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특징주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5종목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2. 10.

현대차-전고체-배터리

전고체 라인 3월 본격 가동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 현대차그룹이 배터리 내재화 전략의 핵심인 전고체 배터리를 의왕 배터리 연구동 개소에 맞춰 시험 생산할 수 있는 파일럿 라인이 구축 됐다는 소식에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국내외 공급사, 협력사 외 미국의 제너럴모터스도 참석하는데 성능이 입증되면 대규모 양산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현대차 '꿈의 배터리' 전고체 라인 3월 본격가동

현대차그룹이 배터리 내재화 전략의 핵심인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다음달 본격 가동한다.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으면서 화재 위험이 적어 '꿈의 배터리'라고 불리는 기술이

www.etnews.com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목차 

1. 유일에너테크

2. 이수스페셜티케미컬

3. 레이크머티리얼즈

4. 한농화성

5. 대주전자재료

현대차-전고체-배터리

 

1. 유일에너테크 340930   현재주가>>>

1-1 현대차 전고체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현대차그룹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장비 단독 수주

 현대자동차가 발주한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조립공정 장비를 단독으로 수주했습니다. 2023년 말 경쟁 입찰을 통해 현대차의 조립공정 장비 전체를 턴키 방식으로 공급하기로 했으며, 경쟁사 대비 기술성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 기술 개발 투자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2차전지 조립 공정 장비를 공급해 온 기업으로, 최근 전고체 배터리 관련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래 배터리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 계획과의 연계성

현대차그룹이 2030년을 전후로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일에너테크의 장비 공급은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현대차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유일에너테크는 지속적인 수주와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1-2 사업특징

2차전지 제조 핵심 장비 생산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공정의 핵심 장비인 Notching, Stacking, Tab welding기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Notching기의 경우, 최근 개발 완료된 신규 장비를 통해 각형 배터리 및 5G 스마트폰용 소형 배터리 제작에도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높은 기술력과 생산 능력

 2022년 세계 최초로 장폭형 노칭장비를 개발하여 업계 최고 수준의 생산속도(300ppm)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고객사 확보

SK온을 비롯한 국내 주요 배터리 제조사뿐만 아니라, 노르웨이의 모로우(Morrow)와 같은 해외 기업에도 장비를 수주하며 고객 다변화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회사의 안정적인 성장과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1-3 사업계획

생산능력 대폭 확대

 전방 산업의 성장과 고객사 물량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증설을 진행 중입니다. 기존 CAPA 700억 대비 약 4배에 이르는 규모로, 신공장 준공 시 총 3,000억원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늘어나는 수주에 대응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일 계획입니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 진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전문업체인 재영텍에 100억원을 투자했습니다. 이를 통해 폐 리튬이온전지와 원소재인 폐 양극활물질 회수 기술을 확보하고, 소재 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수소연료전지 장비 시장 진출

2차전지 장비 제조 외에도 수소연료전지 장비 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국내 수소연료전지 생산 업체인 두산퓨얼셀에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소재 촉매코팅 양산장비를 납품하며 새로운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 장비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현대차-전고체-배터리

 

 

2. 이수스페셜티케미컬 457190   현재주가>>>

2-1 현대차 전고체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황화리튬(Li2S) 생산 기술 보유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황화리튬 생산에 성공했습니다. 황화리튬은 전고체 배터리의 고체전해질 원료로 사용되며,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주행 거리를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내외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 구축

에코프로비엠,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희성촉매, 미국 솔리드 파워 등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시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데모플랜트 증설 완료

최근 Li2S 데모플랜트 증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이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한 Li2S의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고, 향후 대규모 상업공정의 기술표준을 확보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2-2 사업특징

다양한 정밀화학 제품 포트폴리오

TDM, NOM/NDM, D-Sol, IPA 등 다양한 정밀화학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TDMABS/SBR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첨가제로, 중국을 중심으로 한 ABS 생산능력 증가와 국내외 SBR 생산 기업들의 높은 가동률 유지로 인해 안정적인 수요가 예상됩니다.

전고체 배터리 소재 사업 진출

앞서 언급한 황화리튬 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전고체 배터리 소재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이는 기존의 정밀화학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수엑사켐과의 합병을 통한 사업 확장

최근 이수엑사켐의 정밀화학 사업부문을 흡수합병했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 판매조직과 인력을 강화하고, 제품의 생산과 유통을 일원화하여 경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2-3 사업계획

황화리튬 상업공장 건설

경상북도 및 구미시와 황화리튬 상업공장 건설을 위한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이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 소재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에 희석제를 공급하는 신사업에 진출했습니다. 이는 배터리 시장의 성장과 함께 증가하는 폐배터리 처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전고체 배터리 소재 생산능력 확대

2024년부터 2025년 사이에 전고체 배터리 소재인 황화리튬의 첫 성과물 창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단계적으로 데모플랜트를 증설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첫 번째 상업 플랜트를 구축하고 생산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현대차-전고체-배터리

 

 

 

3. 레이크머티리얼즈 281740   현재주가>>>

3-1 현대차 전고체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 생산 기술 보유

 자회사인 레이크테크놀로지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황화리튬(Li2S) 생산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이 기술은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규모 생산 설비 구축

세종시 미래산업단지에 연간 120톤 규모의 황화리튬 생산 설비를 구축했습니다. 이는 전고체 배터리 시장이 본격화될 때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글로벌 배터리 업체와의 협력 관계

국내외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대형 배터리 업체들과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한 협력을 진행 중입니다.

3-2 사업특징

반도체 소재 분야의 선도적 위치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고순도 유기금속 화합물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High-K 전구체 분야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들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소재 시장에서의 강세

태양전지 제조에 사용되는 TMA(트리메틸알루미늄)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한 태양광 시장의 급성장으로 인해 이 분야에서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석유화학 촉매 사업의 확대

메탈로센 촉매 분야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MAO(메탈로센 조촉매)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외 석유화학 기업들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3-3 사업계획

전고체 배터리 소재 사업 확대

 2027년을 목표로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의 본격적인 양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연간 120톤 규모의 생산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수요 증가에 따라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반도체 소재 사업 강화

 High-K 전구체 시설 투자를 통해 반도체 소재 사업을 더욱 강화할 예정입니다. 20239월까지 세종 2공장에 140억 원을 투자하여 생산 설비를 증설했으며, 이를 통해 연간 200억 원 규모의 추가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미국, 중국 등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주요 석유화학 기업과 MAO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현대차-전고체-배터리

 

 

4. 한농화성 011500   현재주가>>>

4-1 현대차 전고체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개발 참여

 20219월부터 국책과제인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 기술과 상용화 기술 개발'의 주관기업으로 선정되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한국화학연구원과 LG화학도 함께 참여하고 있어, 기술 개발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고체 전해질 관련 기술력 보유

오랜 기간 화학 산업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체 전해질 개발에 필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고체 전해질 개발에 주력하고 있어, 향후 시장 확대 시 수혜가 예상됩니다.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LG화학 등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및 상용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4-2 사업특징

다양한 화학 제품 포트폴리오

글리콜에테르, 계면활성제, 특수산업용 유화제 등 다양한 정밀화학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화된 제품 라인업은 회사의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

 최근 FM(기능성 모노머), 글라임 등 첨단화학제품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는 수익성 개선과 함께 기술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정적인 거래처 확보

LG화학, 켐트로닉스, 롯데케미칼 등 400개 이상의 거래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넓은 고객 기반은 회사의 안정적인 매출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4-3 사업계획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개발 가속화

전고체 배터리용 전해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국책과제를 통해 기술력을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입니다.

해외 시장 확대

아시아 및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해외 파트너십 강화와 현지 맞춤형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제품 라인업 강화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하여 한농화성은 친환경 제품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중요한 전략입니다.

현대차-전고체-배터리

 

 

5. 대주전자재료 078600   현재주가>>>

5-1 현대차 전고체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 개발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황화리튬 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황화리튬은 전고체 배터리의 고체 전해질로 사용되는 중요한 물질입니다. 회사는 이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실리콘 음극재 기술 보유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음극재는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회사는 이 기술을 바탕으로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과의 협력 가능성

현대차그룹이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주전자재료의 기술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회사의 실리콘 음극재 기술이 현대차그룹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5-2 사업특징

다양한 전자재료 포트폴리오

전도성 페이스트, 태양전지 전극재료, 형광체 재료 등 다양한 전자재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화된 사업 구조는 회사의 안정적인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음극재 양산 능력

 2019년부터 국내에서 유일하게 실리콘 음극재를 양산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주전자재료가 배터리 소재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에 주력하여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5-3 사업계획

실리콘 음극재 생산능력 확대

2024년까지 실리콘 음극재 생산능력을 1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더 나아가 2026년까지는 2만 톤 규모로 증설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대주전자재료는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고객사 다변화 및 신규 차종 확대

 2025년을 기점으로 실리콘 음극재 고객사 다변화 및 탑재 차종 확대를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회사는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 가속화

전고체 배터리용 소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황화리튬 등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 개발에 집중하여 미래 배터리 시장에서의 선도적 위치를 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

 

중국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주 5종목

중국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주는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관련 추가 수출 규제 예고에 맞서, 희토관리조례를 시행하는 등 전략 광물에 대한 대미 수출 통제에 맞서면서, 중국이 자원 무기화로 맞

intap365.com

 

 

LG엔솔 벤츠 2차전지 계약 관련주 6종목

LG엔솔 벤츠 2차전지 계약 관련주는 LG에너지솔루션이 2028년부터 2038년까지 북미 및 기타 지역의 벤츠 계열사와 50.5기가 와트시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는데, 계약

intap365.com

 

 

전기차 관련주 6종목(테슬라 3분기 호실적)

전기차 관련주(테슬라 3분기 호실적)는 테슬라가 3분기 전기차 인도량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것으로, 인도량이 약 47만인데, 이것은 전년동기 대비 약 8% 증가한 수치라는 소식에 전기차 관련주

intap365.com

 

 

현대차-전고체-배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