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택시 관련주는 중국민용항공총국이 이항(億航)의 EH216-S 드론택시에 상업운항 허가증(OC)을 최초 발급 하였는데, 고도 1천m 이하에서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를 활용하는 '저공경제' 정책 가속화할 전망입니다. 4월 1일 국내 드론테마주는 전일대비 3.03% 상승는데 다만 비즈니스 모델 정립과 인프라 구축 등 상용화 과제 남아있습니다.
중국 '드론 택시'에 상업운항 허가…저고도 경제 새 장 여나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세계 - 뉴스 : 중국이 유인 드론 택시에 처음으로 상업운항을 허가했다. 31일 글로벌타임스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민용항공총국(CAAC)은 최근 드론 제조업체 이항(億航)
news.nate.com
1. 베셀
1-1. 베셀(177350)이 드론택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정부 주도 UAM 국책사업 참여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한 '자율비행 개인항공기(OPPAV) 기술 개발 사업'에 현대차, KAI와 공동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했습니다. 특히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한 중형 무인기 개발과제 수행 경험이 기술력 인정의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
② 독자적 수직이착륙(VTOL) 기술 보유
자회사 베셀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KLA-100 경량항공기는 탄소섬유 복합소재 적용으로 경량화에 성공했으며, 2017년 국내 최초 안전성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2023년 드론쇼코리아에서 선보인 수직이착륙기 설계 능력이 eVTOL 분야 경쟁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③ 프리IPO 효과 기대
베셀에어로스페이스가 2025년 상반기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준비 중입니다. 2024년 말 기준 시리즈A 투자 유치를 통해 2,000억 원 규모의 시가총액을 목표로 하고 있어, 모기업인 베셀의 지분 가치 상승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1-2. 핵심 사업 특징 3가지 분석
① 디스플레이 인라인 시스템 전문성
OLED/LCD 생산라인에 필요한 고온 오븐 장비 공급 분야에서 BOE, CSOT 등 중국 메이저 패널사와 장기 계약을 유지 중입니다. 2023년 상반기 8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의 35%를 차지했습니다.
② 항공기 부품 제조 역량
항공기 동체 프레임 가공 기술을 기반으로 미국 항공택시 스타트업과 부품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024년 3월 발표된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항공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120% 증가한 18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③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중국 항저우에 위치한 현지법인을 통해 아시아권 드론택시 시장 공략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2월 선보인 차세대 밀폐형 로터 시스템은 유럽 항공안전청(EASA)으로부터 기술 검증을 받은 상태입니다.
1-3. 주요 사업계획 3가지 전망
① 화성 UAM 실증단지 구축
경기도 화성시에 2025년 완공을 목표로 3,500평 규모의 종합 테스트베드 건설을 진행 중입니다. 이 시설에서는 비행시험뿐 아니라 일반인 대상 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신수익 창출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② 수소연료전지 드론 개발
롤스로이스와의 기술협력을 통해 2026년 상용화 목표로 수소추진 방식을 적용한 장거리 드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1월 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으로 8시간 연속비행 테스트에 성공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③ 재무구조 개선 가속화
2024년 3월 발표된 한국IR협의회 보고서에 따르면 부채비율을 189%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으며, 2025년 말까지 150% 대로 추가 감축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베셀에어로스페이스 상장 시 신뢰도 제고 효과를 노리고 있습니다.
2. 디티앤씨
2-1. 디티앤씨가 드론택시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
① 군사·민수용 드론 방어 시스템 기술 보유
영국 BSS(Blighter Surveillance Systems)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대공 탐지 레이더 및 AUDS(Anti-UAV Defense System)를 독점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LIG넥스원과 협력해 미국 최대 드론 기업과 78조원 규모 군용 시장 공략에 나선 점이 증권사 리포트에서 강조되었습니다.
② 항공우주 분야 시험인증 선도
전자파 시험인증 분야 20년 차 노하우를 바탕으로 항공기 부품 신뢰성 평가를 수행 중입니다. 2023년 서울 ADEX 전시회에서 공군 관계자가 "다목적 드론의 전술적 가치가 극대화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으며, 해당 행사에 참여한 업체로 기술력을 입증받았습니다.
③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인프라 구축 참여
2025년 상반기 환경시험 전담센터를 완공하며 드론택시 배터리 성능 검증 사업에 진출할 예정입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과 공동으로 전기추진 시스템 안전성 평가 표준을 개발 중인 것으로 최근 기사에서 확인되었습니다.
2-2. 디티앤씨의 3대 경쟁력
① 종합 시험인증 플랫폼
ICT(50%), 자동차 전장(19%), 의료기기(12%) 분야에서 원스톱 서비스 제공. 2024년 3분기 기준 누적 시험 건수 12,347건으로 업계 1위를 기록했습니다.
② CRO사업 역량 강화
자회사 디티앤씨알오를 통해 바이오 시험 분야 매출을 2023년 327억원에서 2024년 502억원으로 53.6% 성장시켰습니다. 미국 FDA 기준 GLP 인증 획득으로 글로벌 제약사 수주가 증가 중입니다.
③ R&D 투자 확대
매출의 7.2%를 연구개발에 투자(2024년 기준). AI 기반 스마트 랩 프로그램으로 시험 시간을 80% 단축했으며, 해당 기술로 2024년 한국산업기술대상에서 금상을 수상했습니다.
2-3. 2025년 주요 사업 계획
① 드론택시 충전 인프라 구축
2025년 2분기 내 전국 5개소에 실증단지 조성 예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협업으로 무선충전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② 해외 시장 다각화
미국 FCC 인증을 활용해 북미 시장 진출 가속화. 2025년 1월 프랑스 패럿사와 유럽 시장 공동 진출 MOU를 체결한 상태입니다.
③ 수익성 개선 프로젝트
적자 사업부문 구조조정을 통해 2025년 영업이익률 8% 달성 목표. 2024년 4분기 자회사 디티앤인베스트먼트 매각으로 120억원의 현금 유입이 예상됩니다.
3.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1.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가 드론택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구체적 이유
① 글로벌 UAM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협력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미국 스타트업 오버에어(Overair)와 공동 개발 중인 '버터플라이(Butterfly)' eVTOL은 최대 시속 320km, 항속거리 100km 이상의 성능을 갖췄습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저소음·고효율 틸트로터 기술을 적용해 2025년 시범비행을 앞두고 있으며, 이는 국내 드론택시 개발 현황 중 가장 구체화된 사례입니다.
② 정부 주도 UAM 프로젝트 핵심 참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UAM 팀 코리아'의 주력 멤버로 활동 중입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의하면 도심 항공교통 인프라 구축, 항법시스템 개발 등 총 7개 분야에서 기술 기여를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추진시스템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③ 군사용 드론 기술의 민수 전환 가능성
한화그룹의 방위산업 노하우가 집약된 중고도 무인기(MUAV) 개발 경험이 eVTOL 사업에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군용으로 축적된 항체계 통합 기술을 민간 항공기에 적용해 개발 기간 단축 및 안정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3-2.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사업 특징 3가지 분석
① 방산 수출 주력 기업의 이중성
2024년 폴란드에 K9 자주포 62문, 천무 다연장로켓 54기 수출로 2조 3,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기준), 이는 전체 매출의 25%를 차지합니다. 다만 최근 3.6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 결정으로 단기 주가 변동성이 커진 상황입니다.
② 항공우주 분야 R&D 집중 투자
2024년 기준 연구개발비는 2,0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으며, 위성발사체 개발에 5,2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추가 편성했습니다. 특히 수소연료전지 기반 추진시스템 개발에 미국 NASA와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라는 점이 기술사업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 전략
영국 CAA(민간항공청)와 BVLOS(시야 밖 비행) 규제 개선을 위한 MOU 체결(2025년 1월), 두바이 항만공사와 스마트 물류용 드론 개발 협약(2025년 3월) 등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3-3. 2025년 대표적 사업계획 및 전망
① 유상증자를 통한 해외 생산기지 확충
3.6조 원 규모의 자금 중 1.2조 원을 유럽·중동 현지공장 건설에 투입할 계획입니다. 특히 폴란드 현지 매출의 70%를 재투자해 동유럽 방산시장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전략이 증권사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② 2025년 UAM 상용화 로드맵 실행
내년 상반기 중 버터플라이 프로토타입 시제품 공개를 예고했으며, 2026년까지 FAA(미 연방항공청) 형식증명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항공당국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면 국내 최초로 도심 드론택시 실증사업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③ 규제 개선을 선점하는 사업 모델
영국 정부의 '미래비행 혁신 프로그램'에 참여해 2025~2026년 1,650억 원 규모의 드론 항행관리시스템(UTM) 개발 프로젝트를 주도합니다. 이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항공법 개정 시장선점 효과를 노리고 있습니다.
4. 한국항공우주
4-1. 한국항공우주(047810)가 드론택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군사용 드론 개발 역량 확보
한국항공우주는 정찰용, 전투형 드론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 공개된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스마트 드론 플랫폼 구축을 통해 유무인 복합 운영체계를 완성 중이며, 이는 차세대 전투 드론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상반기 중동 시장 진출을 위한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②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술 선점
2025년 드론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정부의 K-UAM 로드맵에 참여 중입니다. 한국항공우주는 K-드론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공 관제 기술을 내재화했으며, 최근 서울 여의도 상공에서 진행된 유인 드론택시 실증 실험에 기술 협력사로 참여한 바 있습니다. 이는 향후 UAM 시장에서의 사업 확장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③ 글로벌 드론 수출 기반 확대
말레이시아 FA-50M 경공격기 18대 수출 계약(1조3,000억 원 규모)을 체결하며 드론 관련 기술 해외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습니다. 2026년까지 인도 예정인 이 사업은 드론 시스템 통합 능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향후 추가 수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4-2. 한국항공우주의 핵심 사업 특징
① 항공우주 분야 종합 솔루션 제공
방산(68.91%), 민수 사업(18.66%)을 아우르는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매출액 9,960억 원(YoY +34.6%)을 기록하며, FA-50GF 전투기 수출이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방위사업청과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것이 강점입니다.
② 고부가가치 부품 생산 역량
항공기 동체 부품 및 위성 발사체 부문에서 기술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2025년 예상 영업이익률은 8.6%로, 동종업계 평균(5~7%)을 상회합니다. 최근 폴란드 수출 물량의 원가 효율화로 마진 개선 효과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증권사 리포트를 통해 제기된 바 있습니다.
③ R&D 투자를 통한 기술 선도
인공지능(AI) 기반 무인기 개발에 매년 매출의 7% 이상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2025년 CES에서 공개 예정인 AI 파일럿 시스템은 자율비행 알고리즘 혁신을 통해 드론택시 상용화 시대를 앞당길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4-3. 2025~2026년 주요 사업 계획
① KF-21 전투기 양산 본격화
2026년부터 시작되는 KF-21 블록1 초도 양산(40대)으로 연간 1조 원 이상의 매출이 예상됩니다. 현재 말레이시아, 이집트를 포함한 5개국과 수출 협상을 진행 중이며, 이 중 2개국과 연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② UAM 인프라 구축 참여
서울시와 협력해 2025년 상반기 중으로 버티포트(eVTOL 이착륙장) 시범 구축을 추진합니다. 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 개발한 틸트로팅 기술을 적용해 도심 내 안전한 드론 운항 시스템을 구현한다는 계획입니다.
③ 중동 시장 공략 강화
사우디아라비아와 군용 드론 공동 개발 MOU를 체결했으며, 2026년까지 현지 생산라인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특히 UAE와의 LAH 소형무장헬기 수출 협상이 순항 중이라는 소식이 업계 관계자를 통해 전해졌습니다.
5. 에이럭스
5-1. 에이럭스가 드론택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핵심 이유
① 글로벌 드론 시장 대체 수요 선점
미국 정부의 중국산 드론 규제 강화로 인해 북미 시장에서 에이럭스의 경량 드론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신한투자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에이럭스는 경쟁사 대비 90% 가벼운 무게와 자체 개발한 비행통제장치(FC) 기술로 중국 드론의 대체 공급처로 부상했습니다. 특히 2023년 4분기부터 로보링크를 통해 북미 수출을 확대하며 2029년까지 연간 2,000만 달러 수출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②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확보
에이럭스는 교육용 드론을 기반으로 홈시큐리티, 엔터테인먼트, 방산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미국 대형 보안 기업과 협력해 CCTV 대체용 홈시큐리티 드론을 개발 중이며, 방산 시장 진입을 위한 국내 업체와의 협력도 진행 중입니다.
③ 정부 정책과의 시너지
중국의 '저공 경제' 정책 가속화에 발맞춰 eVTOL(전기수직이착륙기)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부국증권 리포트는 에이럭스가 2025년 예상 매출액 632억원(+14.8% YoY), 영업이익 64억원(+111.3%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며, 정책 지원 효과를 강조했습니다.
5-2. 에이럭스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핵심 부품 자체 개발
에이럭스는 드론의 뇌에 해당하는 FC를 독자적으로 개발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2024년 11월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이치헌 대표는 "DJI 대비 우수한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고 언급하며, FC 내재화로 마진율 개선을 이뤄냈습니다.
② 에듀테크 시장 선점
초등 교육용 코딩 드론 시장에서 15만 대 이상 누적 판매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원을 구축했습니다. 2025년 1월 한국경제 기사에 따르면, 교육용 드론 매출이 전체의 24.6%를 차지하며 성장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③ 국내 드론 생태계 구축
2025년 1월 해양드론기술과 MOU를 체결해 국산 부품 조달 및 생산 협력 체계를 강화했습니다. 이는 미중 갈등 장기화에 대비한 공급망 다각화 전략으로 평가받습니다.
5-3. 향후 사업 계획 및 성장 전략
① 북미 시장 공략 가속화
2024년 11월 언론보도에 따르면, 에이럭스는 북미 현지 조인트 벤처 설립을 준비 중이며, 홈시큐리티 분야 신제품 출시를 통해 2029년까지 해당 시장에서 2,000만 달러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② 방산 드론 시장 진출
부국증권 2025년 3월 리포트는 에이럭스가 국내 방산 업체와 협력해 저가형 드론을 공급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이는 방산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 신규 수익원을 창출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③ M&A를 통한 시너지 극대화
공모 자금 152.2억 원을 활용해 드론 사업부문의 기술력 강화와 해외 시장 확장을 위한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입니다. 2025년 3월 증권리포트는 이를 통해 매출과 이익의 동반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6. 기산텔레콤
6-1. 기산텔레콤이 드론택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핵심 이유
① 국내 유일 항공항행안전시스템 개발 역량
자회사 모피언스는 국내 최초로 항공기 이착륙을 지원하는 초단파 전방향 무선표지(DVOR)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무인항공기의 안전한 비행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중국 드론택시 상용화 사례에서도 유사 시스템이 적용되었습니다.
② UAM(도심항공교통) 인프라 사업 연계성
모피언스는 정부의 UAM 연구개발 지원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력이 있습니다. 항공기 통신장비 공급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도심 드론택시 운항 체계 구축 시 기술 협력 가능성이 높습니다.
③ 글로벌 항공장비 수출 실적
인도, 동남아 등 15개국에 항공항행안전장비를 수출 중이며, 2024년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법인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해외 드론택시 시장 성장 시 선제적 진입이 기대됩니다.
6-2. 기업의 3대 사업 특징
① 통신·방위·항공 3각 사업 구조
2024년 반기 기준 통신(35.4%), 방위(49.7%), 항공(14.9%) 부문으로 매출이 분산되어 있습니다. 특히 방위산업 자회사 현대제이콤은 군용 드론 통신장비를 공급하며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했습니다.
② 5G 기술 기반 사업 확장
5G 멀티밴드 DAS(분산안테나시스템) 개발로 일본 통신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이동통신중계기 매출이 전년 대비 37% 증가하며 2024년 934억 원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③ 수직 계열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
모피언스(항공), 현대제이콤(방위), TUBEK(통신) 등 5개 계열사를 통해 기술 협업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항공·방위 분야 R&D 성과를 통신장비에 접목하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6-3. 2025년 주요 사업 계획
① 일본 5G 중계기 시장 공략
고출력 ICS 리피터 개발을 완료하고 2025년 상반기 일본 현지 시험 운영을 시작합니다. 니혼TV와의 협력을 통해 도쿄·오사카 지하철 내 통신망 구축 사업을 수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② eVTOL 통신솔루션 개발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용 초저지연 데이터 전송 모듈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으로 항공기-지상관제소 간 실시간 통신 시스템 검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③ 동남아 항공인프라 시장 진출
베트남 신공항 건설 프로젝트에 DVOR 장비 공급을 협의 중이며, 2025년 말까지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에 현지 법인을 설립할 계획입니다. 항공장비 해외 매출 비중을 현재 21%에서 35%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유럽 재무장 방위산업 관련주 6종목
유럽 재무장 방위산업 관련주는 주식시장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에 대한 미국의 중재와 관련하여 유럽 EU 국가들이 종전 이후의 지정학적 상황에 따라 위기의식에 따른 모멘텀이 방위산업
intap365.com
현대차 2028년까지 SDV 세계 1등 관련주 5종목
현대차 SDV관련주는 현대자동차 그룹이 2028년까지 소프트웨어중심차량 SDV 분야에서 글로벌 1위로 올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SDV노하우를 가지고 로봇과 미래항공모빌리티 AAM 성능도 끌어올릴
intap365.com
트럼프 전투기 경쟁 방위산업 관련주 6종목
방위산업 관련주는 미국이 차세대 전투기 사업자로 보잉을 선정하고 이름을 'F-47'로 명명했다는 기사가 나왔는데, 그동안 미국에서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차세대 전투기 사업에 대한 회의
intap365.com
'오늘의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온 로봇 관련주 5종목 성장세 주목 (0) | 2025.04.03 |
---|---|
화장품 관련주 26억 달러 수출 신기록 (0) | 2025.04.03 |
중국 선박 수수료 폭탄, 반사이익 조선 관련주 6종목 (2) | 2025.04.02 |
트럼프 발언에 상승한 남북경협 관련주 5종목 (0) | 2025.04.02 |
美시장 1위 화장품 관련주 6종목 투자 포인트 (3) | 2025.04.01 |
틱톡 매각 광고 관련주 5종목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