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워드 이슈 종목

이재명 호남 에너지믹스 발표에 전력설비 관련주 급등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4. 24.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관련주는 이재명 대표가 호남 공략 카드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에너지믹스 구축과 5·18 정신 헌법 반영을 강조 했는데, 건강한 미래에너지를 주제로 현장 간담회를 열고 수소 및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 대한 공약을 발표한바 있어 장중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책 수혜 기대감에 따른 단기 매수세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출처: 뉴스1 보도  "이재명, 호남 공략 카드는 '에너지 믹스·5·18 정신 헌법 반영' "

 

2025.03.26 - [오늘의 특징주] - 산불 재난 관련주 4종목

 

2025.03.27 - [키워드 이슈 종목] - 구리 가격 급등 전선 관련주 5종목

 

2025.04.09 - [오늘의 특징주] - 트럼프 50% 관세 발표에 희토류 관련주 급등세

 

2025.04.18 - [키워드 이슈 종목] - 상호관세 면세 태양광 관련주 6종목

 

2025.04.19 - [키워드 이슈 종목] - "에너지 믹스 정책" 확대로 주목 받는 원전주 5종목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1

 

 

1. 바이오스마트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2

1-1. 바이오스마트가 미래에너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초고압 전력 인프라 소재 시장의 과점적 지위

바이오스마트의 자회사 티씨머티리얼즈(TCT)는 초고압 변압기 및 발전기용 무산소동(OFHC) CTC 소재 시장에서 삼동과 함께 과점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0244월 미국 정부의 16km 송전선 개선 프로젝트 발표 당시, TCT의 기술력이 부각되며 주가가 12% 이상 급등했습니다. 이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강화 수요가 TCT의 매출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 반영이었습니다.

재생에너지 정책과의 직접적 연관성

이재명 대표가 제시한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계획은 고압직류송전(HVDC) 방식을 통한 전국적 송배전망 확충을 포함합니다. TCT가 공급하는 CTC 소재는 HVDC 변압기의 핵심 부품으로, 정책 실행 시 수혜가 예상됩니다. 20253월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HVDC 시장 규모가 2027년까지 연평균 15% 성장할 전망이며, TCT는 이 중 4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글로벌 수요 증가 대응 능력

티씨머티리얼즈는 국내 5, 베트남 1개 등 총 6개 공장을 운영하며 연간 1조 원 규모의 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20244분기 기준 수출 비중이 33%에 달하며, LS전선·효성중공업 등 국내 대기업뿐 아니라 해외 변압기 제조사들에도 소재를 공급 중입니다. 최근 구리 가격 상승에도 무산소동 CTC의 높은 부가가치로 마진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1-2. 바이오스마트의 3대 사업 특징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신용카드 제조를 시작으로 M&A를 통해 의약품·주류결제·중전기 사업까지 확장했습니다. 2023년 연결 기준 매출 중 54%가 중전기·동제품 부문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티씨머티리얼즈의 성장 덕분입니다. 다만, 타 부문과의 시너지 부족이 리스크로 지적되기도 합니다.

고부가가치 소재 기술력

무산소동 CTC는 일반 동선 대비 전도율이 5% 이상 높아 초고압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202410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전략소재 기술인증'을 획득하며 품질 경쟁력을 공식 인정받았습니다. 해당 제품의 수율이 92%로 업계 최고 수준이라는 것이 증권사 실적 분석 보고서에서 확인됩니다.

수직적 생산 시스템

티씨머티리얼즈는 광산에서 구리를 추출해 가공·성형·코일 제조까지 일괄 처리하는 Vertically Integrated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로 인해 원자재 가격 변동성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공정 당 생산 시간을 30% 단축했습니다. 20251분기 기준 동 제품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8.7%로 전년 동기 대비 1.2%p 상승한 것이 이를 증명합니다.

1-3. 주요 사업 계획 및 전략

미국 시장 공략 확대

20252월 텍사스 주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며 북미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현대일렉트릭의 미국 변압기 공장 납품 물량이 2024400억 원에서 2025700억 원으로 확대될 예정이며, 이를 위해 베트남 공장 가동률을 85%에서 95%로 높인 상태입니다.

친환경 에너지 사업 진출

수소충전소용 고압 케이블 개발에 착수해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3월 한국수소산업협회와 MOU를 체결하며 기술 협력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동시에 태양광 인버터용 방열 소재 연구개발에 120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자회사 상장 추진

티씨머티리얼즈의 2025년 상반기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기업공개(IPO)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상장 예상 기업가치는 12천억 원으로, 모기업인 바이오스마트의 지분 가치가 8,400억 원까지 상승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바이오스마트 주주의 경우 1:0.5 비율로 배정받을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바이오스마트는 재생에너지 정책 수혜와 글로벌 전력 인프라 수요 증가라는 양대 테마를 동시에 잡은 종목입니다. 2025년 예상 PER18배로 업계 평균(25) 대비 저평가 상태이며, 자회사 상장을 통해 숨겨진 가치가 발굴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구리 가격 급등 시 원가 부담 증가와 주요 고객사인 효성중공업의 수주 변동성이 리스크 요인으로 꼽힙니다.

단기 투자 포인트

  • 티씨머티리얼즈의 상장 심사 결과(5월 중순 예정)
  • 2분기 실적 발표 시 수출 확대 효과 확인

장기 투자 포인트

  • 미국 시장 진출 성과 및 수소충전소 소재 개발 진행률
  • 전력 인프라 수요 지속성 확인

2. 가온전선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3

2-1. 가온전선(000500)이 미래에너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미국 전력 인프라 시장 진출 확대

202411, 가온전선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배전케이블 생산법인 LSCUS 지분 100%를 확보했습니다. 이를 통해 현지화 역량을 강화하고 미국 내 노후 전력망 교체 수요에 대응 중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미 매출액은 2021169억원에서 2023664억원으로 급증하며 성장세를 입증했습니다.

AI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

인공지능(AI)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가 급증하면서 고품질 전력 케이블 공급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가온전선은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용 케이블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 중이며, 이 분야에서의 매출 비중이 점차 확대될 전망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장

태양광 및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시장에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가온전선은 미국 내 태양광 발전단지와 유럽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케이블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2025년까지 해저케이블 신사업 진출을 준비 중이며, 이를 통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2-2. 가온전선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전력·통신 케이블 사업의 이중화

가온전선은 매출의 89%를 차지하는 전력케이블과 11%의 통신케이블 사업을 병행하며 시장 리스크를 분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3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6.4% 증가한 149억원을 기록하며 호조를 보였습니다.

북미 시장 집중 공략

북미 지역 매출 비중이 2023년 기준 전체 해외 매출의 70%를 차지하며, 현지 생산법인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구축했습니다. 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2025년 북미 매출 목표는 12000억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기술 협력을 통한 제품 경쟁력

LS전선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초고압 케이블 및 해저케이블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2024년 네덜란드 테네트와 체결한 9073억원 규모의 초고압직류송전(HVDC) 계약은 기술력 우위를 입증하는 사례입니다.

2-3. 2025년 주요 사업 계획 3가지

해저케이블 신사업 진출

2025년 상반기 중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 생산라인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유럽과 동남아 시장을 타깃으로 한 신규 수주를 통해 매출 다각화를 추진합니다.

북미 시장 매출 확대

LSCUS 법인을 통해 미국 내 신재생에너지 및 플랜트 사업을 확장합니다. 2025년 목표 매출 25000억원 중 50% 이상을 북미에서 달성할 계획입니다.

수직계열화를 통한 원가 절감

2024년 지앤피(G&P) 인수를 통해 전선 소재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전 공정을 통합했습니다. 이를 통해 원가 효율성을 15% 이상 개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가온전선은 글로벌 전력 인프라 수요 증가와 정책 수혜 기대를 바탕으로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종목입니다. 최근 증권사 리포트에서는 2025년 예상 영업이익이 1200억원 대로 전망되며, 목표주가 75000원대를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투자 포인트

  • 정책 테마: 재생에너지 확대 및 전력망 특별법 수혜 기대
  • 실적 성장: 북미 매출 확대와 해저케이블 사업 본격화
  • 리스크 요인: 구리 등 원자재 가격 변동성, 경쟁사 확대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4

3. 대원전선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5

3-1. 대원전선(006340)이 미래에너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직접 수혜

최근 이재명 대표가 호남권 공략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 및 에너지믹스 구축을 강조하며, 전력망 확충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대원전선은 한국전력의 345kV 대규모 송전망 구축사업에 참여하며, 2025년 완료 예정인 동해안-용인 반도체 특화단지 프로젝트에서 핵심 공급처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을 위한 인프라로, 대원전선의 수혜 가능성이 큽니다.

글로벌 전력 인프라 수요 증가 대응

미국 LA 산불 복구 프로젝트와 동남아 전력망 현대화 사업에서 대원전선의 전력 케이블이 테스트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샘플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LS전선·대한전선과의 협업을 통해 해외 수주 확대가 예상됩니다. 증권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해외 매출 비중을 2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원자재 가격 변동성 헤지 효과

구리 가격 상승으로 전선 업계의 원가 부담이 커졌으나, 대원전선은 알루미늄 기반 Neo-Cable 개발로 원가 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기존 대비 중량 35% 감소, 자재비 52% 절감이 가능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3-2. 대원전선의 3가지 사업 특징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전력케이블(53%), 절연전선(40%), 자동차전선(7%)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했습니다. 특히 자동차전선 분야에서는 전기차 1대당 1km의 전선을 공급하며, 현대·기아차와의 협력으로 시장 점유율 2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형 프로젝트 참여 실적

한국전력의 3.7조 원 규모 345kV 송전망 사업에 참여하며, 2024년 말 기준 14개 노선 중 5개 구간 납품을 완료했습니다. 이는 국내 전력 인프라 확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대규모 사업입니다.

기술 혁신을 통한 수익성 개선

202412월 발표된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부실 거래처 정리와 수익성 중심 경영 전환으로 영업이익률을 2.6%까지 끌어올렸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9배 증가한 수치로, 내실 강화 효과가 두드러집니다.

3-3. 대원전선의 2025년 주요 사업계획

미국 시장 공략 가속화

LA 전력청 샘플 테스트를 완료하고, 2025년 하반기 본격적인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미국 변압기 호황 기조에 맞춰 연간 6,000만 달러 이상의 수출 달성을 계획 중입니다.

전기차 전선 시장 확대

고전압 배터리 케이블 개발을 완료하고, 국내 완성차 업체에 납품을 시작했습니다. 2025년 말까지 전기차용 전선 매출 비중을 15%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친환경 제품 라인업 강화

재생에너지 연계형 HVDC(초고압직류송전) 케이블과 친환경 절연재를 적용한 제품 개발에 120억 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이는 태양광·풍력 발전소 연결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과 전력망 확충 사업 수혜 기대
  • 자동차전선 분야에서의 성장 잠재력
  • 원가 효율성 개선을 통한 수익성 향상

리스크:

  • 구리·알루미늄 가격 변동성에 따른 원가 부담
  • 해외 시장 진출 성과의 불확실성

투자 포인트:

단기적으로는 정책 테마와 구리 가격 상승 수혜를, 중장기적으로는 전기차 및 해외 사업 확장을 주시해야 합니다.  국내 증권사는 "수익성 개선과 신사업 성장동력이 주가 상승을 견인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4. 제룡전기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6

4-1. 제룡전기가 미래에너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배전 변압기 시장의 독점적 입지

제룡전기는 국내 유일의 배전 변압기 전문 기업으로, 매출의 100%를 해당 분야에서 발생시킵니다. 미국 에너지부 조사에 따르면, 북미 지역 변압기의 70%가 수명 25년을 초과해 교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제룡전기는 2023년 미국 시장에서 429억 원 규모의 대형 수주를 성사시키며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 능력

인공지능 발전에 따른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증가는 변압기 수요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2024년 국제에너지기구(IEA) 보고서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가 2026년까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제룡전기는 고효율 변압기 공급을 통해 해당 수요를 선점 중입니다.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 수혜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스마트 그리드 구축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룡전기는 2024년 유럽 시장을 겨냥한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연계 변압기 개발에 성공하며, 탄소 중립 트렌드에 발맞춘 기술 혁신을 증명했습니다.

4-2. 제룡전기의 3대 사업 특징

기술력 기반 고부가가치 제품

자체 개발한 친환경 몰드변압기는 기존 대비 에너지 손실을 30% 절감했으며, 2023년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1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현지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을 동시에 인정받은 결과입니다.

수출 주도 성장 구조

2023년 기준 수출 비중이 80%에 달하며, 특히 북미 시장에서 연간 150%의 매출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미국 PSE&G사와의 장기 계약을 통해 2025년까지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예상됩니다.

생산 효율성 극대화

소품종 대량생산 체계로 전환해 2023년 영업이익률 38%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동종업계 평균(20%)을 크게 상회하며, 원가 절감과 생산 라인 최적화 효과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4-3. 2025년 주요 사업 계획

생산 능력 2배 확장

안산 공장에 300억 원을 투자해 2025년까지 생산라인을 4개로 확장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연간 2,400대 생산이 가능해지며, 수주 처리 역량이 크게 향상될 전망입니다.

유럽 시장 진출 가속화

독일 현지법인 설립을 통해 EU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입니다. 20243월 사우디아라비아와 210억 원 규모의 전력망 현대화 계약을 체결하며 해외 진출 기반을 다졌습니다.

디지털 트윈 기술 도입

변압기 유지보수에 AIIoT를 접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중입니다. 2024년 시제품 테스트를 완료하고,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제룡전기는 글로벌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와 재생에너지 수요 증가라는 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4년 예상 PER 8.7배는 동종업계 평균 대비 56% 저평가 수준이며, 배당수익률 2.1%로 안정적인 수익도 기대됩니다.

주요 리스크로는 미국 시장 의존도(80%)와 원자재 가격 변동성을 꼽을 수 있으나, 유럽·중동 시장 다각화와 기술 혁신을 통해 리스크 헷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정책 수혜 기대감에 따른 매수세가 지속될 전망이며, 장기 투자 관점에서도 관심을 가질 만한 종목입니다.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7

5. KBI메탈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8

5-1. KBI메탈이 미래에너지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에너지 고속도로(HVDC) 정책의 핵심 수혜 기업

KBI메탈은 초고압 직류 송전망(HVDC) 구축에 필수적인 고품질 동선(銅線)을 생산합니다. 2025413일 티스토리 블로그 기사에 따르면, 국내 JCR Rod 시장 점유율 45%를 차지하며 LS전선, 대한전선과 함께 주요 공급처로 꼽힙니다. 정부의 2029년까지의 인프라 투자 확대 계획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친환경 재생동 소재 기술력 확보

한국IR협의회 보고서(20251)에 의하면, KBI메탈은 동스크랩을 재활용한 친환경 JCR Rod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탄소중립 정책 추진에 맞춰 전력 인프라 업체들로부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전기차 부품 사업 다각화

20234월 서울경제 기사에 따르면, BLDC 모터 양산을 시작하며 전기차 부품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HD현대인프라코어, 케이비오토텍 등과의 협력을 통해 자동차 부문 매출 비중을 4.5%에서 15%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5-2. KBI메탈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고전도율 동선 생산 역량

KBI메탈은 연간 65,000톤 규모의 동선 생산 능력을 보유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SCR JCR Rod 제조 기술로 차별화되었습니다. 2024년 상반기 매출의 90.7%가 메탈사업부에서 발생했으며, 이 중 70% 이상이 고전도율 제품입니다.

AI 기반 생산 혁신

20253월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도입으로 원가 절감 및 품질 관리 효율성을 30% 이상 개선했습니다. 이는 생산라인 자동화와 결합해 수익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베트남 법인을 통해 동남아 고압케이블 시장에 진출했으며, 2025121일 한국IR협의회 자료에 의하면 미국 데이터센터 전선 수요 증가에 대응해 북미 시장 공략을 준비 중입니다.

5-3. 주요 사업계획 3가지

전기차 부품 사업 확대

2025213일 인포스탁 기사에 따르면, 기존 단일 부품 생산에서 부분 조립체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합니다. 특히 BLDC 모터를 활용한 공조 시스템 부품의 양산 체계를 구축 중입니다.

AI 품질관리 시스템 고도화

202481일 와이드데일리 보도에 의하면, AI 기반 불량 예측 모델을 업그레이드해 생산 불량률을 0.5% 미만으로 낮출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연간 50억 원 이상의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

2025121ThinkPool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HVDC 확충 수요가 높은 미국 텍사스·캘리포니아 주를 중심으로 현지 파트너십 구축을 추진 중입니다. 2026년까지 북미 매출 비중 2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KBI메탈은 전통적인 동선 제조사에서 탈피해 에너지 인프라와 전기차 부품 분야의 하이브리드 기업으로 진화 중입니다. 2024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74.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3.74% 증가하며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했습니다.

강점

  • 정부의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과 직접 연계된 수혜 가능성
  • 친환경 소재 생산으로 인한 ESG 투자 유치 잠재력

리스크

  • 구리 가격 변동성에 따른 원재료 리스크
  • 대기업 계열사(LS, 대한전선)와의 경쟁 심화

6. 세명전기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9

6-1. 세명전기가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HVDC 기술력으로 국가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20254, 세명전기는 500kV HVDC 송전선로 금구류 개발을 완료하고 서울-수도권 230km 구간 사업에 수주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교류 송전 대비 30% 이상의 전력 손실 감소 효과가 있어 정부의 에너지 효율화 정책과 직접 연계됩니다. 특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안정적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 금구류 국산화로 시장 독점적 지위 확보

일본에서 100% 수입하던 금구류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했습니다. 한국전력공사와의 협력으로 154kV, 345kV, 765kV 송전선로용 금구류를 자체 생산하며,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외 의존도 감소와 함께 가격 경쟁력 강화로 이어졌습니다.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의 시너지 효과

정부의 '에너지믹스 구축' 정책에 발맞춰 태양광·풍력 등 분산형 전원과의 연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VDC는 재생에너지의 불규칙한 전력 공급을 안정화하는 데 필수적이며, 2029년까지 추진될 6HVDC 구간 사업에서 추가 수주 기대감이 높습니다.

6-2. 세명전기의 사업 특징: 기술력과 시장 독점성

금구류 전문 기업으로서의 기술 축적

1962년 설립 이후 60년 이상 금구류 분야에 집중해 왔습니다. 주조·단조 기술을 바탕으로 고강도 금구류를 생산하며, 2024년 말 기준 43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500kV HVDC 개발로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으며, 이는 대만·미국 수출에도 활용될 전망입니다.

안정적인 수주처 확보

매출의 78%가 한국전력공사, 철도공사 등 공기업에서 발생합니다. 2024년 결산 기준 118억 원의 매출 중 92억 원이 금구류 부문에서 차지하며, 수주 잔량이 166억 원에 달해 안정적인 실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ESG 경영 강화로 지속가능성 확보

폐기물 재활용률 95% 이상, 에너지 사용량 연간 10% 감축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2025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 배출량을 전년 대비 8% 줄이며 ESG 평가에서 업계 상위 20% 내에 진입했습니다.

6-3. 향후 사업 계획: 성장 동력 확보 전략

HVDC 기술의 해외 시장 진출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500kVHVDC 수출을 추진 중입니다. 20253월 말, 베트남 전력청과 50억 원 규모의 시범 사업 계약을 체결했으며, 2026년까지 300억 원 규모의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클러스터 수요 대응

용인·이천 클러스터에 110km 송전선로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합니다. 20254월 기준 230억 원 규모의 예비 수주를 확보했으며, 이는 연간 매출의 2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신사업 다각화: 수소·ESS 연계 기술 개발

2025년 상반기 중 수전해 설비용 전력변환장치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현대자동차·SK이노베이션과 협업해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며, 향후 5년 내 신사업 매출 비중 30% 달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6-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HVDC 기술 독점성으로 2025~2030년 CAGR 12% 성장 예상
  • 정부 인프라 사업 참여로 매출 안정성 확보(2025년 예상 PER 18.7배)
  • ESG 경영 강화로 장기적 기업 가치 상승 가능성

리스크

  • 국가 프로젝트 일정 지연 가능성
  • 원자재(알루미늄) 가격 변동성 노출

미래에너지 전력설비 10

 

2025.02.25 - [뉴스 종목] - 인터배터리2025 2차전지 관련주 5종목

 

2025.02.26 - [오늘의 특징주] - 베트남 원전 관련주 5종목, 원전 수주 협상

 

2025.01.26 - [분류 전체보기] - AI 인프라 전력설비 관련주 5종목

 

2025.02.13 - [오늘의 특징주] - 美 데이터센터 전력설비 관련주 6종목, 관세는 기회

 

2025.01.13 - [오늘의 특징주] - 전력설비 관련주, LA 화재 전력망 비상... 복구 수요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