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얼라이언스 발족 추진
휴머노이드 K로봇 관련주는 정부주도로 국내 로봇 기업과 소프트웨어 SW업체가 참여하는 K휴머노이드 로봇 연합인 '휴머노이드 로봇 얼라이언스(가칭)'이 출범한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주된 목적은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를 구축하여 관련기업들이 한데 모여 효율적으로 제품을 상용화하여, 2030년까지 국산화율 80%를 목표로 한다고 한다.
[단독]휴머노이드 전쟁 이끌 'K연합군' 만든다
산업 > IT 뉴스: 국내 로봇 기업과 소프트웨어(SW) 업체가 참여하는 K휴머노이드 로봇 연합이 정부 주도로 출범한다. 인간형 로봇을 일컫는 휴머...
www.sedaily.com
휴머노이드 K로봇 목차
1. 유일로보틱스 388720 현재주가>>>
1-1 휴머노이드 K로봇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SK그룹의 전략적 투자 유치
유일로보틱스는 SK온의 미국 자회사인 SK Battery America로부터 370억원 규모의 지분 투자를 받으며 2대주주로 등극했습니다. 이 투자는 SK온의 2차전지 생산 공정 자동화에 유일로보틱스의 로봇 솔루션을 적극 도입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합니다. 특히 SK그룹은 2025년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축 및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확장을 선언하며, 유일로보틱스와의 협업을 통해 생산 효율성 제고를 꾀하고 있습니다.
② 생산 역량 대폭 확장
2025년 12월 완공 예정인 제3공장은 기존 생산 능력의 5배 규모로, 연간 2~3천억원 대응이 가능합니다. 이는 SK온을 비롯한 대기업 수요 증가에 대비한 선제적 투자로, 로봇 자동화 설비 조립 및 테스트 대규모화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③ 산업용 로봇 분야 기술 경쟁력
유일로보틱스의 다관절로봇은 자동용접, 이적재, 팔렛타이징 등 복잡한 제조 공정에 적용되며, 글로벌 톱 기업 대비 기술 동등성을 인정받았습니다. 국내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고객 기반을 확장 중이며, 포스코그룹과의 협력 사례를 통해 제조 현장 적용 실적을 입증했습니다.
1-2 사업특징
① Total-Solution 로봇 전문 기업
자동화 시스템과 산업용 로봇을 통합 제공합니다. 스마트팩토리 구축 솔루션 'Link-factory 4.0'을 통해 SCADA, MES, WMS 등 S/W와 오토피딩 시스템, 냉각 기기 등 H/W를 결합한 맞춤형 자동화 플랫폼을 운영합니다.
② SK그룹과의 전략적 협업
SK Battery America가 13.5% 지분을 보유하며, SK온의 2차전지 생산 라인에 로봇 솔루션 공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 SK온 미국 공장에 150억원 규모의 초기 물량 수주가 예상되며, 향후 5년간 누적 2조원 규모 수주 전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③ R&D 및 생산 역량 집중
청라 신사옥 완공으로 산업용 로봇 조립·테스트 시설을 대폭 확장했습니다. 협동로봇 개발에 연간 매출의 8% 이상을 R&D에 투자하며, 2025년 기준 다관절로봇 시장 점유율 15%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1-3 사업계획
① 2차전지 산업 자동화 공략
SK온과의 협력을 통해 전극·조립 공정용 로봇 시스템 공급을 확대합니다. 2025년 1분기 중 미국 조지아주 SK온 공장에 50대 규모의 협동로봇 납품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는 연간 120억원 규모 매출로 직결될 전망입니다.
② 생산 Capacity 5배 확대
제3공장 가동으로 2026년까지 연간 2,500억원 매출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특히 SK온 물량 대응을 위해 24시간 3교대 생산 체계를 도입해 납기 단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③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진출 준비
2025년 하반기부터 범용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용 관절 모듈 개발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SK그룹의 지능형 공장 구축 사업과 연계해 물류·검수 분야 실증 테스트를 진행하며, 2027년 양산체제 전환을 목표로 기술 검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 휴림로봇 090710 현재주가>>>
2-1 휴머노이드 K로봇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AI 음성인식 기술 협업 현황
SK텔레콤과 2021년 체결한 '누구 SDK 라이선스' 계약을 기반으로 AI 로봇 플랫폼 구축 중입니다. 2024년 1분기 기준 테미 로봇에 적용된 음성 명령 인식 정확도 92.3% 달성했으며, 이는 국내 서비스 로봇 평균(85.1%)을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특히 병원 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도입되어 환자 안내 서비스 운영 중입니다.
② 산업-의료 분야 이중화 전략
2023년 기준 매출 구성에서 산업용 로봇 68%, 서비스용 32%로 나타납니다. 반도체 장비용 직각좌표로봇은 국내 점유율 19%로 3위 기록 중이며, 의료 분야에서는 2025년 상용화 예정인 AI 휠체어가 보건복지부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최근 출시한 TETRA-DS5 모델은 3D 라이다 센서를 탑재해 실외 주행 성능을 개선했습니다.
③ 정부 지원 프로젝트 참여 실적
2024년 4월 시작된 '세이프티 모듈 국책과제'에서 총 19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받았습니다. 엣지 AI 칩셋을 활용한 장애물 회피 알고리즘 개발을 주도하며, 2026년까지 33개월간 기술 검증을 진행 중입니다. 이와 병행해 산업부 주관 스마트 공장 구축 사업에 12개 기업과 협력 체결했습니다.
2-2 사업특징
① 수직 계열화 생태계 구축
- 휴림에이텍(자동차 부품), 휴림네트웍스(통신장비) 등 4개 계열사 보유
- 2024년 3분기 기준 그룹 내 거래 비중 41.2%로 원가 절감 효과
- 반도체용 리니어 모션 시스템 자체 생산으로 수입 대체율 72% 달성
② 맞춤형 솔루션 개발 역량
- 자동차 조립라인용 6축 다관절 로봇 공급 실적(2023년 47대)
- 2024년 2월 삼성전자 DS부문에 반도체 검사용 로봇 120대 납품
- 의료기기 제조사와 공동 개발한 멸균 로봇 암(arm) 특허 3건 보유
③ 선제적 R&D 투자 확대
- 2024년 연구개발비 127억 원(매출 대비 19.3%)
- SLAM(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작성) 기술 관련 국내 특허 8건 등록
- 2025년 상반기 중 AI 휴머노이드 시제품 2종 공개 예정
2-3 사업계획
① 휴머노이드 상용화 로드맵
- 2025년 2분기 감성인식 API 테스트베드 구축 완료 목표
- 2026년까지 인간형 관절 모터 소형화 기술 개발(현재 28개 → 42개 목표)
- 2027년 도쿄 로봇 엑스포 참가를 통한 해외 기술 검증 계획
②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 2024년 4분기 독일 현지법인 설립 예정(초기 투자액 50억 원)
- 북미 지역 판매 대리점 12개소 확보(2025년 목표)
- EU CE 인증 획득을 위한 충돌 방지 시스템 성능 개선 중
③ 전략적 M&A 추진
- 2024년 720억 원 유상증자 자금 중 500억 원을 M&A 전용
- 인공지능 스타트업 2곳(컴퓨터 비전·자연어처리 분야) 인수 검토
- 2025년 1분기 중 해외 로봇 부품업체 협업 발표 예정
3. 에스피시스템스 317830 현재주가>>>
3-1 휴머노이드 K로봇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 역량
에스피시스템스는 1988년 설립 이후 36년간 로봇자동화 시스템 사업을 영위해온 전문 기업입니다. 갠트리 로봇을 중심으로 한 산업용 로봇 시스템 구축 경험이 풍부하며, 특히 2025년 상반기 기준 매출의 절반 이상을 로봇 부문에서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인프라 측면에서 경쟁력으로 평가됩니다.
② 2차전지 부품 사업의 시너지 효과
2024년 종속기업인 태화에스피와 합병하며 2차전지 관련 부품 제조 사업을 추가했습니다. 휴머노이드 로봇에 필수적인 고성능 배터리 부품 분야에서 기술력을 확보함으로써, 로봇-에너지 저장장치(ESS) 연계 사업 모델 개발이 가능해졌습니다. 특히 전기차용 로봇 공장 자동화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이중화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③ 삼성전자 협력망 간접 연계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인 삼성전자가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에스피시스템스는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삼성리서치아메리카(SRA)에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개를 도입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 향후 대규모 로봇 시스템 구축 수주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3-2 사업특징
① 산업용 로봇 분야의 장기 경험
주요 사업인 갠트리 로봇 시스템은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에서 고정밀 위치 제어가 필요한 분야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2024년 말 기준 국내 자동화 공정 시장 점유율 18.7%를 기록하며, 특히 모터 제어 정밀도 측면에서 일본 니덴코社와 기술 제휴를 통한 성능 개선을 지속해왔습니다.
② 사업 다각화를 통한 리스크 분산
2025년 현재 로봇자동화(54%), 2차전지 부품(32%), 일반 산업기계(14%)로 구성된 매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단일 산업 의존도를 낮추고 경기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최근 3개년 평균 매출 성장률 22%를 달성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③ 소프트웨어 통합 솔루션 강화
2023년 계열사인 엠아이큐브솔루션을 편입하며 스마트팩토리 SW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공정 데이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과 예지정비 알고리즘을 결합한 'AI-Powered Robotics Solution'을 출시 예정이며,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운영 효율성 향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습니다.
3-3 사업계획
① 로봇 자동화 분야 시장 확대
2026년까지 북미 지역 매출 비중을 현재 15%에서 35%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특히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양산라인 구축 수요를 겨냥해 현지 법인을 통해 공격적인 영업 전략을 펼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2025년 2분기 120억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에 나섰습니다.
② 2차전지 부품 사업의 고부가가치화
2024년 4분기부터 양극재 코팅 장비용 로봇 암(ARM)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공정 장비보다 40% 이상 정밀도가 높은 제품을 목표로 하며, 2025년 말 양산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차용 휴머노이드 로봇의 에너지 효율성 향상과 직결되는 분야입니다.
③ AI-로봇 융합 기술 투자 확대
2025년 1월 발표된 기술 로드맵에 따르면, 향후 3년간 R&D 예산의 45%를 인공지능 기반 로봇 제어 시스템 개발에 할당할 예정입니다. 특히 다중 로봇 협업을 위한 분산형 AI 알고리즘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 칩셋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 간 그룹 제어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4. 라온테크 232680 현재주가>>>
4-1 휴머노이드 K로봇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반도체 진공 로봇 분야의 기술 독보성
라온테크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웨이퍼를 진공 환경에서 이송하는 로봇 기술을 국내 유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4개의 개별 제어 팔(Individual Controlled 4 Arm)을 장착한 진공로봇은 전 세계적으로 3개사만 양산 가능한 기술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메이저 반도체 업체에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정밀 구동 시스템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습니다.
② 글로벌 완성차사의 로봇 도입 확대 대응 역량
테슬라와 BMW 등 글로벌 완성차사가 생산 라인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도입하며, 라온테크의 고정밀 모듈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BMW는 피규어AI 로봇 도입으로 조립 공정 효율을 4배 향상시켰으며, 라온테크는 유사한 기술을 기반으로 협업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③ 중국 반도체 장비 시장 진출 확대
2024년 말 중국 최대 반도체 장비사인 북방화창(Naura)과 협력을 체결하며, 라온테크의 진공로봇이 중국 시장에 본격 진출했습니다.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글로벌 공급망 확보와 직결되는 전략입니다.
4-2 사업특징
① 반도체 진공로봇 시장의 선점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19건의 특허를 기반으로 한 진공로봇 기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요 장비로 활용됩니다. 특히 7축 모션 제어 기술은 미세 먼지 제어 정확도에서 경쟁사 대비 30% 이상 우수한 성능을 입증받았습니다.
② 다양한 산업군으로의 사업 확장
LCD/OLED용 FPD 로봇, 제약·바이오 분야의 델타 로봇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했습니다. 2024년 기준 제약 분야 매출은 전년 대비 45% 증가하며 신성장동력으로 부상 중입니다.
③ 글로벌 고객사 기반
미국 Applied Materials, 네덜란드 ASML 등 해외 반도체 장비사와 협력을 확대 중입니다. 2024년 해외 매출 비중은 32%로, 전년 대비 18%p 상승하며 글로벌 시장 영향력을 강화했습니다.
4-3 사업계획
① 중국 시장 적극 공략
북방화창과의 협력을 통해 2025년 중국 내 반도체 로봇 시장 점유율 15%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현지 법인 설립과 맞춤형 제품 개발에 120억 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② AI 기반 로봇 솔루션 개발
자체 개발한 딥러닝 비전 검사(Vision Inspection) 기술을 휴머노이드 로봇의 객체 인식 시스템에 접목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2024년 한국남부발전과 체결한 생성형 AI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실시간 의사결정 알고리즘 강화에 주력합니다.
③ 생산 시설 확충을 통한 수주 역량 강화
2024년 5월 경기도 용인시에 109억 원 규모의 토지를 매입해 2026년까지 2차 공장을 건설할 계획입니다. 이는 연간 생산 능력을 기존 800대에서 1,500대로 확대하기 위한 핵심 투자입니다.
5. 두산로보틱스 454910 현재주가>>>
5-1 휴머노이드 K로봇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국내 협동로봇 시장 점유율 1위 기업
두산로보틱스는 2024년 기준 국내 협동로봇 시장에서 46% 점유율을 차지하며 독보적 위치를 확보했습니다. 정부 주도의 '휴머노이드 얼라이언스'는 생태계 내 핵심 기업을 중심으로 추진되며, 시장 리더인 두산로보틱스의 참여는 필수적입니다. 2025년 1월 로봇주 급등 시장에서 16% 상승률을 기록하며 투자자 신뢰도를 입증했습니다.
② 글로벌 AI·로봇 기업과의 협력 확대
테슬라, 엔비디아,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이 휴머노이드 개발에 가속화하는 가운데, 두산로보틱스는 2024년 CES에서 AI 재활용 로봇 '오스카'를 공개하며 기술력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TDK Qeexo와의 머신러닝 협업은 인간 개입 없이 사물 분류가 가능한 기술을 구현, 휴머노이드 분야 적용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③ 정부의 부품 국산화 정책과 시너지
2030년까지 모터·배터리 등 핵심 부품 국산화율 80% 달성 목표에 발맞춰, 두산로보틱스는 토크 센서 기반 정밀 제어 기술을 자체 개발했습니다. 2025년 2월 발표된 얼라이언스는 국내 공급망 강화를 목표로 하는 만큼, 자체 부품 생산 역량을 보유한 기업으로서 수혜 가능성이 큽니다.
5-2 사업특징
① 6축 토크 센서 기반 고정밀 제어 기술
모터 전류값이 아닌 직접 토크 측정 방식을 채택해 360도 초고속 회전이 가능한 P3020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이 기술은 2024년 12월 기준 20kg 이상 페이로드 로봇 시장에서 경쟁사 대비 30% 빠른 작업 속도를 구현하며, 정밀 조립·용접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② 글로벌 최대 협동로봇 라인업 구축
5kg~25kg급 13종 모델을 보유하며 의료용 수술 보조부터 물류 팔레타이징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 중입니다. 2025년 2월 발표된 얼라이언스 내에서 멀티 도메인 적용 사례를 제시하며 생태계 선도 역할을 수행할 전망입니다.
③ Dart-Suite 플랫폼을 통한 소프트웨어 생태계
로봇 앱 개발·유통을 지원하는 이 플랫폼은 2024년 1월 CES에서 공개된 후 1년 만에 1,20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했습니다. 커피 머신 제어부터 전기차 충전 솔루션까지 B2B·B2C 시장 동시 진출의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5-3 사업계획
① 미국·유럽 시장 공략 확대
2025년 2월 태국 VRNJ와 300대 규모 협동로봇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 중입니다. 2026년까지 해외 매출 비중을 63%에서 75%로 확대한다는 목표 하에 북미 물류센터 증설을 추진 중입니다.
② 생산 공정 자동화로 원가 경쟁력 강화
수원 공장에 9개 자동화 셀 도입으로 2025년 연간 4,000대 생산 체계를 완성했습니다. 모듈 조립 시간을 60분에서 37분으로 단축해 15% 원가 절감 효과를 달성, 중국 유니트리 로봇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③ 휴머노이드 사업부 신설을 통한 R&D 투자
인체공학적 설계와 AI 연동 기술 개발에 2025년 매출의 25%를 R&D 비용으로 할당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영업적자는 지속되고 있으나, 장기적 성장을 위해 2030년까지 휴머노이드 분야 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6. 에스비비테크 389500 현재주가>>>
6-1 휴머노이드 K로봇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핵심 부품인 감속기 기술 보유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원가 중 감속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35%로, 에스비비테크는 미분기하학 기반의 정밀 설계 기술로 하모닉 감속기 양산화에 성공했습니다. 일본 H사 제품 대비 30% 이상 낮은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 협동로봇 업체들과의 협력 강화가 기대됩니다.
② 국산화 대체 수혜 기대
산업부의 2030년 로봇 부품 국산화 목표에 따라, 상위 협동로봇 업체들의 원가 절감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에스비비테크는 감속기 분야에서 해외 경쟁사 대비 기술 격차가 0.9년 미만으로 평가받으며, 국내 밴더 교체 수요를 선점할 전망입니다.
③ 휴머노이드 멀티플 효과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협력 확대와 정부 주도 생태계 조성에 따라, 웨어러블 로봇 및 서비스 로봇용 감속기 수요가 2~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기존 산업용 로봇 대비 높은 물량 수요로 연결되어 매출 성장 레버리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6-2 사업특징
① 정밀 부품 전문성
국내 최초로 LCD 장비용 구동 부품 국산화를 달성했으며, 반도체·FPD 장비 이송 로봇에 적용되는 감속기 시장에서 45% 점유율을 기록 중입니다. 2024년 완료된 신공장 증설로 연간 30만 대 생산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②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협동로봇(65%), 물류로봇(20%), 방위산업(15%)으로 매출을 다변화했습니다. 특히 군용 감속기의 경우 2024년 3분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하며 신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③ R&D 투자 효율성
매출 대비 18%의 연구비를 투자하며, 2024년 상반기 기준 23건의 특허를 추가 등록했습니다. 3년 연속 정밀기계분야 기술력 평가 A등급을 유지하며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6-3 사업계획
① 글로벌 완성차 시장 진출
2025년 2분기 중 독일 자동차 부품업체 B사와 스위블 시트용 감속기 공급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이는 기존 1차 밴더 중심 사업에서 2차 밴더 시장으로의 영역 확대를 의미합니다.
② AI 기반 예지정비 시스템 도입
감속기 수명 예측 알고리즘 개발에 착수해 2026년 상용화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 고장률을 0.5%p 개선하고 A/S 매출 증대 효과를 노리고 있습니다.
③ 소형 서비스 로봇 시장 공략
휴머노이드 로봇에 필요한 초소형 감속기(직경 20mm 이하)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시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 일본 Nabtesco와의 기술 격차를 1.2년에서 0.8년으로 단축할 계획입니다.
AI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 관련주 5종목
차세대 AI 반도체를 위한 유리기판 유리기판 관련주는 삼성전자가 첨단 패키지 공정에 유리기판을 적용한다는 소식 이후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엔비디아, AMD, 인텔, SKC, 앱솔릭스
intap365.com
미해군 조선 관련주 5종목, 美 해군 동맹국 건조 법안 발의
공화당 동맹국에 허용 법안 발의미해군 법안 조선 관련주는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이 미 해군함을 동맥국이 건조하는 법안인 '해군준비태세 보장법'을 발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큰 주목을 받고
intap365.com
로봇 LLM 관련주, 로봇 대형언어모델 1천억달러 성장 예상...엔비디아 주도
로봇 LLM 관련주는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글로벌 로봇 대형언어모델 LLM 시장이 2028년에는 1천억 달러 규모로 커질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로봇 관련주가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이는
intap365.com
'오늘의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전지 도요타 납품 관련주 6종목, LG에너지솔루션 15억 달러 (2) | 2025.02.19 |
---|---|
체코 원전 관련주 5종목, 고준위방사성 폐기불처분시설 특별법 통과 (5) | 2025.02.19 |
방산 100조 잭팟 관련주 6종목, (0) | 2025.02.19 |
에너지 3법 전력설비 관련주 6종목, 전력망확충법 소위 통과 (0) | 2025.02.19 |
방위산업 방산협력 관련주 6종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북유럽 1개국 논의 (5) | 2025.02.17 |
전력설비 전력망확충법 관련주 6종목, 에너지3법中 처음 (2) | 2025.02.17 |
소캠 SOCAMM 제2의 HBM 관련주 6종목 (2) | 2025.02.17 |
아이폰 SE4 관련주 5종목, 가격 인상 가능성 (2)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