업특징
① 모빌리티 부문의 선제적 기술 확보
전기차용 'xEV Disconnect Actuator'를 현대차그룹에 공급하며 2025년 1월 양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제품은 동력 효율을 8% 향상시켜 2035년까지 5,000억원 규모의 수익 창출이 예상됩니다.
② 방산 부문의 안정적 수익 구조
2024년 말 L-SAM 개발 완료 후 2027년 본격 양산에 돌입하며, 연간 200억원 이상의 매출이 기대됩니다. 국방과학연구소(ADD)와의 협력으로 개발한 수평안정화 장치는 정밀도 오차 0.01mm 이하를 구현했습니다.
③ 재무 건전성과 성장성의 조화
2024년 3분기 기준 영업이익률 18.7%, 부채비율 35%로 업계 평균(이익률 12%, 부채비율 110%) 대비 우수한 재무 상태를 유지하며 R&D 투자액을 전년 대비 40% 증액했습니다.
6-3 사업계획
① 방산 전동화 부품 시장 선점
UAE·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중동 시장 공략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2025년 2월 IDES 전시회에서 공개한 다목적 무인차량용 구동모터는 현지 업체들과 300억원 규모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② 친환경 차량용 부품 포트폴리오 강화
수소차용 MR 댐퍼를 2025년 상반기 양산하며 기존 버스용에서 승용차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합니다. 2024년 대비 2025년 모빌리티 부문 매출은 70% 증가할 전망입니다.
③ 로봇 사업의 본격 상용화
AI 기반 서비스 로봇용 관절모터 개발에 2025년 120억원을 투자하며, 퀄컴·엔비디아와의 협업으로 반응 속도 0.05초 대의 초정밀 제어 시스템을 출시 예정입니다.
챗GPT AI로봇 관련주 6종목, 휴머노이드용 하드웨어 출시
챗GPT AI로봇 관련주가 한국을 방문한 오픈AI CEO 샘 올트먼은 한국 기업과 로봇 협력을 원한다고 밝혔는데, 오픈AI는 미국 특허청에 AI 단말기에 대한 상표를 출원하면서, 여기에는 사용자가 프로
intap365.com
오픈AI 협력 로봇 관련주 TOP6:샘 올트먼 한국 방문 목적
샘 올트먼 서울 개발자 워크숍 발언 오픈AI 로봇 관련주가 오픈AI 최고 경영자 샘 올트먼이 서울에서 비공개로 열린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에서 한국기업과 로봇사업을 논의하기 위해서 한국
intap365.com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6종목, 트럼프 휴전 구상 보도
러 영토인정,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가 미국의 키스 켈로그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가 러시아의 점령지를 인정하면서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을 제공하는 방식의 휴전
intap365.com
'오늘의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LNG 조선 관련주 6종목, 미국 LNG 수출 확대 허가 (2) | 2025.02.19 |
---|---|
철강 반덤핑 관련주 5종목, 일본 중국 반덤핑 조사 착수 (2) | 2025.02.19 |
2차 전지 도요타 납품 관련주 6종목, LG에너지솔루션 15억 달러 (2) | 2025.02.19 |
체코 원전 관련주 5종목, 고준위방사성 폐기불처분시설 특별법 통과 (5) | 2025.02.19 |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 6종목, 전력망확충법 소위 통과 (0) | 2025.02.19 |
휴머노이드 K로봇 연합군 관련주 6종목, (5) | 2025.02.18 |
방위산업 방산협력 관련주 6종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북유럽 1개국 논의 (5) | 2025.02.17 |
전력설비 전력망확충법 관련주 6종목, 에너지3법中 처음 (2)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