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특징주

LNG 조선 관련주 6종목, 미국 LNG 수출 확대 허가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2. 19.

LNG-조선-관련주

미국 내외 에너지 수송 프로젝트 

LNG 조선 관련주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바이든 행정부가 중단했던  LNG 수출 프로젝트에 대한 첫 승인 결정과 하루 100만 배럴의 원유를 선적할 수 있는 텍사스 원유 수출항 프로젝트를 승인했다고 알려지면서 장중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10여 개의 대형 LNG 프로젝트가 심사 대기 중이며, 미국 내외 에너지 수송을 원하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해졌다. 

LNG 조선 관련주 관련기사 

 

트럼프 행정부, 바이든 중단 후 첫 LNG 수출 승인…텍사스 원유 수출항도 승인 | 임팩트온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 행정부가 중단했던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프로젝트에 대한 첫 승인 결정을 내렸다. 미국의 LNG 수출 확대를 공약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기조에 따른 조치로 풀이

www.impacton.net

LNG 조선 관련주 목차 

1. 삼성중공업

2. 한국카본

3. HD현대중공업

4. HD현대마린솔루션

5. HD현대미포

6. 한화오션

LNG-조선-관련주

1. 삼성중공업 010140    현재주가>>>

1-1 LNG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세계 최고 수준의 LNG 운반선 건조 기술

삼성중공업은 2024년 한 해 동안 수주한 24척의 선박 중 21척을 LNG 운반선이 차지하며, 카타르 2LNG 프로젝트에서만 15(계약금액 45,716억 원)을 수주했습니다. 이는 2025년까지 인도 예정인 러시아 북극 LNG-2 프로젝트와 연계해 향후 3년간 안정적인 수익을 예상케 합니다.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 분야의 선도적 입지

2024년 하반기부터 FLNG 매출이 본격화되며, 모잠비크 Coral Sul 2호기와 미국 Delfin FLNG 등 대형 프로젝트 수주를 앞두고 있습니다. FLNG는 기존 상선 대비 수익성이 20~30% 높아 매출 증대 효과가 큽니다.

글로벌 LNG 인프라 확장에 따른 직접적 수혜

미국 텍사스 원유 수출항 프로젝트 승인과 10여 개의 대형 LNG 프로젝트 심사 대기로, 삼성중공업은 운반선 및 해양플랜트 수요 증가를 선제적으로 대응 중입니다. 특히 2025년 예상 수주량 98억 달러 중 65%LNG/LPG 등 가스선입니다.

1-2 사업특징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수주 전략

2024년 기준 LNG 운반선 수주 잔량은 96척으로 전체 상선의 59%를 차지합니다. 최근에는 24K-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11척을 수주하며 친환경 선박 시장도 공략 중입니다.

해양플랜트 사업의 수익성 강화

Petronas FLNG 프로젝트 설계를 완료하고 2025년 상반기 건조에 돌입하며, Cedar FLNG를 포함한 2기 동시 건조로 해양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18.5% 증가할 전망입니다.

재무 건전성 개선을 위한 유동성 관리

202412월 판교 R&D센터를 4,000억 원에 매각한 뒤 자율운항·친환경 기술 개발에 재투자하며, 2025년 목표 영업이익률(OPM) 6%를 제시했습니다.

1-3 사업계획

FLNG 사업 확장을 통한 시장 선점

모잠비크 Coral Sul 2호기와 캐나다 Western FLNG 프로젝트 수주를 목표로 삼고 있으며, 기존 대비 30% 증가한 40억 달러 규모의 해양 부문 수주를 계획 중입니다.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 가속화

암모니아·수소 연료선 기술 실증 설비를 구축 중이며, 2025년 하반기부터 메탄올 추진 선박 본격 인도로 ESG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인프라 재편

거제조선소에 자율운항 시스템을 도입하고, 외국인 인력 10% 교체를 통해 생산성을 개선합니다. 또한 LNG 벙커링 사업을 내재화해 원가 절감 효과를 노립니다.

LNG-조선-관련주

2. 한국카본 017960     현재주가>>>

2-1 LNG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LNG 운반선 보냉재 시장의 독보적 경쟁력

한국카본은 LNG 운반선의 핵심 부품인 초저온 보냉재를 생산하는 글로벌 리더입니다. 특히, 마크III 방식 보냉재에 필수적인 '트리플렉스(Triplex)' 소재를 독점 공급하며, 국내 조선 3(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와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LNG 수출 확대로 LNG 운반선 수요가 급증할 경우, 한국카본의 수주 잔고(현재 4년치 이상)가 실적을 견인할 전망입니다.

미국 LNG 프로젝트와의 직접적 연관성

20252월 트럼프 행정부는 루이지애나주 커먼웰스 LNG 프로젝트를 승인하며 950만 톤 규모의 연간 수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비롯해 10여 개의 대형 LNG 사업이 추진 중이며, 한국카본은 해당 프로젝트에 필요한 LNG 운반선 보냉재 공급 기업으로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미국의 LNG 수출 확대는 한국 조선사의 수주 증가로 이어지며, 이는 한국카본의 매출 성장과 직결됩니다.

원자재 가격 하락 및 생산 효율화 효과

최근 유리섬유 및 MDI(보냉재 주요 원료)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원가 절감 효과가 기대됩니다. 또한 20245월 완료된 생산라인 증설로 기존 연간 25척 대비 30~32척 규모의 생산 능력을 확보,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될 것으로 분석됩니다.

2-2 사업특징

LNG 보냉재 시장의 절대적 점유율

한국카본은 전 세계 LNG 운반선 보냉재 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합니다. 20237월 현대삼호중공업과 체결한 1,484억 원 규모의 공급 계약은 단일 수주 기준 사상 최대 규모였으며, 2024년에는 5,162억 원 규모의 대형 계약을 추가 수주하며 시장 지배력을 공고히 했습니다.

방산·항공 산업으로의 사업 다각화

20238월 한국신소재를 흡수합병하며 방산용 탄소섬유 복합소재 분야로 진출했습니다. 국방과학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초경량 탄소섬유는 차세대 전투기 및 위성 구조체에 적용될 예정이며, 2025년 기준 방산 사업부 매출 비중이 15%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환율 상승에 따른 환차익 수혜

수출 비중이 70% 이상인 한국카본은 달러 강세 시 환차익 효과를 누립니다. 20242분기에는 원화 약세로 56억 원의 환차익이 발생했으며, 이는 당기 순이익의 30%를 차지하는 주요 실적 견인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3 사업계획

LNG 보냉재 생산 능력 확대

2025년까지 연간 생산 능력을 35척 수준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20245월 베트남 HCM VINA327억 원을 투자해 해외 생산 거점을 강화 중이며, 이는 글로벌 고객사 접근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친환경 에너지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

수소 저장탱크 및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용 복합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12월 현대글로벌서비스와 체결한 LNG 추진선 개발 MOU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며, 친환경 선박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 프로젝트로 평가받습니다.

방산·우주 산업 경쟁력 강화

2025년 상반기 중 우주발사체용 탄소섬유 소재 양산을 목표로 기술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30% 이상 경량화가 가능한 소재를 개발했으며, 이는 차세대 한국형 발사체(KSLV-III)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LNG-조선-관련주

3. HD현대중공업 329180    현재주가>>>

3-1 LNG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LNG 이중연료추진 선박 수주 실적

20251월 프랑스 선사 CMA CGM과 체결한 1만5500TEU급 LNG 이중연료추진 컨테이너선 12척 계약(약 3조90003조 9000억 원 규모)은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의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1 척당3227억 원의 고가 계약으로, 전년 대비 단가가 상승하며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미국 LNG 수출 확대에 따른 수혜

트럼프 행정부의 LNG 수출 허가로 미국산 에너지 운반 수요가 증가할 전망입니다. HD현대중공업은 이미 글로벌 선사와의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초대형 운반선 건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추가 수주 가능성이 큽니다.

친환경 선박 기술 경쟁력

암모니아·수소 연료 추진 기술을 적용한 세계 최초의 선박을 개발했으며, LNG 연료추진선과 메탄올 추진선 등 다양한 환경 규제 대응 모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IMO(국제해사기구)의 탄소중립 정책과도 부합합니다.

3-2 사업특징

고부가가치 선박 제조 전문성

LNG 운반선, VLCC(초대형 원유운반선), 특수선박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전체 수주 중 LNG선 비중이 55%에 달하며, 카타르 LNG 1차 분 174척 건조 계약을 성공적으로 수행 중입니다.

해양플랜트 사업 다각화

원유 생산·저장 설비와 발전플랜트 공사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해양 부문 BEP(손익분기점) 달성이 예상되며, 특수선 매출 1조 원 유지로 실적 안정화가 기대됩니다.

글로벌 시장 공략

전 세계 70% 이상 주요 선사와 협력하며 수주 잔고를 확대 중입니다. 최근 페루 함정 건조 착수와 필리핀 연안초계함 수주로 방산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3-3 사업계획

미국 MRO 시장 진출

20252월 중 미 해군 함정 정비(MRO) 사업 첫 입찰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4~5 독 슬롯을 미리 확보해 약 350조 원 규모의 미 해군 시장 공략에 나서며, 장기적으로 방산 부문 매출 확대가 예상됩니다.

특수선 분야 성장 동력 확보

KDX-III 배치-II 3번 함 건조와 필리핀 초계함 사업을 통해 방산 수주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2026년까지 특수선 매출 비중 2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 기술 개발 가속화

LNG '가스 연료 탱크'VOC 회수 시스템 등 친환경 솔루션 연구에 매년 매출의 5%를 투자할 방침입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암모니아 연료전지 선박 시제품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LNG-조선-관련주

4. HD현대마린솔루션 443060      현재주가>>>

4-1 LNG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글로벌 LNG 엔진 시장의 독보적 기술력 보유

HD현대마린솔루션은 MAN Energy SolutionsWinGD 엔진에 대한 라이선스를 동시에 확보한 세계 6개 기업 중 하나입니다. 이 두 회사는 글로벌 2행정 선박엔진 시장의 99%를 점유하며, HD현대마린솔루션은 이를 기반으로 LNG 운반선의 핵심 부품인 엔진 공급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했습니다.

친환경 선박 개조 시장의 선두 주자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해 선박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개조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은 1,000척 이상의 선박 개조 실적을 보유하며, 최근 유럽 선사와 409억 원 규모의 부유식 LNG 저장설비(FSU) 개조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HD현대 그룹의 종합 솔루션 시너지

HD현대중공업, HD현대해양솔루션 등 그룹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LNG 운반선 건조부터 유지보수, 개조까지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이는 단순 부품 공급을 넘어 선박 생애주기 관리 측면에서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4-2 사업특징

터키 방식의 프로젝트 수행 역량

최근 수주한 부유식 LNG 저장설비 개조 프로젝트에서 설계부터 시운전까지 전 과정을 단독 수행합니다. 이는 기술 통합력과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반영하며, 높은 수익성으로 연결됩니다.

글로벌 애프터마켓(AM) 서비스 확장

2024년 유럽 선사와 체결한 829억 원 규모 장기 유지보수 계약(LTSA)은 부품 공급에서 엔지니어 파견까지 포괄합니다. 전 세계 5개 지역에 물류센터를 운영하며 실시간 대응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디지털 솔루션 기반의 효율성 개선

AI 챗봇을 활용한 고객 문의 처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클라우드 기반 선박 관리 플랫폼을 고도화 중입니다. 이를 통해 유지보수 비용을 15% 이상 절감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4-3 사업계획

친환경 개조 시장 선점을 위한 R&D 투자 확대

2028년까지 600억 원을 투자해 LNG-FSU(부유식 저장설비) 및 재액화 설비 분야에서 기술 표준을 주도할 계획입니다. 현재 100여 척의 LNG 운반선을 대상으로 한 개조 수요를 확보 중입니다.

글로벌 물류 인프라 강화

네덜란드 로테르담과 미국 휴스턴에 대규모 물류센터를 추가 건설해 부품 배송 시간을 30% 단축합니다. 2025년 말까지 해외 창고 면적을 40% 확장할 예정입니다.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 전환

애프터마켓 사업 비중을 202465%에서 202675%로 확대하고, EBIT 마진율 16%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배당성향 50%~70% 유지를 통해 주주 가치 제고에 집중합니다.

LNG-조선-관련주

5. HD현대미포 010620      현재주가>>>

5-1 LNG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세계적 LNG 운반선 건조 기술 확보

HD현대미포는 중소형 LNG 운반선 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최근 18,000LNG 벙커링선 4척을 수주하며 그리스 선사 Evalend Shipping과의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해상에서 직접 LNG를 공급하는 STS 방식의 선박으로 친환경 규제 대응력이 뛰어납니다.

수주 잔고의 급격한 증가

2024년 신규수주는 61.3억 달러로 전년 대비 67.9% 증가했으며, 2025년 목표치로 제시된 38억 달러는 보수적인 전망치보다 높은 실적을 예상케 합니다. 특히 LNG 벙커링선 수요가 2033년까지 14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 환경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LNG 인프라 사업 다각화

재기화설비(RU) 사업에서 전사 매출의 11%를 차지하며, 미국의 LNG 수출 인프라 확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2025LNG-FSU(부유식 저장설비)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 중입니다.

5-2 사업특징

친환경 기술 선점 전략

IMO의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해 메탄 슬립 감소 기술을 적용한 LNG 추진선을 개발했습니다. 최근 건조 계약된 벙커링선은 2028년 인도 예정으로, 연간 1,500만 톤의 LNG 소비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설계입니다.

수익성 중심의 포트폴리오 관리

2025년 기준 LNG선 건조량을 전년 대비 1척 증가시킨 11척으로 확대하며, 척당 3750억원 규모의 수주를 통해 2조47502조 4750억 원의 매출 기대치를 설정했습니다. 이는 전체 매출 가이던스의 33.4%에 해당하는 비중입니다.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 역량

아프리카 선사를 포함한 해외 계약 비중이 85%를 상회하며, 텍사스 원유 수출항 프로젝트와 연계한 10여 개 대형 LNG 프로젝트 심사에 대비한 기술 제안서를 제출 완료한 상태입니다.

5-3 사업계획

LNG-FSU 상용화 추진

20252분기 내 부유식 저장재기화설비 시장에 진입할 계획입니다. 기존 육상 설비 대비 40% 낮은 운영비용과 2개월 단축된 설치 기간이 경쟁력으로, 이미 중동 지역 3개사와 사전협약을 체결했습니다.

고부가가치 선종 개발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4척을 2026년 하반기까지 인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CCS(탄소 포집 저장) 시장 선점을 노립니다. 해당 분야는 2030년까지 연평균 22% 성장이 예상되는 신성장동력입니다.

수주 질적 개선 전략

2025년 영업이익률 목표를 8.2%로 설정해 전년 대비 4.3%p 향상할 방침입니다. 고선가 선박 비중을 65%에서 78%로 확대하고, 헤비테일 계약 비율을 60% 유지해 현금흐름 안정화에 주력할 예정입니다.

LNG-조선-관련주

6. 한화오션 042660    현재주가>>>

6-1 LNG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카타르 에너지 초대형 프로젝트 수주 실적

20251월 한화오션은 카타르 정부가 추진하는 LNG 생산량 확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8척의 LNG 운반선 건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총 2조4,3932조 4,393억 원 규모의 초대형 수주로, 20281월까지 조선소 여수 공장에서 완료될 예정입니다. 해당 계약은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과의 협력 강화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유럽 선사와의 LNG 이중연료 기술 협력

독일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apag-Lloyd와 체결한 6척의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건조 계약(1조 7,000억(1조7,000 원 규모)202410월 기준 29개월 만에 체결된 대형 수주입니다. 이 선박들은 15,000TEU 규모에 최신 친환경 엔진을 장착해 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자회사 한화쉬핑을 통한 사업 다각화

20244월 설립된 한화쉬핑은 단순 선박 운영이 아닌 친환경 기술 검증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수행 중입니다. 2027년 하반기 인도 예정인 2척의 LNG 운반선(5,040억 원 규모)을 통해 암모니아 추진 시스템 등 미래 기술의 실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6-2 사업특징

고부가가치 선박 제조 역량 집중

2024년 한화오션은 총 37척의 선박 수주를 달성하며 73억5,00073억 5,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08% 증가한 수치로, LNG 운반선·암모니아 운반선 등 고수익 사업에 집중한 전략이 효과를 발휘한 결과입니다.

친환경 기술 선점을 위한 R&D 투자

20249월 공개한 'Ocean 1' LNG 운반선은 세계 최초로 암모니아 가스 터빈 기반 전기 추진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이 기술은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며, 기존 대비 탄소배출량을 100% 절감할 수 있는 혁신 솔루션입니다.

디지털 선박 솔루션 통합 제공

자율운항 선박을 위한 디지털 트윈 기술과 스마트 선박 관리 시스템을 개발 중입니다. 20252월 기준 174,000LNG 운반선에 최초 적용 예정인 이 시스템은 선체 상태 모니터링부터 연료 효율 최적화까지 종합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6-3 사업계획

친환경 선박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선행 투자

2025년 상반기 중 암모니아 추진 선박의 실증 실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한화쉬핑이 운영할 2척의 실험선을 통해 안정성 검증 후 2026년 본격적인 상용화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디지털 전환(DX) 가속화 전략

2024년 발표한 자율운항 선박 로드맵에 따르면, 2027년까지 Level 3(조건부 자율화) 기술 개발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현재 15개 해운사와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한 상태입니다.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한 전략적 제휴

미국 텍사스 원유 수출항 프로젝트와 연계해 20253월 중 남미 지역 선사들과 협력 MOU 체결을 추진 중입니다. 특히 브라질·아르헨티나 셰일가스 개발 사업과 연계한 LNG 운반선 수요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원전 관련주 5종목: 트럼프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발동

에너지 2배 이상 필요원전 관련주는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과 함께 에너지패권을 가시화하는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발동하여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생산에 주력하여 지금의 두 배 그 이상

intap365.com

 

 

8조원 차기 구축함 사업, 조선 방산 관련주 5종목

조선 방산 관련주가 8조원 규모의 한국형 차기 구축함 KDDX 사업과 관련하여, 산업통상자원부는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 두 회사 모두 차기 사업으로 지정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HD현대중

intap365.com

 

 

조선(친환경) 관련주 5종목, 조선 빅3 동반 흑자 올해 친환경 선박으로 기대

13년 만에 조선 빅 3 동반 흑자... 올해 친환경 선박으로 기대조선 관련주는 슈퍼사이클 호황에 올라탄 빅 3 조선사가 13년 만에 동반흑자를 달성하고, 올해는 LNG 액화천연가스 친환경 선박과 미국

intap365.com

 

LNG-조선-관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