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특징주

전력설비 전력망확충법 관련주 6종목, 에너지3법中 처음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2. 17.

전력설비-전력망확충업-관련주

전력설비 전력망확충법·고준위방폐장법·해상풍력특별법

전력설비 관련주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원회에서 정부가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산업을 위해 전력망 확충을 지원하는 내용의 국가기각전력망확충법을 통과시켰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에너지 3 법인 전력망확충법·고준위방폐장법·해상풍력특별법 중 가장 먼저 처리 되었다. 

전력설비 전력망확충법, 국회 산자위 소위 통과… 에너지 3 법 중 처음 기사 바로가기>>>

 

전력망확충법, 국회 산자위 소위 통과…에너지3법 중 처음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계승현 기자 =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17일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를 열어 정부가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산업을 ...

www.yna.co.kr

전력설비 관련주 목차 

1. LS마린솔루션

2. 세명전기

3. 제룡산업

4. 대원전선

5. 대한전선

6. 동아지질

전력설비-전력망확충업-관련주

 

1. LS마린솔루션 060370   현재주가>>>

1-1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해저케이블 시공 분야의 독보적 경쟁력

LS마린솔루션은 국내 유일의 해저케이블 전문 시공 기업으로, 최근 전남 안마 해상풍력단지(530MW) 외부망 공사에서 LS전선과 협업해 수십 km 규모의 해저케이블을 설치했습니다. 이는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망 구축에 필수적인 인프라 작업으로, 정부의 전력망 확충 정책과 직접적으로 연계됩니다.

그룹사 간 밸류체인 구축

LS전선의 자회사로서 제조-시공 턴키 사업 모델을 완성했습니다. 20238LS전선에 인수된 이후, 두 기업은 국내 최초로 해저케이블 제조와 시공 역량을 결합해 유럽·북미 시장에서 35,000억 원 규모의 수주잔고를 확보했습니다. 이는 정부 정책 지원 아래 그룹 내 시너지를 극대화한 사례입니다.

해외 시장에서의 사업 다각화

아태 지역 85,000km 해저케이블 유지보수 계약을 2029년까지 연장하며 연 130억 원의 고정 수익을 안정화했습니다. 또한 대만 타이베이에 현지 법인을 설립해 동남아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한 점도 글로벌 전력망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1-2 사업특징

해상풍력 인프라의 핵심 파트너

국내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70% 이상에 참여하며 실적을 견인 중입니다. 2024년 상반기 누적 매출 520억 원을 기록하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한 수치로 사업 확장 속도를 입증했습니다.

기술력 기반의 고부가가치 사업

1만 톤급 대형 포설선 도입과 케이블 매설용 로봇 기술을 접목해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특히 800m 수심에서의 케이블 설치가 가능한 GL2030 선박은 국내 유일의 장비로 기술적 우위를 확인시켜 줍니다.

재무적 안정성 확보

2024년 예상 매출 1,303억 원(전년비 +84%), 영업이익 124억 원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LS빌드윈 편입으로 육상 케이블 시공 사업이 추가되며 매출 다각화에 성공, 2025년까지 연평균 20% 이상의 성장률이 기대됩니다.

1-3 사업계획

대규모 설비 투자를 통한 역량 강화

20242,000억 원 규모의 선박 증설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1만 톤급 포설선 1척 추가 도입으로 동시에 4개 프로젝트 수행이 가능해져 해외 수주 확대에 탄력을 받을 예정입니다.

신에너지 분야 사업 확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해양 에너지 개발 MOU를 체결해 해저 광물자원 탐사 사업에 진출합니다. 이는 기존 해저케이블 사업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수익 모델로 평가받습니다.

글로벌 턴키 사업 본격화

유럽을 중심으로 한 해상풍력 단지 건설 프로젝트에 LS전선과 공동 입찰 중입니다. 2025년 말까지 5조 원 규모의 해외 수주 목표를 설정했으며, 현재 진행 중인 19개 글로벌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영업이익률 25% 달성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전력설비-전력망확충업-관련주

 

 

2. 세명전기 017510   현재주가>>>

2-1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HVDC 기술력으로 국가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국내 최초 500kV 초고압직류송전(HVDC) 금구류 개발을 완료하고, 서울-수도권 230km 구간 송전사업에 수주를 성공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교류 송전 대비 30% 이상 손실 감소 효과가 있어 정부의 전력망 효율화 정책과 직접 연계됩니다.

전력망확충법 1호 통과로 인한 실적 개선 기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최초로 통과된 해당 법안은 20259월까지 166.9억 원 규모의 수주 계약을 체결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는 최근 분기 매출액(118.4억 원) 대비 141%에 달하는 규모로, 당기순이익 증가로 직결될 전망입니다.

재무 안정성과 수익성 우위

20251월 기준 퀀트 재무 점수 35.51점으로 전력설비 업계 평균(28.7)을 상회합니다. 특히 유동비율 198%, 부채비율 42%로 동종업체 대비 재무구조가 튼튼해 경제환경 변화에 강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2 사업특징

송배전선로용 금구류 국산화 선도

154kV~765kV 고전압 송전설비 부품을 일본 수입에서 국내 개발로 전환했으며, 한국전력공사와 36.8%의 안정적 거래 비중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3분기 기준 이 분야에서 123억 원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철도 인프라 분야 기술 다변화

전차선로용 금구류를 국산화하여 서울메트로·부산교통공사 등 5대 광역철도에 공급 중입니다. 철도사업 부문 매출이 202318억 원에서 202427억 원으로 50% 성장하며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터키 고속철도(Konya High-Speed Rail) 프로젝트에 현지 맞춤형 금구류를 공급하며 해외 매출 비중을 21.7%까지 끌어올렸습니다. 2025년 인도네시아 500kV 송전망 구축 사업 수주를 목표로 하는 등 신흥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3 사업계획

500kV HVDC 상용화 가속화

20259월까지 개발 완료된 500kV급 초고압직류송전 시스템을 본격 상용화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110km 송전선로 사업(총사업비 2.3조 원)에 기술을 적용, 연간 300억 원 이상의 추가 수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동남아 시장 판로 개척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반둥 345kV 송전망 건설 입찰에 참여하며, 현지 법인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202412월 말 기준 동남아 지역 수주 잔량이 284억 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한 것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신소재 적용 제품 라인업 확장

연질 알루미늄 복합소재를 활용한 경량화 금구류 개발에 성공하여 2025년 상반기 양산에 돌입합니다. 이 제품은 기존 대비 40% 경량화로 설치비용 절감 효과가 있어 국내외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전력설비-전력망확충업-관련주

 

 

3. 제룡산업 147830   현재주가>>>

3-1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전력 인프라 구축의 핵심 플레이어

20252월 통과된 전력망 확충법은 국가 차원의 전력 인프라 투자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제룡산업은 송전·배전 자재 분야에서 4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과 한국전력공사와의 협력 이력을 바탕으로 주요 사업자로 선정되었습니다. 특히 변압기, 전력 보호 장치 등 핵심 설비 공급 실적이 법안 추진 과정에서 신뢰성 있는 파트너로 평가받았습니다.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 능력

글로벌 AI 산업 확장에 따라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룡산업은 고효율 변압기와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1MWh당 전력 손실률을 기존 대비 15% 낮춘 기술을 확보했으며, 이는 삼성SDI의 충북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검증받았습니다. 202412월 기준 데이터센터 관련 수주는 전년 대비 72% 증가했습니다.

해외 프로젝트 수주 확대 전략

인도네시아 41조 원 규모 HVDC(초고압직류송전) 사업에 한국전력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20251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정부와 체결한 2.3억 달러 규모의 산불 복구용 전력망 재구축 계약은 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2 사업특징

기술 집약적 제품 포트폴리오

  • 초고압 변압기 : 345kV급 변압기 개발을 완료하고 2024년 3분기부터 본격 양산 중
  • 스마트 계량 시스템 : 전력 사용량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IoT 기반 장비를 LS그룹에 공급
  • 친환경 솔루션 : 재생에너지 연계를 위한 ESS 호환 설비 개발 (2024년 11월 국립환경연구원 인증 획득)

탄탄한 수주 파이프라인

20251월 기준 누적 수주잔고는 12,3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0% 증가했습니다. 주요 계약처는 한국전력(54%), LS전선(22%), 해외 수주(19%)로 구성되며, 5년 장기 계약 비중이 68%에 달해 안정성이 확인됩니다.

R&D 역량의 지속적 확대

매출 대비 R&D 투자 비율이 7.8%로 업계 평균(4.2%)을 크게 상회합니다. 2024년 말 기준 보유 특허는 143(국내 89, 해외 54)이며, 스마트 그리드 분야에서는 전력설비 업체 중 유일하게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국제 표준 3건을 주도했습니다.

3-3 사업계획

글로벌 인프라 프로젝트 집중 공략

  • 동남아 시장 : 베트남 북부-남부 500kV 연계망 구축사업(3.6억 달러) 수주 유력
  • 북미 진출 : 텍사스 재생에너지 허브 건설을 위한 현지 법인 설립 추진(2025년 6월 목표)
  • 유럽 협업 : 지멘스 에너지와 스마트 변전소 공동 개발 MOU 체결(2025년 3월 예정)

차세대 전력 솔루션 개발

  • AI 기반 예측 관리 시스템 : 2026년 상용화 목표로 한국전력과 공동 연구 중
  • 수소연료전지 호환 설비 : 두산에너빌리티와 수소충전소용 변압기 개발 계약 체결
  • 모듈형 설비 표준화 : 설치 기간 단축(기존 6개월 → 3개월)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 완료

생산 효율성 극대화

  • 자동화 설비 투자 : 2025년 2/4분기까지 경남 창원 공장에 320억 원 투입 예정
  • 공급망 다각화 : 희토류 확보를 위해 몽골 현지 기업과 합작법인 설립 협상 중
  • ESG 경영 강화 : 제조 과정 탄소배출량 30% 감축 로드맵 수립(2030년 목표)

전력설비-전력망확충업-관련주

 

 

4. 대원전선 006340   현재주가>>>

4-1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미국 전력망 현대화 수요 대응

대원전선은 초고압 전력선 분야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으며 미국 LA 전력청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최근 미국 정부가 노후 전력망 교체 및 인프라 확충에 약 2조 달러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면서,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샘플 테스트가 진행 중입니다. 신영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내년 하반기 계약 체결이 유력시되며, 이는 해외 매출 확대의 결정적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AI 데이터센터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수혜

AI 데이터센터 증설과 전기차 충전소 확장으로 고전압 케이블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대원전선은 국내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전력선을 공급하는 동시에, 글로벌 전기차 업체의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참여 중입니다. 특히 20243분기 기준 전력전선 매출이 38.6%를 차지하며 핵심 성장동력으로 부상했습니다.

국내외 수주잔고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2024년 말 기준 수주잔고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89,98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연결 사업과 해외 프로젝트 수주 증가가 주효했으며, 향후 3년간 연평균 15% 이상의 매출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한국전력 345kV 송전망 구축 사업에 참여하며 수익성 개선 효과도 기대됩니다.

4-2 사업특징

전력·통신 케이블 전문성

1964년 설립 이후 60년간 전력 배송용 나선, 절연전선, 통신케이블 등 100여 종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했습니다. 20243분기 기준 절연전선(54.7%)과 전력전선(38.6%)이 매출의 93.3%를 차지하며 특화된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글로벌 프로젝트 다각화

미국을 비롯해 동남아, 중동 지역에 진출하며 2024년 해외 매출 비중이 25%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최근 UAE 스마트그리드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유럽 재생에너지 연계 송전망 사업에도 진출을 준비 중입니다.

자동차 전선 시장 선점

현대·기아 자동차에 모빌리티 내부 전선을 공급하며 2024년 자동차 부문 매출이 1,50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전기차용 고전압 케이블 개발에 성공하며 2025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계획입니다.

4-3 사업계획

미국 시장 공략 가속화

LA 전력청과의 협력을 시작으로 2025년 내 5개 이상의 주() 전력청과 계약을 목표로 합니다. 현지 법인 설립을 검토 중이며, 테네시주에 연면적 3만 평 규모의 생산시설 건설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용 신기술 개발

AI 기반 전력 손실 감소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케이블을 2025년 상반기 출시 예정입니다. 이 제품은 기존 대비 20% 이상의 에너지 효율 개선 효과가 있으며, 국내 최초로 한국전력 실증실험을 통과했습니다.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한 수주 대응

당진 공장에 300억 원을 투자해 20252분기까지 초고압 케이블 월产能50km에서 120km로 확장합니다. 이는 최근 확보한 2조 원 규모 수주물량을 안정적으로 소화하기 위한 핵심 전략입니다.

전력설비-전력망확충업-관련주

 

 

5. 대한전선 001440   현재주가>>>

5-1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글로벌 전력망 교체 수요 선점

최근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노후 전력망 교체 프로젝트가 확대되면서 대한전선은 2025년 영국 400kV급 초고압 프로젝트, 미국 플로리다 230kV급 전력망 교체 사업 등을 성공적으로 수주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누적 수주액이 3,200만 달러를 돌파하며 현지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습니다.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 역량

AI 산업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설 증가는 초고압 전력망 수요를 촉진시켰습니다. 대한전선은 구리 가격 변동에 따른 원가 상승을 제품 단가 인상으로 전가하는 에스컬레이터 조항을 적용해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관련 법안 통과 후 추가 수혜가 예상되는 대목입니다.

국내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참여 확대

2027년 완공 예정인 당진 해저케이블 1, 2공장을 통해 국내 해상풍력 프로젝트 공급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과 맞물려 장기적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5-2 사업특징

해저케이블 분야 기술 선도

400kV급 초고압 케이블 개발을 완료하고 풀 턴키(설계생산시공) 방식의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인정받아 영국 LPT2 터널 프로젝트에 참여 중입니다. 20243분기 기준 해저케이블 수주잔고는 16,288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5% 증가했습니다.

글로벌 프로젝트 다변화 전략

미국 뉴욕 노후 전력망 교체 사업에서 특허받은 포설 기술을 적용했으며, 영국 동부 400kV 프로젝트에서는 현지 파트너사인 발포어 비티와의 협력을 통해 2030년까지 2.2억 파운드 규모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재무구조 개선을 통한 투자 여력 확보

20234,625억 원 규모 유상증자를 완료하며 부채비율을 120%대에서 85%대로 낮추었습니다. 이 자금을 당진 2공장 건설(1,555억 원)과 미국 현지법인 설립(900억 원)에 투자해 생산능력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5-3 사업계획

해저케이블 생산역량 2배 확대

2027년까지 당진 2공장 가동을 통해 연간 500km 생산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는 현재 LS전선(700km) 대비 70% 수준의 생산능력으로, 해상풍력 시장 점유율 15% 달성이 목표입니다.

미국 현지생산체제 구축

텍사스 또는 조지아주에 연간 300억 원 규모의 케이블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며, 이는 IRA법 상 현지조달 혜택(세제감면 30%) 확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연계 프로젝트 확보

덴마크 혼스레프 3해상풍력장(2.4GW) 입찰에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며, 2026년까지 유럽 지역 재생에너지 관련 수주 목표를 기존 대비 40% 상향 조정했습니다.

전력설비-전력망확충업-관련주

 

 

6. 동아지질 028100   현재주가>>>

6-1 전력설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DCM 기술을 통한 지반 개량 분야의 선두 주자

동아지질은 Deep Cement Mixing Method(DCM) 기술을 활용해 연약 지반을 고강도로 개량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이 기술은 대규모 전력 인프라 구축 시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핵심 요소로, 최근 부산항 진해신항 남방파제 공사(330억 원 규모)와 같은 국가적 프로젝트 수주를 이끌었습니다. 전력망 확충법에 따른 인프라 투자 확대 시, 동사의 기술력은 필수적인 경쟁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대규모 전력구 공사 수주 실적 확보

202411월 한국전력공사와 체결한 **신강서-세산 3차 전력구 공사(249억 원)**는 동아지질의 시공 능력을 입증하는 사례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2027년 완공 예정으로, 향후 26개월간 안정적인 매출 흐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력망 특별법 추진 시 추가 수주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해상풍력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 진출

동사는 해상풍력 기반 시설 구축에 필요한 해상 DCM 공법을 보유하며, 국내 최초로 전용선 2척을 운영 중입니다. 20246월 포항 앞바다 석유·가스 시추 착수 소식과 연계된 해양 프로젝트 수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6-2 사업특징

토목 엔지니어링의 원스톱 솔루션 제공

지반 조사부터 설계, 시공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최대 강점입니다. 2024년 싱가포르 지하철 DTL 3단계 구간 공사(4개 공구 중 3개 수주)에서도 현지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해외 시장 다각화 전략

중동(아부다비), 동남아(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글로벌 프로젝트 참여 비중이 48%, 국내 매출 의존도를 낮추고 있습니다. 202412월 현대건설과 체결한 부산항 진해신항 공사는 해외 진출 노하우를 국내에 역접목한 성공 사례입니다.

R&D 투자를 통한 기술 고도화

연매출의 5%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복합 Pipe-Jacking 공법 등 120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발표된 해수담수화 파일럿 플랜트(1,000톤 규모)는 수자원 사업 진출의 교두보로 평가됩니다.

6-3 사업계획

전력망 특별법 기반 인프라 프로젝트 적극 참여

2025년 상반기 중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에 따른 대규모 설비 투자에 주력할 예정입니다. 특히 고전압 송전망 구축에 필요한 지반 개량 공법을 활용해 한국전력공사와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

해상풍력 기반 시설 외에도 **ESS(에너지저장시스템)**와 연계한 스마트 그리드 사업을 검토 중입니다. 20243분기 기준 ESS 관련 수주액은 1,000억 원을 돌파하며, 2025년까지 해당 분야 매출 비중 20%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기술 혁신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

AI 기반 시공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2025년 상반기 완료 예정)으로 프로젝트 효율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또한 미국 트럼프 정부의 화석연료 인프라 투자 확대에 대응해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원전 관련주 5종목: 트럼프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발동

에너지 2배 이상 필요원전 관련주는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과 함께 에너지패권을 가시화하는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발동하여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생산에 주력하여 지금의 두 배 그 이상

intap365.com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트럼프 러시아-우크라이나 특사 파견

종전안 구상 선휴전 예상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종전안 구상이 곧 발표될 것이라는 소식과 함께 특사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만난 종전안을 제안할 것이라

intap365.com

 

 

원자력 관련주 6종목: 美 웨스팅하우스와 분쟁 합의

한수원 웨스팅하우와 분쟁 마침표 원자력 관련주는 한국수력원자력이 미국의 웨스팅하우스와의  2년 넘게 끌어온 원자력 발전기술 지식재산권 분쟁을 종결하기로 하면서 우선 협상 대상자로

intap365.com

 

 

전력설비-전력망확충업-관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