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워드 이슈 종목

일론 머스크 테슬라 집중 2차전지 관련주 6종목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4. 24.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

테슬라 2차전지 관련주는 일론 머스크가 정부효율부 DOGE 주요 작업을 완료하고 5월부터 테슬라에 집중한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테슬라는 올해 상반기 내에 저가차 내년에는 로보택시를 양산할 것이라고 설명함으로써 시간외 거래에서 5.39% 상승하면서 국내 2차전지 관련주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1

 

2025.04.20 - [키워드 이슈 종목] - 전기차 과충전 방지 충전기 교체 관련주 6종목

 

2025.04.21 - [키워드 이슈 관련주] - 해상풍력 특별법 가속화 관련주 5종목

 

2025.04.22 - [키워드 이슈 관련주] - 美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 관련주 5종목 사업계획

 

2025.04.24 - [키워드 이슈 종목] - 이재명 전기차 충전 인프라 관련주 5종목

 

2025.03.20 - [뉴스 종목] - SK온 배터리 관련주 5종목 | 닛산 15조원 배터리 공급

 

 

1. 엘앤에프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2

1-1. 엘앤에프가 2차전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양극재 시장의 기술 선도성

엘앤에프는 니켈 함량 90% 이상의 고에너지 밀도 양극재(NCMA)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기업입니다. 2024년 기준 전기차용 양극재 시장에서 3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4680 원통형 배터리용 고니켈 제품 개발로 테슬라 공급망 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 전략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을 위해 LS그룹과 합작법인을 설립해 전구체(전구체) 12만 톤 규모의 생산시설을 2025년까지 구축 중입니다. 이는 원재료 가격 변동 리스크를 줄이고 수직계열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LFP 양극재 사업 본격화

2026년을 목표로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양산을 준비 중이며, 미국 현지 생산을 통해 IRA 규제를 우회할 계획입니다. LFP는 중저가 전기차 및 ESS 시장에서 수요가 급증할 전망으로, 엘앤에프의 신성장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2. 엘앤에프의 3대 사업 특징

기술 혁신 중심의 R&D

단결정 구조 양극재 개발로 배터리 수명을 20% 이상 연장시켰으며, 2025년 상반기 중 니켈 함량 95% 제품 양산을 목표로 합니다. 삼성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술은 고출력 배터리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선점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객사 협업 강화

LG에너지솔루션과 2027년까지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테슬라의 4680 배터리 양산에 대비한 맞춤형 양극재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20243분기 실적 발표에서 북미 시장 매출 비중이 22%에서 202760%로 확대될 계획임을 공개했습니다.

수직계열화를 통한 원가 효율화

자회사 JH케미칼을 통해 전구체 생산 역량을 확보했으며, LS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황산니켈 조달부터 양극재 생산까지의 밸류체인을 통합하고 있습니다. 202410월 대구일보 보도에 따르면, 원재료 사급 비중을 65%에서 202793%로 확대해 수익성 안정화를 꾀할 예정입니다.

1-3. 향후 3대 핵심 사업계획

하이니켈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

20251분기 중 2170 원통형 배터리용 니켈 95% 제품 출하를 시작하며, 유럽 전기차 메이커를 대상으로 한 시장 공략을 가속화합니다. 키움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2026년까지 하이니켈 출하량을 2023년 대비 190%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LFP 양극재 양산 가속화

2026년을 목표로 국내 최초 Non-FEOC(해외우려기관 제외) 기준 LFP 양산을 준비 중이며,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해 미트라켐과의 합작 투자를 검토 중입니다. 20252월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류승헌 CFO"LFP 사업으로 2027년 매출의 25%를 차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생산 거점 확장

폴란드 현지 협력업체와의 협상을 통해 유럽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며, 2028년까지 북미·유럽 지역 판매량을 15만 톤 이상 확대할 계획입니다. 202410Investor Day 발표에서 공개된 바에 따르면, 유럽 시장 점유율을 12%에서 21%로 끌어올릴 방침입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엘앤에프는 기술력과 전략적 제휴를 바탕으로 2차전지 양극재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전기차 수요 둔화가 리스크 요인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투자 포인트가 있습니다.

  • 기술 경쟁력: 글로벌 최초 상용화 기술을 바탕으로 한 프리미엄 제품 라인업
  • 수직계열화: 원재료 조달부터 생산까지의 통합된 밸류체인 구축
  • 시장 다각화: 하이니켈과 LFP의 이중화 전략을 통한 리스크 분산

 

2. 엔켐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3

2-1. 엔켐이 2차전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전해액 시장의 글로벌 경쟁력

엔켐은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전해액 분야에서 국내 1, 글로벌 4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전해액 생산량은 연간 80만 톤에 달하며, 2026년까지 160만 톤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주요 시장에 생산 거점을 확보해 글로벌 공급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 수혜 기대

IRA 규제로 인해 중국산 전해액 의존도가 높은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은 대체 공급처를 모색 중입니다. 엔켐은 북미 시장에서 유일한 전해액 벤더로 부상하며, 테슬라·SK·포드 등과의 협력을 통해 수혜를 누릴 전망입니다. 2025년 북미 매출 목표는 36,000억 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전기차 시장 성장과의 직접적 연계성

전해액은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필수 소재로, 전기차 수요 증가와 함께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엔켐은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등 국내 주요 배터리 업체와 장기 계약을 체결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2. 엔켐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원재료 수직 계열화

리튬염·용매 등 전해액 핵심 원료를 자체 생산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특히 새만금에 리튬염 공장을 건설 중이며, 북미 현지 업체와의 합작법인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이는 IRA 대응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전략입니다.

다양한 고객 포트폴리오

국내 3대 배터리 기업(LG·SK·삼성) 외에도 테슬라·BMW·CATL 등 글로벌 완성차 및 배터리 업체에 제품을 공급합니다. 2024년 상반기에는 SK온과 포드의 합작공장인 '블루오벌'에 전해액을 납품할 예정입니다.

신사업 다각화

폐배터리 리사이클링(NMP 재활용)과 탄소나노튜브(CNT) 분산액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2023년 전고체 배터리 전문 기업 '티디엘'을 인수해 ESS 시장 공략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3. 엔켐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생산 능력 2배 확대

202480만 톤에서 2026160만 톤으로 생산량을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미국 조지아주와 테네시주, 캐나다 온타리오에 신규 공장을 건설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확보합니다.

R&D 투자 강화

고에너지밀도·저비용 전해액 개발을 위해 한국·미국·유럽에 연구소를 확장합니다. 2025년까지 R&D 예산을 1,200억 원으로 늘려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수익성 개선

20243분기 기준 영업이익률은 6.6%, 2026년까지 8.2%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원재료 내재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예정입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IRA 수혜와 글로벌 생산 역량으로 시장 선점 가능성
  • 원재료 자체화를 통한 원가 우위
  • 전고체 배터리·ESS 등 신성장동력 보유

리스크

  •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 가능성
  • 중국 기업과의 가격 경쟁
  • 확장적 투자로 인한 재무 부담

투자 포인트

단기적으로는 테슬라 로보택시 소식에 따른 테마주 수혜를, 중장기적으로는 생산량 확대와 수익성 개선을 주시해야 합니다. 2025년 예상 PER23.5배로, 업계 평균(160.94) 대비 저평가되어 있어 밸류에이션 관점에서도 매력적입니다.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4

3. 코스모신소재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5

3-1. 코스모신소재(005070)2차전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양극활물질 생산 역량 강화

코스모신소재는 전기차(EV) 및 에너지저장장치(ESS)2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양극활물질을 주력으로 생산합니다. 2024년 기준 연간 2만 톤의 생산 능력을 보유했으며, 2025년까지 10만 톤 규모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특히 고객사인 LG화학, 삼성SDI 등에 고니켈(NCM) 계열 양극재를 공급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 중입니다.

수직 계열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

울산 공장에서 양극재의 주 원료인 전구체를 자체 생산해 원재료 조달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20249월 완공된 전구체 공장은 연간 2,400톤 규모로, 모회사인 코스모화학의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과 연계해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고객사 다변화 전략

중국 JV(합작사)를 통해 현지 시장 진출을 가속화했으며, 북미 진출을 위한 협의도 진행 중입니다. 2025년 상반기 중 미국 내 생산 거점 설립을 검토하며, 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3-2. 코스모신소재의 대표적 사업 특징

고니켈 양극재 기술력 집중

2024년 말 삼성SDI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계열 양극재를 공급하며 고밀도 배터리 시장 진입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기존 LCO(리튬코발트산화물) 대비 에너지 밀도가 20% 이상 높아 전기차 주행거리 확보에 기여합니다.

MLCC 이형필름 사업의 수익성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제조에 필수적인 이형필름은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합니다. 20243분기 기능성 필름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18.4% 증가하며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연계

모회사 코스모화학과 협업해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니켈, 코발트, 리튬을 재활용해 원재료를 공급받습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리사이클링 사업은 생산 비용 절감과 ESG 경영 강화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3-3. 코스모신소재의 주요 사업계획

생산 능력 대폭 확충

2025년까지 충주 3공장 증설을 완료해 양극재 생산량을 기존 대비 5(10만 톤)로 늘릴 예정입니다. 이는 연간 2조 원 이상의 매출 창출이 가능한 규모로, 증권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6년 매출 성장률이 125.8%로 전망됩니다.

북미 시장 공략 가속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을 위해 2025년 북미 현지법인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테슬라의 저가차 양산 계획과 맞물려 현지 진출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코발트 프리(Cobalt-Free) 소재 개발

202412월 발표된 바에 따르면, NM(니켈-망간) 계열 양극재 상용화를 추진 중입니다. 코발트 의존도 감소로 원가 경쟁력을 높이고, 유럽 시장 수요에 대응할 계획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수직 계열화로 원재료 조달 리스크 최소화
  • MLCC 필름·토너 등 다각화 사업으로 수익 안정성 확보
  • 2024년 20분기 연속 흑자 기록(매일경제 기사 참조)

리스크

  • 2차전지 소재 시장의 과열 경쟁
  • 니켈·리튬 등 원자재 가격 변동성

4. 덕산테코피아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6

4-1. 덕산테코피아가 2차전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전해액 첨가제 생산 역량

덕산테코피아는 자회사 덕산일렉테라를 통해 전해액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첨가제는 배터리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소재로, 충전 속도 향상과 수명 연장에 기여합니다. 최근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덕산일렉테라는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에 공급을 확대 중이며, 2025년까지 연간 1만 톤 규모의 생산설비 증설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미국 시장 진출 가속화

덕산테코피아는 미국 테네시주에 전해액 공장을 건설 중입니다. 2025년 양산을 목표로 하는 이 프로젝트는 현지 배터리 기업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적 투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의 미국 공장 증설과 연계해 수직적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기술 확보

덕산테코피아는 2021년 세븐킹에너지를 인수하며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세븐킹에너지는 무분리막 전극일체형 전고체배터리 개발을 진행 중이며, 이는 향후 고에너지밀도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요소로 꼽힙니다. 관련 기사에 따르면 2025년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기술 검증을 마쳤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4-2. 덕산테코피아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3가지

수직계열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

덕산테코피아는 전해액과 첨가제의 원재료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수직적으로 통합했습니다. 이는 외부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고 품질 관리 효율성을 높인 전략입니다. 증권사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이 구조 덕분에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이 업계 평균보다 5%p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OLED 소재와 반도체용 프리커서 사업을 기반으로 2차전지 소재 분야까지 확장했습니다. 최근 발표된 기업실적 보고서에 의하면 2차전지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120% 증가하며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소재 분야에서의 기술력이 2차전지 사업으로의 확장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글로벌 고객사 확보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뿐만 아니라 일본 센트럴글래스와의 협력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20243분기 실적 발표에서 해외 매출 비중이 35%로 확대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4-3. 향후 사업계획 3가지와 전략적 방향

미국 공장 본격 가동

2025년 테네시주 전해액 공장 가동을 통해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입니다.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덕산테코피아 관계자는 "연간 6만 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테슬라를 비롯한 현지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 강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세븐킹에너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6년까지 전고체 배터리 양산 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관련 기사에 따르면 현재 샘플 검증 단계에 돌입했으며, 내년 하반기 양산 라인 구축에 착수할 예정입니다.

R&D 투자 확대

덕산테코피아는 최근 2차전지 소재 연구센터를 증설하고, 연간 매출의 15%R&D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고용량 실리콘 음극재와 고전압 전해액 개발에 주력해 2027년까지 관련 매출을 3,000억 원 규모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덕산테코피아는 2차전지 소재 분야에서의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진출 성과를 바탕으로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의 저가차 및 로보택시 양산 소식은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로 이어져 덕산테코피아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다만, 최근 영업이익률 하락과 부채비율 상승 등 재무적 리스크 요인도 존재합니다. 20241분기 기준 부채비율이 179%로 업계 평균을 상회하며 자본조달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투자 시에는 미국 공장 증설 진행 상황과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일정을 꼼꼼히 점검해야 할 것입니다.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7

5. 더블유씨피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8

5-1. 더블유씨피(393890)2차전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EV용 습식 분리막 시장의 선두 주자

더블유씨피는 전기차용 습식 분리막 생산에서 국내 2위의 점유율을 차지합니다. 2023SNE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습식 분리막 시장에서 29%의 생산능력을 보유하며 SK이노베이션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고강도·박막화 기술로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과 수명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삼성SDI와의 장기 공급 계약 체결

2023년 삼성SDI2027년까지 40규모의 분리막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약 3.2조원 상당의 매출을 예상하는 대규모 계약으로, 삼성SDI의 미국 인디애나 배터리 공장에 분리막을 공급하며 테슬라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과의 간접적 협력 관계를 강화했습니다.

IRA(인플레이션감축법) 대응을 위한 북미 진출

2024년 말까지 북미 현지 생산설비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IRA 법안에 따른 현지화 요건 충족을 위해 코팅 분리막 생산라인을 구축 중이며, 현지 고객사와의 협력을 통해 2025년부터 본격적인 수익 창출이 예상됩니다.

5-2. 더블유씨피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기술적 경쟁력: 광폭 생산 및 개별 연신 공정

5.5m 폭의 분리막 생산 설비를 보유해 경쟁사 대비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2배 이상 높습니다. 개별 연신 공정을 적용해 유효면적을 극대화하고 원가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20243월 유안타증권 보고서는 이 기술이 중국 기업 대비 30% 이상의 원가 우위를 제공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수직적 통합 생산 체계

원재료인 PE(폴리에틸렌)부터 코팅 분리막 생산까지 자체 공정을 통합해 품질 관리와 납기 일정을 철저히 통제합니다. 20234분기 기준 국내 원재료 조달 비중이 95%에 달해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했습니다.

고객 다변화 전략

삼성SDI 외에 LG에너지솔루션, 일본 파나소닉 등과 협력 관계를 확대 중입니다. 202410DB금융투자 리포트에 따르면,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용 분리막 테스트를 진행하며 신규 수요처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5-3. 더블유씨피의 주요 사업 계획

헝가리·북미 생산거점 확충

헝가리 니레지하저시에 연간 12규모의 공장을 건설 중이며, 2025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합니다. 북미에서는 202412월까지 생산 부지 선정을 완료하고 2026년까지 8규모의 설비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차세대 분리막 개발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고내열성 세라믹 코팅 분리막(CCS)과 전고체 배터리용 분리막 연구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248LS증권 보고서는 내열성 분리막이 46파이 배터리 시장에서 차지할 점유율을 40% 이상으로 전망했습니다.

ESG 경영 강화

폐기물 재활용률 98% 달성과 친환경 생산 공정 도입을 통해 2030년까지 탄소 중립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202410월 포스코그룹과 수산화리튬 추출용 이온교환막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친환경 기술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성장성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과 IRA 수혜 기대감으로 2025년 매출액 4,200억원(+6% YoY), 영업이익 342억원(+187% YoY) 회복이 전망됩니다. 헝가리·북미 증설 효과가 2026년부터 본격화되면 연간 생산능력 23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재무 안정성

20243분기 기준 유동비율 700%, 부채비율 8%로 우량한 재무 구조를 유지 중입니다. 현금성 자산 1,200억원을 확보해 추가 투자 재원 마련에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

삼성SDI 의존도(53%)와 중국 기업들의 가격 경쟁이 주요 위협 요소입니다. 20251분기 컨센서스 하회 실적이 예상되나, 장기적 관점에서 매수 기회로 평가하는 증권사가 다수입니다

 

6. 천보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9

6-1. 천보(278280)2차전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고성능 전해질 및 첨가제 생산의 핵심 기업

천보는 리튬이온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전해질(LiFSI, LiPOF)과 전해액 첨가제(SN, DPN)를 생산합니다. 특히 LiFSI는 고전압·고출력 배터리의 안정성과 수명을 개선하는 데 필수적이며,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4년 삼성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천보의 LiFSI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CATL,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배터리 기업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한 시장 선점

2025년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연간 3만 톤 규모의 전해질 생산라인을 구축 중입니다. 이는 기존 대비 150% 증설에 해당하며, 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하이투자증권은 202411월 보고서에서 "신공장 가동 시 원가 절감 효과로 마진 개선이 기대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술적 진입 장벽과 특허 보유

전해질 생산에는 고순도 정제 및 극미량 분석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천보는 2016년 세계 최초로 LiFSI를 상용화했으며,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해 중국 업체들과의 차별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20254월 유진투자증권 리포트는 "중국 기업 대비 30% 이상 낮은 원가 경쟁력이 천보의 강점"이라고 평가했습니다.

6-2. 천보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다양한 산업군에 걸친 사업 포트폴리오

천보는 2차전지 소재(매출 비중 68%) 외에도 반도체 공정 소재(25%), 의약품 중간체(7%)를 생산합니다. 특히 반도체 식각액 첨가제인 아미노테트라졸(ATZ)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하며,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이는 매출 변동성 리스를 분산시키는 효과를 제공합니다.

글로벌 고객 기반과 장기 공급 계약

중국 티앤츠소재(Tinci), 미국 테슬라를 포함해 3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과 협력 중입니다. 20245월 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천보는 테슬라의 2026년 양산 예정인 로보택시용 배터리 소재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연간 1,200억 원 규모의 매출을 예상케 합니다.

R&D 투자를 통한 지속적 기술 혁신

매년 매출의 7%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20243월 개발한 탄산리튬 기반 전해질 신공법은 기존 대비 생산원가를 50% 절감했으며, 이 기술은 미래 자율주행차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6-3. 천보의 주요 사업 계획

2026년 북미 시장 공략 본격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대응해 텍사스에 현지 법인을 설립할 계획입니다. 20254월 증권거래소 공시에 따르면, 북미 진출을 위해 2,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 중이며, 현지 생산라인 구축을 통해 운송비 및 관세 부담을 줄일 예정입니다.

친환경 소재 개발로 ESG 경쟁력 강화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적용한 리튬 회수 시스템을 2025년 상반기 도입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70% 감소시키고, 유럽 시장의 강화된 환경 규제에 대비할 방침입니다.

인공지능 기반 생산 시스템 고도화

202412월까지 자체 개발한 AI 품질 관리 시스템을 전 공정에 도입할 예정입니다. 머신러닝을 통해 불량률을 0.1% 미만으로 낮추는 것이 목표이며, 이는 연간 150억 원 이상의 원가 절감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6-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2차전지·반도체 소재 시장의 성장성과 기술 선도성
  • IRA 수혜를 위한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 전략
  • 안정적인 재무 구조(부채비율 18%)

리스크

  • 중국 시장 의존도(현재 매출 40%)로 인한 가격 경쟁 압력
  • 신제품 상용화 지연 가능성

투자 포인트

  • 단기: 2025년 2분기 새만금 공장 가동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 중장기: 테슬라 로보택시 양산으로 인한 수요 폭증 대비 생산 역량 확보

테슬라 2차 전지 관련주10

 

2025.03.10 - [정보 이슈/증시 뉴스 기사] - 현대차 휴머노이드 로봇 투입 관련주 5종목

 

2025.03.12 - [오늘의 특징주] - 물류자동화 로봇 관련주 6종목 | 레인보우로보틱스, 티로보틱스와 MOU

 

2025.02.22 - [오늘의 특징주] - 원익로보틱스 美 메타와 V4 로봇 팔 개발 관련주 5종목

 

2025.02.25 - [정보 이슈/주식용어] - 현대차그룹 SDV 전환으로 알아보는, SDV란 무엇인가?

 

2025.02.19 - [오늘의 특징주] - 2차 전지 도요타 납품 관련주 6종목, LG에너지솔루션 15억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