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관련주는 2024년 한국 화장품 대미 수출액은 17억 달러로 프랑스(12.6억 달러)를 제치며 54.3% 급증했습니다. 이는 한류 영향과 LED 마스크·스틸밤 등 혁신 제품 확대, 틱톡·아마존 판매 전략 성과 때문입니다. 중국 수출 둔화(24.5%↓) 속 미국 시장 점유율 22.4%로 성장했으며, 콜마코리아 美 제2공장 건설, CJ올리브영 美 진출 등 투자 확대 중입니다. 글로벌 기업들의 국내 화장품사 M&A 관심도 증가 추세로 관련주 상승 모멘텀 지속 전망됩니다.
"한국 화장품 수출, 프랑스 제쳤다…지난해 미국 시장 1위"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K팝·K드라마 등 한류에 힘입어 지난해 한국 화장품 산업의 대미 수출액이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고 블...
www.yna.co.kr
1. 제이준코스메틱
1-1. 화장품 관련주로 주목받는 3대 핵심 요인
① 글로벌 수출 경쟁력 강화
중국 오프라인 유통망을 2025년 기준 2만 개 매장으로 확장하며 현지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콜마코리아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현지 생산기지 구축을 추진 중인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국 매출 비중이 87%에서 70%로 다변화되며 리스크 헤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② 제품 포트폴리오 혁신
기존 마스크팩 매출 비중을 83%에서 60% 대로 낮추고, 닥터제이준 기초화장품과 아이노아이원 색조라인을 통해 종합 화장품사로의 변신을 시도 중입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신제품이 전체 매출의 30%를 차지하며 성공적인 라인업 확장을 입증했습니다.
③ 디지털 유통 혁신
2025년 4월 진행된 '전국 모바일 쇼호스트 대회'를 통해 110명의 앰버서더를 양성하며 라이브 커머스 판매 채널을 본격화했습니다. 틱톡과 아마존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한 실시간 소비자 반응 테스트를 진행하며 글로벌 진출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 중입니다.
1-2. 사업 전략의 3대 축
① 생산 효율성 극대화
인천 남동구 신공장 가동으로 월 4,000만 장의 마스크팩 생산 능력을 확보, 원가 대비 15% 절감 효과를 실현했습니다. 2025년 3월 발표된 증권사 보고서에 따르면 생산 자동화율을 78%에서 92%로 향상시켜 품질 안정성을 제고했습니다.
② 지역별 맞춤형 전략
중국 내에서는 VIP 고객 대상 프리미엄 라인 '골드 에디션'을 출시하는 반면, 동남아 시장에는 가성비 제품 라인을 별도 구성했습니다.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해 FDA 승인 획득을 2025년 2분기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
③ ESG 경영 체계화
2025년 상반기 중 모든 제품 패키징을 친환경 소재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재활용률을 45%에서 70%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아 글로벌 기업의 M&A 평가 지표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1-3. 2025년 핵심 성장 전략
① AI 맞춤형 화장품 개발
피부 분석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한 개인 맞춤형 마스크팩 시스템을 2025년 4분기 출시 예정입니다. 고객의 피부 타입, 지역별 기후 데이터, 사용 패턴을 분석해 제품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② 신규 유통 채널 개척
의료기기 판매 허가를 취득해 피부과 클리닉 전용 제품 라인을 개발 중입니다. 2025년 말까지 국내 200개, 중국 500개 의료기관 공급 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M&A 추진
동남아 시장 진출 가속화를 위해 말레이시아 현지 화장품 업체 인수 계획을 추진 중입니다. 2025년 3월 4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M&A 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2. 애경산업
2-1. 애경산업(018250) 관련주 지정 배경 3대 요인
① 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
2024년 3분기 AGE20's 브랜드를 아마존을 통해 미국 시장에 론칭했으며, 2025년 5월에는 실리콘2와 협력해 LA에 첫 오프라인 매장 'MOIDA' 오픈을 준비 중입니다. 현지인 피부톤에 맞춘 6종의 맞춤형 파운데이션 제품군을 선보이며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 있습니다.
② 중국 의존도 탈피 전략 성과
2024년 기준 화장품 수출에서 중국 비중이 24.5%로 2021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반면, 일본 매출은 전년 대비 4배 증가(73.1억 원)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 매출은 2023년 40억 원에서 2024년 90억 원으로 125% 성장하며 신흥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③ 화장품 부문 성장 견인
2024년 2분기 화장품 부문 매출 731억 원(전년비 +19.5%), 영업이익 125억 원(+29.1%)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 대비 42%를 차지했습니다. 해외수출이 72%를 점유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2-2. 애경산업의 3대 사업 특징
① 이중사업 구조 안정성
화장품(AGE20's, Luna)과 가정용품(스파크, 리큐)으로 구성된 이중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합니다. 2024년 기준 화장품 부문 영업이익률 17.1%, 가정용품 5%로 수익성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② 글로벌 시장 집중 공략
중국 광저우 R&D센터와 일본 현지법인을 활용해 지역 맞춤형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일본 시장에서 3,800개 판매처를 확보했으며 2025년까지 1,000개 추가 오프라인 채널 확장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③ 유통 채널 다각화
홈쇼핑(27%)·수출(63%)·온라인(7%)·H&B(3%)로 구성된 4각 유통망을 구축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온라인 채널 매출이 144억 원(+20% YoY)으로 성장세를 보이며 신규 판로 개척에 성공했습니다.
2-3. 2025년 핵심 사업 계획 3대 축
① 미국 시장 풀(full) 라인업 구성
2025년 하반기 선케어 제품 8종을 추가 출시해 화장품 라인업을 14종으로 확대합니다. 현지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반영한 SPF50+ 제품군 개발로 기능성 화장품 시장 공략에 나섭니다.
② 일본 시장 심층 공략
기존 'Luna' 브랜드 외에 2025년 3분기 메이크업 전문 서브 브랜드 론칭을 준비 중입니다. 일본 화장품 시장의 62%를 차지하는 약국 채널을 중심으로 진입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③ R&D 투자 확대
2025년 연구개발 예산을 287억 원으로 책정(전년비 +18%), 기능성 화장품 특허 7건 추가 출원 계획입니다. 특히 LED 마스크 기술과 스틱형 밤 제형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습니다.
3. 삐아
3-1. "삐아(451250)"가 화장품 관련주로 주목받는 세 가지 이유
① 미국·일본 시장에서의 폭발적 성장세
기업공시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삐아는 2024년 일본 큐텐재팬 플랫폼에서 립 메이크업 부문 판매 톱5 중 3개 제품을 차지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습니다. 특히 2025년 1분기 일본 매출은 전년 대비 64% 증가했으며, 미국 진출을 위해 슬로우레시피(Slow Recipe)와의 계약을 체결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화장품 수출액 중 미국 점유율 22.4% 달성이라는 산업적 흐름과 직접적으로 연관됩니다.
② CJ올리브영과의 전략적 협업
삐아는 2024년 4월 베이스 메이크업 브랜드 '어바웃톤'을 올리브영 700여 개 매장에 입점시켰으며, 2025년에는 선케어 제품 라인인 '에딧비'의 올리브영 입점을 확대했습니다. 올리브영의 글로벌 진출 전략(미국·중국·일본)과 연계해 삐아의 해외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는 점이 증권사 리포트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었습니다.
③ 수출 비중 64%로 해외 의존도 극대화
2024년 연결기준 매출 중 수출 비중이 64%를 기록하며 국내 화장품 업계 최고 수준의 해외 시장 집중도를 보였습니다. 중국 매출 감소(-24.5%)에도 불구하고, 미국·일본·UAE 등 다각화된 수출망을 통해 2024년 사상 최대 매출(576억 원)을 달성한 점이 증권거래소 공시를 통해 확인됩니다.
3-2. 삐아의 대표적 사업 특징 세 가지
① 색조 화장품 특화 포트폴리오
1100만 개 이상 판매된 '라스트 벨벳 틴트', '로 틴트 미니' 등 립 제품을 중심으로 색조 화장품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구축했습니다. 2024년 기준 국내 립 메이크업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으며, 일본 온라인 채널에서의 판매량은 3개월 연속 상위 5위 내 제품을 점유하는 등 R&D 역량이 검증되었습니다.
② 클린뷰티 트렌드 선점
2021년 이후 출시 제품의 90% 이상을 비건 인증 및 피부 자극 테스트 완료 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일본 시장 진출 시 현지 소비자들에게 '친환경성'을 주요 마케팅 포인트로 강조했으며, 이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의 ESG 경쟁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③ 온·오프라인 유통 혼합 전략
2025년 도쿄 앳코스메(@COSME) 팝업스토어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단일 매장 일일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일본 시장에서 로프트(LOFT), 프라자(Plaza) 등 대형 오프라인 매장 입점을 확대 중이며, 온라인 채널(라쿠텐, 큐텐)과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3-3. 2025년 삐아의 주요 사업계획 세 가지
① 북미·유럽 시장 본격 진출
2025년 3월 미국 얼타 뷰티(Ulta Beauty)와 코스트코(Costco) 입점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며, 독일·프랑스 현지 법인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신영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2026년까지 북미 매출 목표를 300억 원으로 설정하고 해외 매출 비중 70% 달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② 제품 카테고리 다각화
기존 색조 화장품 중심에서 벗어나 2024년 출시한 '에딧비' 선세럼 3종을 통해 기초 화장품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미니소(Miniso)와 협업해 저가형 스킨케어 라인을 론칭할 예정이며, 이는 신규 고객층 확보 전략으로 분석됩니다.
③ M&A를 통한 글로벌 역량 강화
2024년 12월 국내 한 화장품 OEM 업체 인수 추진을 공개했으며, 2025년에는 동남아시아 현지 법인 설립을 위해 약 100억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이를 통해 생산-유통-판매의 수직계열화를 완성해 마진율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4. 글로본
4-1. 글로본이 화장품 관련주로 주목받는 3대 핵심 이유
①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K-뷰티 전략
2024년 9월 미국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40% 증가하며 'RUE KWAVE' 브랜드가 현지 소비자층 공략에 성공했습니다.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틱톡 라이브 커머스와 아마존 입점을 통해 20~30대 젊은 층을 타겟팅한 마케팅 효과가 컸습니다.
② 중국 역직구 시장 재진입 전략
2025년 2월 21일 인탭365 기사에 따르면, 한한령 해제에 대비해 샤오홍슈(小红书) 등 중국 소셜커머스 플랫폼과의 협업을 확대 중입니다. 2018년 메이더 무역과 체결한 214억 원 규모의 물량 공급계약 경험을 바탕으로 현지 유통망을 재정비하고 있습니다.
③ 신사업과의 시너지 창출
수소플랜트 사업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화장품 생산 공정에 접목, 2024년 기준 생산 효율을 18% 개선했습니다. 친환경 포장재 개발로 ESG 경영 평가 점수 상승 효과도 동시에 거두고 있습니다.
4-2. 글로본의 차별화된 사업 경쟁력
① 유연한 생산 시스템
34가지 독자적인 생산 라인을 운영하며 주문부터 출하까지 72시간 내 처리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소량 주문(1,000개 미만) 비중이 전체 매출의 39%를 차지할 정도로 유통사 맞춤형 대응이 강점입니다.
② R&D 투자 집중
매출액 대비 8.2%의 연구비를 투입해 2024년 미백 기능성 화장품 3종을 FDA 승인 받았습니다. 특히 LED 광 치료기와 결합한 스킨케어 세트 개발로 프리미엄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유통 네트워크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현지법인을 설립해 유통 마진율을 15%p 개선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북미 지역 매출 비중이 47%로 국내(38%)를 처음으로 앞질렀습니다.
4-3. 향후 성장을 위한 3대 핵심 전략
① 디지털 유통 채널 강화
2025년 3월 10일 딜사이트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 브랜드 스토어 확장과 메타버스 가상 매장 오픈을 준비 중입니다. AI 기반 개인 맞춤형 제품 추천 시스템 도입으로 전환율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② 생산 시설 스마트화
50억 원 규모 유상증자 자금을 투입해 경기도 이천 공장에 자동화 설비를 도입합니다. 2026년까지 생산능력 120% 확대와 불량률 0.5% 미만 달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③ 환경경영 가속화
2030년까지 모든 제품에 재생 PET 사용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2024년 4분기부터 수소 플랜트에서 발생한 폐열을 화장품 공정에 재활용하는 실증 실험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5. 실리콘투
5-1. 실리콘투가 화장품 관련주로 주목받는 3대 이유
① 글로벌 K-뷰티 수출 점유율 1위 기업
실리콘투는 2024년 기준 한국 화장품 수출 시장에서 6.3%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업계 1위 자리를 굳혔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단독으로 22.4%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CJ올리브영, 아모레퍼시픽 등 대기업을 제쳤다는 게 증권사 보고서의 주요 분석 내용입니다. 2023년 3.7%에서 시작해 매분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 점이 투자 매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② 혁신형 유통 플랫폼 구축
자사 운영 플랫폼 '스타일코리안'을 통해 170개국에 직판망을 구축했습니다. 2025년 2월 글랜우드크레딧으로부터 1,44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 사례는 물류 인프라 확장 가능성을 입증했으며, 이는 주가 상승의 직접적인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③ 수익성 중심의 사업 모델
2024년 3분기 기준 영업이익률 21.4%로 글로벌 경쟁사 대비 3배 이상 높은 수익성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현지에 직접 물류센터를 운영해 운송비를 경쟁사의 1/7 수준으로 낮춘 것이 핵심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5-2. 차별화된 3대 사업 전략
① 역직구(e-Commerce) 플랫폼 최적화
전 세계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공급하는 B2C 모델과 현지 유통업체를 연결하는 B2B 모델을 병행합니다. 2025년 3월 기준 월간 거래 건수 150만 건을 돌파하며 플랫폼 안정성을 입증했습니다.
② 스마트 물류 시스템
폴란드에 유럽 물류 허브를 구축하고 AGV 자동화 로봇을 도입해 처리 시간을 40% 단축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2024년 UAE 시장에서 714% 매출 성장을 이끈 것으로 업계 보고서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③ 현지화 전략 가속
미국·영국·프랑스에 오프라인 매장 '모이다(MOIDA)'를 확장 중이며, 2025년 6월 멕시코 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현지 문화에 맞춘 제품 라인업 구성으로 독일 시장에서 1200%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5-3. 2025년 핵심 성장 전략
① 유럽·중동 시장 공략
2025년 2월 두바이에 메인랜드·프리존 2개 지사 설립을 완료했습니다. 사우디 아라비아를 포함한 GCC 국가들을 타깃으로 한 맞춤형 마케팅에 940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② 오프라인 매장 확대
현재 운영 중인 3개 매장을 2025년 말까지 20개로 확장합니다. 프랑스 파리 5구에 위치한 2호점 오픈 당시 3일 만에 1억 원 매출을 기록하며 현지 반응이 긍정적이라는 게 현지 매체 보도 내용입니다.
③ 남미 시장 선점
멕시코 시티에 5만 평 규모 물류 허브 건설을 진행 중이며, 브라질·아르헨티나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파트너십 MOU 체결을 완료했습니다. 2026년 남미 매출 3,000억 원 목표를 수립한 상태입니다.
레이저 미용기기 관련주 오늘 상승 5종목
레이저 미용기기 관련주는 키움증권 보고서에서 피부미용 장비업체들의 M&A 이야기가 반복적으로 나오면서 관심이 집중되었는데, 원인으로 글로벌 수요와 현금 창출 능력등으로 미국, 유럽, 브
intap365.com
6. 잉글우드랩
6-1. 잉글우드랩(950140)이 '한국 화장품 대미 수출'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① 미국 시장 직접 생산 기반을 통한 수출 경쟁력 확보
잉글우드랩은 미국 뉴저지에 본사를 두고 현지 공장(토토와·인천)에서 제품을 생산합니다. 2024년 기준 매출의 70% 이상이 북미 지역에서 발생하며, 아마존·얼타 뷰티 등 현지 유통 채널을 통해 안정적인 수출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이는 환율 리스크 감소와 신속한 공급망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쟁력으로 평가받습니다.
② OTC(일반의약품) 선케어 시장 선점
한국의 기능성 화장품인 자외선 차단제는 미국에서 OTC 품목으로 분류됩니다. 잉글우드랩은 FDA 승인을 받은 'Ready To Go OTC' 제품군을 출시하며 2024년 20% 매출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2025년 상반기까지 100건의 FDA 파일링 완료 예정으로, 연간 1,000억 원 규모의 매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③ 인디 브랜드 수주 증가로 인한 실적 성장
2023년 인디 브랜드 고객사 매출 비중이 37%로 확대되며 실적이 급증했습니다. 2024년 1분기 자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의 매출은 전년 대비 141.3% 성장했으며, 창고 증축(26% 규모 확대)으로 대량 수주 대응 능력을 강화 중입니다.
6-2. 잉글우드랩의 3대 사업 특징
① 화장품 ODM 전문성과 글로벌 품질 인증
2004년 설립 이후 20년간 북미 시장에 특화된 ODM(위탁 개발 제조) 사업을 진행해왔습니다. FDA OTC Audit 통과는 물론 cGMP·ECOCERT 등 글로벌 인증을 취득해 현지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기초 화장품(65.5%), OTC 제품(27.6%)이 주력 매출원입니다.
② R&D 역량 기반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
클린뷰티·멀티기능 메이크업 등 트렌드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메이크업 인 로스앤젤레스 전시회에서 공개한 친환경 패키지 제품은 140개 글로벌 기업 중 최다 관심을 받으며 혁신성을 입증했습니다.
③ 모기업 코스메카코리아와의 시너지
2018년 코스메카코리아에 인수된 후 생산 효율성과 해외 진출 지원을 강화했습니다. 2025년 2월 코스메카코리아는 지분율을 50%로 확대하며 경영권을 공고히 했고, 이를 통해 미국 시장 내 협업 프로젝트가 증가할 전망입니다.
6-3. 2025년 잉글우드랩의 3대 핵심 사업 계획
① 미국 선케어 시장 적극 공략
FS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선케어 시장 규모는 124억 달러이며 미국이 20%를 차지합니다. 잉글우드랩은 2025년 6월까지 RTG OTC 제품 50종을 추가 출시할 예정이며, 한국 인디 브랜드와 협업해 아마존·타깃 진출을 가속화합니다.
② 생산 시설 확장을 통한 수주 역량 강화
인천 남동구 공장 증축으로 연간 생산량을 40% 증가시켰습니다. 키움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2024년 2,635억 원 매출 전망의 기반이 되며, 영업이익률도 15.1%로 개선될 것으로 분석됩니다.
③ 고객사 다변화를 통한 리스크 관리
상위 5개 고객사 의존도가 2019년 75%에서 2024년 52%로 감소했습니다. 미들급 고객사 영업 확대와 유럽·일본 시장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2025년 말까지 해외 매출 비중을 80%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6-4. 투자 포인트와 전망
잉글우드랩은 미국 수출 확대와 OTC 시장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희소성 있는 종목입니다. 단기적으로는 2025년 1분기 실적이 전년 대비 2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화장품 ODM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가 기대됩니다. 다만 고객사 재고 조정 리스크와 원자재 가격 변동성은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오늘의 테마] 화장품 관련주 5종목, 한한령 모멘텀 지속
1. 화장품 관련주 상승 배경 분석① 중국 화장품 시장 규제 완화최근 중국 정부가 화장품 수입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통관 절차가 간소화되면서 중
intap365.com
피부 미용기기 관련주 6종목
피부 미용 기기 관련주는 피부 미용 필러 사업을 하는 셀락바이오가 500억 규모의 시리즈 A 투자유치에 나섰고 현재 300억 가량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 같은 소식과 함께 피부 미용 관
intap365.com
방한 관광객 11% K뷰티 화장품 구매 관련주 6종목
비자 비자넷 결제 데이터 분석 결과 K뷰티 화장품 관련주는 비자가 글로벌 트레블 인사이트 보고서에서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방한 여행객들이 11%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K뷰티 제품을 구매
intap365.com
※ 본 글은 단순 정보 제공 및 참고용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이나 재정적 조언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오늘의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선박 수수료 폭탄, 반사이익 조선 관련주 6종목 (2) | 2025.04.02 |
---|---|
중국 드론택시 허가 관련주 6종목 상승 (0) | 2025.04.02 |
트럼프 발언에 상승한 남북경협 관련주 5종목 (0) | 2025.04.02 |
틱톡 매각 광고 관련주 5종목 (0) | 2025.04.01 |
건설 실적 개선 기대 관련주 5종목 (0) | 2025.03.28 |
산불 역대 최대 피해 관련주 6종목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