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관련주는 SKT가 5월 5일부터 T월드 매장·온라인 신규가입을 중단하고 유심 교체에 집중한다는 소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해킹 사고로 770만 명이 유심 교체를 신청했으며, 일일 20만 명 처리 시 약 1.5개월 소요될 전망입니다. 알뜰폰은 행정지도 대상 제외로 가입 제한 없어 관련주 상승 가능성 대두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SKT 오늘부터 신규기압 중단 "유심 교체 한달 반 걸릴 듯"
SKT 오늘부터 신규가입 중단 "유심 교체 한달 반 걸릴 듯" [팩플] | 중앙일보
임봉호 SKT MNO(이동통신) 사업부장은 5일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연 브리핑에서 "신규 가입은 전산 자체를 막은 상황"이라며 "신규영업 중지 기간 들어오는 유심은 T월드 매장에 우선 공급하겠단
www.joongang.co.kr
알뜰폰 관련주 목차
1. KTis
2. 세종텔레콤
3. LG헬로비전
4. 아이즈비전
1. KTis 058860
1-1. KTis(058860)가 알뜰폰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① KT 유무선 통신상품 유통 사업 운영
KTis는 KT플라자 운영을 통해 KT의 알뜰폰(MVNO) 상품을 직접 판매하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SKT 유심 교체 사태로 KT 알뜰폰 수요가 급증하며, KTis의 유통 채널 역할이 부각되었습니다. 특히 SKT 신규 가입 중단 시 KT플라자 내 알뜰폰 가입 문의가 40% 증가했다는 업계 보고서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② KT 네트워크 임대를 통한 간접 수혜
KTis는 KT 그룹의 자회사로, KT가 알뜰폰 사업자에 네트워크를 임대할 때 발생하는 수익 구조와 연관성이 있습니다. 2024년 기준 KT는 헬로모바일 등 15개 알뜰폰 사업자와 협약을 체결했으며, KTis는 이와 연계된 고객센터 운영 및 유통 인프라를 담당합니다.
③ 비대면 서비스 확대에 따른 AI 컨택센터(AICC) 수요 증가
알뜰폰 가입자 증가로 고객 상담량이 늘면서 KTis의 AI 기반 컨택센터 사업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2024년 AICC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8% 성장했으며, 상담 효율화를 위한 AI 챗봇 도입 사례가 금융감독원 보고서에서 언급되었습니다.
1-2. KTis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AI 컨택센터(AICC) 전문성
2024년 상반기 기준 병원·금융기관 23개사와 AICC 구축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 점유율 18%를 기록했습니다. AI 보이스봇을 활용한 자동 상담 처리율이 65%로 업계 평균(45%) 대비 높은 효율성을 입증했습니다.
② 안정적인 배당 정책
2024년 말 기준 시가배당률 4.4%를 유지하며 5년 연속 배당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이는 동종업계 평균(2.1%)의 2배 수준으로, 한국증권연구원 리포트에서 배당 안정성을 강점으로 지적했습니다.
③ KT 그룹 내 시너지 효과
KT 고객센터 운영·114 번호안내 서비스 등 그룹 내 수직계열화 구조가 경쟁력으로 작용합니다. 2024년 KT 그룹 매출 대비 12%를 차지하며, ICT 인프라 공유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가 컸습니다.
1-3. KTis의 주요 사업 계획
① AICC 사업의 금융·공공기관 확대
2025년 하반기까지 보험사·공공기관 15개소 추가 수주를 목표로 합니다. AI 상담 솔루션 'A’cen Cloud' 고도화를 통해 처리 시간 30% 단축을 계획 중입니다.
② 디지털 광고·커머스 신사업 강화
KT 타운보드TV(디지털 광고 플랫폼)를 2025년 2,000개소로 확장 예정입니다. 2024년 1,200개소 대비 66% 증가하며, 수익 다각화를 통한 매출 7% 성장이 기대됩니다.
③ 주주환원 정책 지속
2025년에도 120원의 주당 배당을 유지할 방침입니다. 자사주 매입(발행주식의 12% 보유)을 통해 주당순이익(EPS) 증가를 유도한다는 내용이 최신 증권사 리포트에 명시되었습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저평가 매력: PBR 0.38로 동종업계 평균(0.82) 대비 절반 수준.
- AI·디지털 전환 수혜: AICC 시장 성장률(연평균 12%)을 상회하는 실적 성장 전망.
리스크
- IFRS16 회계 적용으로 이자비용 증가 가능성.
- 알뜰폰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수익성 압박.
투자 전략
단기적으로는 알뜰폰 테마에 따른 변동성 주의가 필요하나, 중장기적으로는 AI 기반 사업 확장과 배당 안정성을 고려해 분할 매수 접근이 유효합니다.
2. 세종텔레콤 036630
2-1. 세종텔레콤(036630)이 알뜰폰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① 스노우맨 브랜드 운영을 통한 알뜰폰 서비스 제공
세종텔레콤은 2012년부터 자회사 온세텔레콤을 통해 알뜰폰 브랜드 '스노우맨'을 운영해왔습니다. 2024년 기준 약 17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며, LG유플러스 네트워크를 임대해 독자적인 요금제를 공급했습니다. 특히 행정지도 대상에서 제외되어 신규 가입 제한 없이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는 점이 강점으로 꼽혔습니다.
② 통신 인프라와의 시너지 효과
전국 규모의 광통신망과 해저케이블을 활용한 국제전용회선 서비스 등 종합통신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알뜰폰 서비스의 안정성과 품질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기업보고서에 따르면 통신사업 매출 중 알뜰폰 부문이 약 8.5%를 차지했습니다.
③ 유통 채널 다각화 전략
MZ세대를 타겟으로 온라인 채널을 확대하며 가입자 유치에 집중했습니다. 2024년 12월 중소기업신문 보도에 따르면, 저가 요금제와 5G 서비스 론칭으로 연간 235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알뜰폰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2-2. 세종텔레콤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종합통신서비스 전문기업으로의 위상
전용회선 임대,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국제전화 등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합니다. 2025년 4월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광케이블 자가망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인프라가 기업 및 공공기관 수요층에게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② 전기·통신 인프라 구축 사업
2019년 전기공사업체 조일이씨에스를 합병하며 인프라 사업을 다각화했습니다. 전력 플랜트 및 토목공사 분야에서 매출의 28%를 차지하며, 통신망 확장과 연계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③ 블록체인·AI 융합 신사업 추진
2025년 4월 세종디엑스 분할을 통해 디지털전환(DX) 사업에 집중합니다.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사업 참여, AI 기반 분실물 찾기 서비스 '파인딩올' 등 혁신 플랫폼을 구축 중입니다.
2-3. 세종텔레콤의 주요 사업계획
① 5G 특화망 사업 확대
2025년 5G 28㎓ 주파수 경매에 참여하며 제4이동통신사 도전을 준비 중입니다. 과기정통부 자료에 따르면, 사전 적격 판정을 받아 기술 검증을 완료했으며, 수요기업 대상 맞춤형 통신서비스 공급을 목표로 합니다.
② DX 전문기업 세종디엑스 성장 주력
분할된 자회사 세종디엑스를 통해 토큰증권형 부동산 플랫폼 '비브릭'과 의료 마이데이터 유통 사업을 확장합니다. 2025년 4월 프라임경제 기사에 따르면, 연간 50억 원 규모의 신규 매출 창출을 목표로 합니다.
③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 재편
알뜰폰 부문 매각을 추진하며 전기·통신 인프라에 자원을 집중합니다. 2024년 12월 중소기업신문 보도에 따르면, 영업손실 확대를 막고 재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세종텔레콤은 알뜰폰 시장 철수로 단기적 변동성 위험이 있으나, 5G 특화망과 DX 사업 성장 가능성이 주목받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시가총액은 1,849억 원이며, P/S 비율 0.1배로 업계 평균(0.4배) 대비 저평가 상태입니다. 다만, 2024년 누적 영업손실 114억 원으로 실적 개선 필요성이 지적됩니다.
투자 시 고려할 점
장점: 5G 주파수 경매 참여로 성장 기회 존재, 블록체인·AI 융합 사업의 파급력
리스크: 알뜰폰 매각에 따른 일시적 매출 감소, 주파수 경매 자금 부담 가능성
3. LG헬로비전 037560
3-1. LG헬로비전(037560)이 알뜰폰 관련주로 주목받는 이유
① 헬로모바일 브랜드 운영
LG헬로비전은 자체 알뜰폰 브랜드인 '헬로모바일'을 통해 이동통신 3사(SKT·KT·LGU+)의 망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24년 8월 세븐일레븐과 협업으로 유심 판매를 확대하며 MZ세대 고객 유치에 성공했으며, 2025년 4월 기준 약 75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② 대기업 계열사의 시장 점유율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LG헬로비전을 포함한 대기업 계열사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은 52.7%로 집계되었습니다. 특히 SK텔레콤의 유심 교체 중단 소식으로 알뜰폰 수요가 증가할 경우, 대규모 인프라를 보유한 LG헬로비전이 직접적인 수혜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③ 통신-미디어 시너지 효과
케이블TV·인터넷·알뜰폰 서비스를 패키지로 제공하며 고객 유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발표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방송·통신·MVNO 부문에서 4,81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종합 미디어 기업으로의 입지를 공고히 했습니다.
3-2. LG헬로비전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종합 미디어 플랫폼 구축
전국 23개 권역에서 케이블TV·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2025년 1분기 기준 430만 명의 유료방송 가입자를 확보했습니다. 특히 OTT 서비스 확산에 대응해 자체 제작 콘텐츠(예: 칼의 전쟁)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② 렌탈 사업 성장
2024년 연간 렌탈 매출은 1,2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습니다. 생활가전부터 프리미엄 제품까지 라인업을 다양화하며, 20~30대 고객층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확대 중입니다.
③ LG그룹 내 협업
LGU+의 통신 인프라와 CJ ENM의 미디어 콘텐츠를 연계한 사업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2025년 4월 알뜰폰협회 탈퇴로 독자적인 경쟁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3-3. 2025년 주요 사업 계획
① 신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교육용 스마트 단말기 보급 사업에 진출하며 연간 300억 원 규모의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이미 153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초기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② 디지털 전환 가속화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추천 시스템 도입으로 홈쇼핑·VOD 서비스 효율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2025년 상반기 연구개발비를 전년 대비 15% 증액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③ 수익성 개선 전략
BNK투자증권 리포트(2025.04)에 따르면, 비용 효율화를 통해 연간 120억 원의 인건비 절감을 목표로 합니다. 동시에 수익성이 낮은 유선전화 사업의 단계적 축소를 검토 중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LG헬로비전은 알뜰폰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와 신사업 다각화로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열었으나, 단기적으로는 유료방송 부문의 매출 감소(-3.9% YoY)와 부채비율 상승(180%)이 리스크 요인입니다.
4. 아이즈비전 031310
4-1. 아이즈비전(031310)이 알뜰폰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① 알뜰폰 시장 점유율 확대
아이즈비전은 자체 브랜드 '아이즈모바일'을 통해 알뜰폰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체 시장의 약 13.2%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세종텔레콤의 알뜰폰 사업부 인수를 통해 가입자 규모를 40만 명 수준으로 확장했으며, 이는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② 통신 3사와의 협력 강화
SKT, KT, LGU+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회선별 특화 요금제를 운영 중입니다. 2023년에는 SKT 공식 대리점 '리봄'을 론칭하며 오프라인 채널까지 확장했고, 이를 통해 MZ 세대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 가입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③ 신규 사업 다각화
알뜰폰 사업 외에도 중고폰 유통 플랫폼 '민팃ATM'과 제휴를 맺고 중고폰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2025년까지 연 매출 1,000억 원 목표를 세우며 IoT 및 모빌리티 사업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 중입니다.
4-2. 아이즈비전의 대표적 사업 특징
① 온·오프라인 통합 채널 전략
우체국, 다이소 등 1,500여 개 오프라인 매장과 자체 온라인 플랫폼을 연계해 가입자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월 평균 1.5만 명의 신규 가입자를 유치하며, 이는 전년 대비 20% 증가한 수치입니다.
② 저비용 고효율 요금제 경쟁력
기존 통신사 대비 50% 저렴한 요금제를 제공하며, 특히 선불형 요금제와 유심 단독 판매 모델로 가격 경쟁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023년 말 기준 후불 요금제 비중이 70%로 확대되며 수익성 개선 효과를 거뒀습니다.
③ 기술 융합 사업 추진
5G 특화망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개발 중이며, 머큐리(종속회사)를 통해 WiFi 6 확장기 AP 등 차세대 통신장비 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4-3. 아이즈비전의 주요 사업계획
① M&A를 통한 시장 주도권 강화
2025년 1월 세종텔레콤 알뜰폰 가입자 17만 명을 인수해 총 41만 명의 가입자 기반을 확보했습니다. 이번 인수로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② 중고폰 유통 시장 공략
민팃과의 협력을 통해 연간 1,000만 대가 거래되는 중고폰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2024년 말까지 전국 5,600대의 민팃ATM을 활용해 단말기 결합 상품 판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③ 모빌리티 신사업 투자
전기 오토바이 및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 제조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 내연기관 오토바이 대체 수요를 겨냥한 사업 모델을 구축 중입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아이즈비전은 알뜰폰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2024년 말 기준 매출은 1,9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138억 원으로 개선 필요성이 지적됩니다. 주요 투자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 SKT 유심 교체 수요 증가로 인한 알뜰폰 가입자 유입 기대.
- 중장기: 중고폰 유통 및 모빌리티 사업을 통한 매출 다변화 전략.
- 리스크: MVNO 시장의 과열 경쟁과 자금 유동성 압박(2024년 부채비율 34.2%).
PER 10.41배와 PBR 0.44배를 고려할 때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여전히 저평가됐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2024.12.25 - [뉴스 종목] - 통신 관련주, 통신료 인하 종합대책 발표
2025.04.29 - [키워드 이슈 종목] - SKT 유심 해킹 사태, 보안 관련주 6종목 특징
2025.04.24 - [키워드 이슈 종목] - 주파수 경매 통신 관련주 6종목 특징
2025.05.02 - [키워드 이슈 종목] - SKT 유심 해킹 대응책 바이오인식 관련주 TOP4
2025.04.16 - [키워드 이슈 종목] - SKT 양자암호 관련주 6종목|협력 본격화 주목
'키워드 이슈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유심 해킹 대응책 바이오인식 관련주 TOP4 (7) | 2025.05.02 |
---|---|
일론 머스크 수술 로봇 발표에 주목해야 할 의료기기 관련주 6 종목 (1) | 2025.04.30 |
GLP-1 복제약 소송 승리로 주가 폭등한 비만치료제 관련주 TOP6 (0) | 2025.04.30 |
SKT 유심 해킹 사태, 보안 관련주 6종목 특징 (2) | 2025.04.29 |
미 해군장관 방한 MRO 20조 조선주 배경과 전망 (1) | 2025.04.27 |
낙스트라 나트륨이온배터리 공개 관련주 6종목 계획 (1)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