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운반선 수요 증가와 재건 사업 협력국 지정
조선 기자재 관련주는 최근 높은 상승으로 주목받던 조선주들의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조정받는 와중에 매수세가 기자재 종목으로 옮겨가는 모양새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장중 주목을 계속 받고 있습니다 .
"조선주 너무 올랐나"…기자재 종목으로 옮겨붙은 매수세
"조선주 너무 올랐나"…기자재 종목으로 옮겨붙은 매수세, 한경우 기자, 증권
www.hankyung.com
조선 기자재 관련주 목차
1. 조선주 차익실현 자금 유입
- 조선 3사(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등)가 2024년 100% 이상 급등 후 차익매물 발생.
- 이에 따라 자금이 LNG선 기자재/엔진 부품사로 이동.
2. 미국 트럼프 정부의 조선 산업 지원 기대
- 미국 선대 재건 사업 협력국으로 한국 지정.
- LNG 운반선 수요 증가에 따른 보냉재(동성화인텍), 관이음쇠(성광벤드) 수혜.
3. 삼성중공업 친환경 기술 경쟁력
- LNG 추진선용 친환경 엔진 개발로 2025년 추가 수주 전망.
- 특수선(시추선/쇄빙선) 시장 진출로 성장 다각화.
1. 메디콕스 054180 현재주가>>>
1-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LNG 추진선박용 특수 블록 제조 역량
메디콕스는 선박의 선수, 선미, 엔진룸 등 고난이도 부품인 특수 블록 제조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세계 3대 선급협회(DNV, ABS, LR)로부터 용접기술(WPS) 인증을 획득했으며, 현대중공업 및 현대미포조선의 1차 협력업체로 안정적인 수주 실적을 기록 중입니다. 2024년 11월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세 당시 10% 이상의 급등을 이끈 바 있습니다.
② 2차전지 신사업 진출로 성장 기대감
2024년 1월 미국 2차전지 기업 이오셀(EoCell)과 합작법인을 설립해 배터리셀 파운드리 사업에 본격 진출했습니다. 2025년 말까지 30MWh 규모의 생산설비 구축을 목표로 하며, 2029년까지 매출 1,362억원 달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조선 사업의 한계를 넘어 신성장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③ M&A를 통한 사업 다각화 추진
2023년 8월 휴대용 AI 엑스레이 기업 오톰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의료기기 시장 진출을 시도했습니다. 당시 오톰 대표진의 메디콕스 이사 선임과 공장 설립 계획이 발표되며, 단순 조선업에서 종합 기술기업으로의 변신 가능성을 시장에 각인시켰습니다.
1-2 사업특징
① 조선 블록 제조 분야의 특화된 생산 체계
고성과 진해에 위치한 2개 공장에서 연간 72,000톤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곡면 가공 기술로 LNG 추진선박 등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에 대응 중입니다. 2024년 연결 매출 26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2.4% 성장했습니다.
② 전동기·발전기 OEM 생산의 안정적 수익 기반
철도차량용 전동기를 현대로템에 납품하며 매출의 24%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440V 이상의 고압 전동기 분야에서 기술 안정화를 완료했으며, 산업용 대형 장비 시장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했습니다.
③ 신사업 리스크 관리 전략
의료솔루션 유통(계열사 중앙글로웍스), 클라우드 솔루션 개발 등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했습니다. 특히 2차전지 사업에 대한 집중 투자로 2024년 8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하며 재무 건전성 개선에 나섰습니다.
1-3 사업계획
① 2차전지 파운드리 사업 본격화
이오셀과의 합작법인을 통해 2025년 800만 달러 매출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전극 파운드리 사업을 시작으로 각형·파우치형·원통형 배터리셀 생산라인을 구축해 ESS와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입니다.
②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화
2024년 말 오톰의 의료기기 생산을 위해 스마트팩토리 설립을 발표했습니다. IoT 기반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원가 절감과 품질 관리 강화를 추진하며, 이 기술을 조선 블록 제조에도 접목할 방침입니다.
③ 재무 구조 개선을 통한 흑자 전환
2024년 자산 재평가와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로 부채를 27% 감소시켰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신사업 투자금 확보를 위해 추가 유상증자 계획을 수립 중이며, 영업이익률 15%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2. 삼성중공업 010140 현재주가>>>
2-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대규모 LNG 운반선 수주 실적 확보
2025년 2월 기준 삼성중공업은 카타르 에너지 등 글로벌 에너지 기업으로부터 15척의 LNG 운반선 수주 계약을 체결하며 총 4.57조 원 규모의 사업을 확정했습니다. 이는 단일 계약 기준 역대 최대 규모로, 2028년까지 순차적 인도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LNG 운반선 시장에서 174,000㎥급 대형 선박 제조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로, 향후 추가 수주 가능성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② 미국 조선업 재편 정책 수혜
2025년 2월 미 의회에서 제안된 '중국 해군 성장 대응을 위한 동맹국 조선업 협력 법안'은 한국 조선사들의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과 함께 미국 정부의 전략적 아웃소싱 파트너로 주목받으며, 필라델피아 조선소(한화오션 합작 인수)를 통한 간접적 수혜 가능성에 대한 분석가들의 긍정적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③ 재무개선 및 수익성 전망 강화
2024년 4분기 기준 영업이익률이 6.5%로 전년 동기 대비 3.2%p 개선되었으며,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프로젝트 수주 확대로 2025년 예상 영업이익률은 12% 수준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2025~2027년 예상 신규 수주액이 9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4년 대비 18% 성장률을 반영한 수치입니다.
2-2 사업특징
① LNG 운반선 기술 선도
2025년 2월 GTT社와 협력해 초대형 LNG 저장 탱크 설계 기술을 확보하며 174,000㎥급 Q-Max 선박 제조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기존 266,000㎥급 선박 대비 연료 효율성을 40% 개선한 기술로, 2028년까지 총 45척의 LNG 운반선 납품 계획이 진행 중입니다.
② 해양플랜트 사업 다각화
2024년 4분기 브라질 Coral FLNG 프로젝트에서 설비 조기 설치로 13%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델핀 FLNG 추가 수주를 목표로 협상을 진행 중이며, 이 프로젝트 성공 시 연간 1조 원 이상의 매출 창출이 예상됩니다.
③ 친환경 선박 기술 혁신
2025년 1월 메탄올 추진 VLAC(초대형 암모니아 운반선) 2척 수주 계약을 체결하며 친환경 선박 시장 진출을 가속화했습니다. LNG 연료 공급 시스템(S-Fugas)과 디지털 트윈 기반 선박 관리 솔루션을 결합해 2027년까지 탄소중립 선박 개발 로드맵을 수립 중입니다.
2-3 사업계획
① 수익성 중심 선택적 수주 전략
2025년 목표 수주액을 98억 달러로 설정하고, 특히 FLNG 프로젝트 비중을 35%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15척의 LNG 운반선 수주 실적을 기반으로 단가 인상분(약 7%)이 반영된 추가 계약 체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② 디지털 조선 기술 투자 확대
2025년 2월 발표된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가상현실(VR) 기반 조선 공정 최적화 시스템 도입으로 건조 기간을 18% 단축할 예정입니다. 특히 인공지능(AI) 품질 관리 시스템을 전체 공정의 70%에 적용해 불량률 0.15% 이하 유지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③ 재무구조 개선 가속화
2025년 1분기 자본금 1조 원 증자 계획을 발표하며 부채비율을 102%에서 85% 수준으로 낮추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2024년 4분기 기준 현금성 자산이 4,39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으며, 영업활동현금흐름 개선을 통해 2025년 배당 재개 가능성에 대한 시장 기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3. 성광벤드 014620 현재주가>>>
3-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중동-북미 LNG 프로젝트 수혜 기대
2024년 카타르 북부가스전 증산 프로젝트와 미국 텍사스 CP2 LNG 플랜트 건설이 본격화되면서, 동사는 HD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과 협력해 연간 2,700억 원 이상의 신규 수주를 확보 중입니다. 특히 스테인리스 재질 피팅 수요가 2023년 대비 38%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이 예상됩니다.
② 해양플랜트 부품 시장 선점
2025년 상반기 폴란드 PKN Olefins 확장 프로젝트와 사우디 아미랄 석유화학플랜트에 대형 배관 시스템을 공급합니다. 최대 120인치(3m) 규모의 초대형 피팅 제조 기술을 활용해 해수 부식에 강한 스페셜티 제품 납품 비중을 65%까지 확대했습니다.
③ 석유화학 분야 다각화 성공
2024년 기준 매출 구성은 석유화학 68%, 조선해양 19%, 발전 5%로, UAE Whiptail FPSO 프로젝트와 사우디 Jafurah 가스전 개발에 동시 참여하며 산업 리스크를 분산시켰습니다. 이는 단일 프로젝트 의존도를 22% 이하로 유지하는 전략적 우위로 연결됩니다.
3-2 사업특징
① 글로벌 시장 점유율 압도
국내 피팅 시장에서 60% 점유율을 기록하며 태광과 양강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2024년 3분기 중동 지역 매출이 47%를 차지하며, 카타르 NFE 프로젝트에 320억 원 규모의 고강도 합금강 제품을 단독 납품하는 성과를 냈습니다.
② 수직계열화 생산 시스템
자체 열처리 설비와 18.3만 톤 규모의 연간 생산능력을 보유,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특히 미국 셰일가스 프로젝트용 피팅 주문부터 제조·납기까지 45일 이내 처리 가능한 공정 효율성을 인정받았습니다.
③ 환경규제 대응 제품 라인업
IMO 2030 탄소배출 규제에 대비한 저탄소 스테인리스 소재 개발에 성공, 2024년 EU 선박용 부품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이 기술을 적용한 LNG 추진선용 배관 시스템이 한화오션의 17만 CBM급 선박 6척에 채택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3-3 사업계획
① 미주 시장 공략 가속화
텍사스 LNG 터미널 증설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 휴스턴 현지법인 증설을 완료했습니다. 2025년 1분기 북미 지역 매출 목표를 450억 원으로 설정, 2022년 대비 127% 증가율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② 친환경 에너지 사업 다각화
수소 배관용 초내식성 피팅 개발에 120억 원을 투자해 2026년 상용화를 계획 중입니다. 이미 노르웨이 Equinor의 해상풍력발전단지 프로젝트에 시험 납품을 진행하며 신사업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③ 디지털 제조 혁신
AI 기반 예측 품질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불량률을 0.15%로 낮췄습니다. 2025년까지 스마트 공장으로의 전환을 완료해 생산성을 22% 개선할 예정이며, 이는 연간 85억 원의 원가 절감 효과로 직결됩니다.
4. 동성화인텍 033500 현재주가>>>
4-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LNG 운반선용 초저온 보냉재 시장의 선두주
2024년 한화오션과 900억 원 규모 보냉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점유율을 공고히 했습니다. 17만4천CBM급 LNG 운반선 기준 연간 30척 생산능력을 보유한 점이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전 세계 LNG선 수주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국내 조선 3사의 핵심 협력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② 4년치 수주잔고로 안정적 실적 예상
2024년 2월 기준 2조 원 규모 수주잔고를 확보했으며, 이는 향후 4년간의 안정적인 매출을 보장하는 토대가 됩니다. 2023년 대비 생산능력을 50% 확대한 덕분에 2025년 매출 6,731억 원(+16.8% YoY), 영업이익 704억 원(+42.1% YoY) 전망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③ 미국 LNG 수출 확대 정책의 직접적 수혜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수출 프로젝트 재개로 2027년까지 연간 40척 이상의 LNG선 추가 발주가 예상됩니다. SK증권 분석에 따르면 동사는 미국 내 12K CBM급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개발 협약을 체결하며 미래 사업 확장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4-2 사업특징
① 초저온 단열 기술의 독점적 우위
폴리우레탄 계열 R-PUF 보냉재는 영하 162℃ 환경에서 0.07% 이하의 기화율을 구현합니다. 2023년 기준 전체 매출의 94.4%가 해당 제품에서 발생하며, 한국카본과 함께 국내 시장을 양분하는 과점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② 조선 빅3와의 장기적 협력 관계
삼성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에 연간 30척 규모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중입니다. 특히 2024년 한화오션과 체결한 NO96 LO3+ 타입 계약은 기존 마크Ⅲ 대비 기화율을 0.1%p 개선한 기술력으로 체결되었습니다.
③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
2023년 3분기 기준 영업이익률 8.6%를 기록하며 동종업계 평균(5.2%)을 상회합니다. 원재료 가격 안정화와 생산효율 개선으로 2025년 영업이익률 10.5% 달성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4-3 사업계획
① 생산능력 대폭 확충
울산 영남공장에 250억 원을 투자해 2024년 하반기부터 연간 생산량을 30척 규모로 확대했습니다. 이는 2022년 대비 50% 증가한 수치로, 2026년까지 추가 투자를 통해 40척 생산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② 신에너지 사업 다각화
액화수소·암모니아 운반선용 단열재 개발에 19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2025년 완료 예정인 국책 과제를 통해 2026년부터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며, CCS(탄소포집) 설비 관련 수주 확대를 통해 신성장동력을 마련 중입니다.
③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
중국 대련 현지법인을 통해 연간 170억 원 규모의 현지 생산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미국 현지 에너지 기업과의 MOU 체결을 통해 2026년까지 북미 시장 점유율 15%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5. 일승 333430 현재주가>>>
5-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LNG 재가스화 설비 전문성
일승은 선박용 LNG 재가스화 장치(RU) 개발에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Argus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LNG 운반선 신규 발주가 전년 대비 25% 증가했으며 이에 따른 부품 수요 확대가 예상됩니다. 회사의 LNG 관련 매출 비중이 최근 3년간 연평균 18% 성장하며 핵심 사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② 미국 조선 산업 협력 확대
미국 의회에서 중국 견적을 위한 조선 아웃소싱 법안이 추진되면서 한국 기업과의 협력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일승은 2024년 필라델피아 조선소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며 북미 시장 진출 발판을 마련한 상태입니다.
③ 환경 규제 대응 장비 수요
IMO의 선박 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따라 스크러버 장치와 SCR 시스템 등 친환경 장비 시장이 성장 중입니다. 일승은 최근 3년간 환경 장비 분야에서 연 22%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며 시장 선점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5-2 사업특징
① LNG 통합 솔루션 제공
선박용 기화 장치부터 저장 시스템까지 LNG 밸류체인 전 과정에 걸친 기술력을 확보했습니다. 2024년 4분기 기준 LNG 관련 매출이 전체의 48%를 차지하며 주력 사업으로 부상했습니다.
② 환경 장비 다각화
폐수 처리 설비와 유청 분리기 등 12개 이상의 환경 장비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선박용 스크러버 시장에서 국내 점유율 31%를 기록하며 업계 1위를 유지 중입니다.
③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력
중동 LNG 플랜트 건설 현장에 장비를 공급한 경험을 바탕으로 동남아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베트남 조선소와 150억 원 규모 계약을 체결하며 해외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5-3 사업계획
① FSRU 신사업 진출
부유식 LNG 저장·재기화 장치 분야에 2025년 상반기 진입 예정입니다. 현재 2종의 시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유럽 에너지 기업과 시험 운영 협약을 진행 중입니다.
② 디지털 서비스 강화
장비 원격 감시 시스템 개발에 2024년 연구개발비의 35%를 투자했습니다. 2026년까지 사후 관리 서비스 매출 비중을 2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③ 해양 풍력 진출
2025년 2월 해상 풍력 전용 부서를 신설하고 유럽 업체와 기술 협력을 체결했습니다. 2027년까지 해당 분야에서 300억 원 매출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SMR 추진선 관련주 6종목, 소형 모듈 원전 기술 적용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 모델 공개 SMR 추진선 관련주는 HD한국조선해양이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휴스턴 해양 원자력 서밋'에서 소형 모듈 원전 SMR 기술을 적용한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을 모
intap365.com
방위산업 방산협력 관련주 6종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북유럽 1개국 논의
방위산업 유럽시장 공략 속도방위산업 관련주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북유럽 1개 국과 방산 협력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미 '천무'로 노르웨이에 진출
intap365.com
철강 반덤핑 관련주 5종목, 일본 중국 반덤핑 조사 착수
정부, 일본-중국 열연강판 반덤핑 조사 착수 철강 반덤핑 관련주는 정부는 일본과 중국 철강 업체가 15% 싼값에 열연강판을 유통하자 현대제철등 국내 철강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국내 기업의
intap365.com
'테마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5종목, 트럼프 720조원 요구 (0) | 2025.02.24 |
---|---|
동해 가스전 유망지구 관련주 6종목 (4) | 2025.02.04 |
오픈AI 카카오 동맹 AI 챗봇 관련주 6종목 (5) | 2025.02.04 |
AI챗봇 관련주, 오픈AI 투자 유치 위해 공익법인으로 전환 (4) | 2024.12.30 |
양자암호 관련주, 양자컴 테마주 6종목 (3) | 2024.12.28 |
팹리스 반도체 관련주[테마종목] (5) | 2024.12.21 |
반도체 관련주 6종목 ( 미국 반도체 지수 급등 ) (2) | 2024.12.18 |
[테마종목] 줄기세포 관련주 6종목 (4)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