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종목

티에스아이 1천억원 수주 소식에 상승한 2차 전지 장비 관련주 5종목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2. 23.

2차 전지 장비 관련주

미국 애리조나 지역에서 1000억 원 수주잔고 확보

2차 전지 장비 관련주는 티에스아이가 미국, 러시아 등지를 중심으로 2차 전지 제조시 공급하는 믹싱 시스템 분야에서 5000억 원 규모의 수주 잔고를 확보했다는 소식에 장중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티에스아이는 제일엠앤에스, 윤성에프엔씨와 함께 국내 3대 믹싱 장비업체로 꼽힙니다. 

2차 전지 장비 관련주 관련 기사 바로 보기>>>

 

티에스아이, 美 애리조나 2차전지 수주 소식에 ↑[특징주]

이차전지 설비 전문업체 티에스아이(277880)가 강세를 보인다. 시총의 5배에 달하는 약 5000억원 수준의 수주잔고를 중심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란 전망에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www.edaily.co.kr

2차 전지 장비 관련주 목차 

1. 포스코스틸리온

2. 한농화성

3. 금양

4. 윤성에프앤씨

5. 포스코인터내셔널 

 

오늘의 최신테마

 

1. 포스코스틸리온 058430    현재주가>>>

1-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그룹 내 2차 전지 소재 사업과의 시너지

포스코스틸리온은 포스코 그룹의 계열사로, 2차 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음극재 생산에 특화된 포스코퓨처엠과의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그룹 차원에서 2030년까지 양극재 생산량을 42만 톤으로 확대한다는 목표 아래, 배터리 모듈 및 셀 보호용 고강도 강판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이는 포스코스틸리온의 제품군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형성합니다.

배터리 모듈용 스테인리스강 기술 경쟁력

배터리 모듈 케이스에 적용되는 스테인리스강(STS304)은 기존 알루미늄 대비 내열성(1,450)과 강도(1mm²당 100kg 하중 견딤)에서 우수성을 보입니다. 특히 포스코스틸리온의 GIGA 스틸은 10톤급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는 특성으로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며, 해당 제품은 2024년 기준 글로벌 전기차 메이커에 납품되고 있습니다.

재무적 안정성과 저평가된 밸류에이션

2024년 말 기준 시가총액 2.4조 원 대비 PER 9.1, PBR 0.5배로 동종 업계 평균(PER 13, PBR 1.6) 대비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특히 2023년 영업이익 5,190억 원(전년 대비 69.6% 증가)을 기록하며 수익성 개선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2차 전지 산업 성장에 따른 수혜 가능성을 반영합니다.

1-2 사업특징

고부가가치 코팅강판 전문 생산

열연강판에 아연/알루미늄 도금을 적용한 코팅강판은 자동차 외장재, 가전제품 등에 활용됩니다.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68%를 차지하며,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제품군으로 현대모비스, 삼성전자 등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포스코 그룹의 수직계열화 전략 통합

원자재 조달부터 제조/가공/유통까지 포스코의 인프라를 활용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예를 들어,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생산된 열연코일을 자체적으로 가공해 15% 이상의 원가 절감 효과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 개발 가속화

2025년 상반기 중 수소환원제철(HyREX) 기술을 적용한 그린스틸 샘플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대비 탄소배출량을 70% 이상 감축할 수 있으며, 유럽 연계 프로젝트에 공급될 예정입니다.

1-3 사업계획

해외 시장 공략 확대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수요 증가에 대응해 2026년까지 멕시코 현지 공장 증설을 계획 중입니다. 특히 GM-Ultium 배터리 합작사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연간 50만 대 규모의 전기차 부품 납품 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소재-장비 사업 다각화

2차 전지 장비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믹싱장비(전해액 혼합 시스템) 시장에 진출합니다. 20243분기 기준 국내 시장 점유율 15%를 목표로 삼았으며, 500억 원 규모의 R&D 투자를 통해 기술 로드맵을 수립 중입니다.

ESG 경영 체계 고도화

2030년까지 Scope 1·2 탄소배출 제로화를 목표로 그린수소 연료전지 도입을 확대합니다. 20244분기부터 포항공장에 10MW급 수소연소로를 시범 운영하며,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현재 12%에서 35%까지 상승시킬 계획입니다.

2차 전지 도요타 납품

 

2. 한농화성 011500    현재주가>>>

2-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소재 개발 참여

한농화성은 20219월 시작된 국책과제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 기술과 상용화 기술 개발'의 주관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과 LG화학이 참여하는 이 프로젝트에서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인 전해질 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시 시장 선점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삼성전기 전고체 배터리 개발과의 시너지

20249월 삼성전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초소형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한농화성 주가가 13.76% 급등했습니다. 삼성전기의 기술 개발이 한농화성의 전해질 소재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협력 강화

20244월 독일 화학기업 바스프와 합작사 '바스프 한농화성 솔루션스'를 설립했습니다. 양사는 253억 원 규모의 투자로 고품질 비이온 계면활성제 생산라인을 확보하며, 전고체 배터리 소재 분야에서 기술 협력을 심화하고 있습니다.

2-2 사업특징

정밀화학제품 중심의 제품 포트폴리오

글리콜에테르(반도체 세정용), 계면활성제(화장품 원료), 특수산업용유화제(페인트 첨가제)가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합니다. 특히 반도체 산업 호조로 글리콜에테르 수요가 202412% 증가하며 실적 견인 중입니다.

반도체·전자 산업과의 밀접한 연계

LG화학, 롯데케미칼, 켐트로닉스 등 400여 개 거래처를 통해 정밀화학제품을 공급하며, 반도체 업황에 따른 수익 변동성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20243분기 반도체 부문 매출 비중이 45%로 확대되었습니다.

연구개발 투자 확대

군산·안양 연구소에 15명의 전담 인력을 배치해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4R&D 예산을 전년 대비 22% 증액하며 첨단화학제품(FM, 글라임) 비중을 30%까지 끌어올렸습니다.

2-3 사업계획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가속화

2026년까지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소재 양산을 목표로 한국화학연구원과 공동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시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LG화학과의 테스트 협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

아시아(중국, 베트남)와 유럽(독일)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매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바스프와의 합작을 통해 유럽 시장 진출 교두보를 마련했으며, 20252분기 중 동남아 현지 법인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환경 친화적 사업 구조 전환

2025년까지 생산 공정의 탄소 배출량을 15% 감축하고, 친환경 소재 매출 비중을 50%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2003년 환경부 우수환경업체 인증을 기반으로 ESG 경영을 강화하며, 재활용 원료 사용률을 30%까지 상향할 방침입니다.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3. 금양 001570    현재주가>>>

3-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윤성에프앤씨와의 전략적 협력 관계

20245, 윤성에프앤씨는 금양과 375억 원 규모의 2차 전지 믹싱시스템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티에스아이, 제일엠앤에스와 함께 국내 3대 믹싱 장비업체로 분류되는 윤성에프앤씨의 협력사라는 점에서 금양은 간접적으로 2차 전지 장비 산업과 연결되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금양을 테마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② 22차 전지 원통형 배터리 개발 추진

금양은 20243월 국내 최초로 4695 원통형 배터리 개발을 완료했습니다. 이 배터리는 테슬라의 4680 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거리 확장과 급속충전 성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차 전지 산업 내 기술 혁신에 대한 기대감이 금양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향후 양산 계획에 대한 기대

금양은 부산 기장군에 제2공장을 건설 중이며, 20256월부터 4695 배터리 양산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티에스아이의 해외 수주가 배터리 공장 설비 수요 증가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금양의 생산 역량 확대도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3-2 사업특징

발포제 기반 화학 사업에서 2차 전지로의 전환

1955년 설립된 금양은 원래 합성수지 발포제 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2차 전지 사업 다각화를 통해 발포제 매출 비중을 점차 줄이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100%가 발포제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전환을 시도 중입니다.

원통형 배터리 기술 경쟁력

4695 배터리는 지름 46mm, 높이 95mm의 대형 원통형 구조로, 기존 21700 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를 31% 향상했습니다. 이는 전기차 주행거리 확장과 배터리 팩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금양은 미국 미시간 디트로이트 경제개발청, 중국 및 유럽 기관과 기술 협력 미팅을 진행 중입니다. 특히 20246월 부산 모빌리티쇼에서는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금양 부스를 방문해 4695 배터리 장착 차량을 시연하며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습니다.

3-3 사업계획

4695 배터리 양산 체계 구축

202512170 배터리 양산을 시작한 뒤, 같은 해 6월부터 4695 배터리 생산 라인을 가동할 예정입니다. 2공장 완공 시 연간 1억 셀 규모의 생산 능력을 확보해 글로벌 시장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해외 공장 설립을 통한 시장 확대

북미와 유럽 지역에 배터리 생산 거점을 구축하기 위해 미국 미시간주 및 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협의 중입니다. 이를 통해 현지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테슬라 등 주요 고객사 유치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수소연료전지 사업 진출

자회사 금양이노베이션을 통해 수소연료전지용 백금 촉매 개발에 나섰습니다. 초미세나노입자 제조 기술을 활용해 MEA(전극막 접합체) 및 스택 제작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완성차 로봇 투입

 

4. 윤성에프앤씨 372170   현재주가>>>

4-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믹싱 장비 시장 선두 주자

윤성에프앤씨는 22차 전지 생산 공정의 첫 단계인 믹싱 장비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03년부터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주요 배터리 업체에 장비를 공급해 왔으며, 2022년 기준 글로벌 최초 4,000리터급 대형 믹싱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생산 효율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고객사 다변화 전략

과거 주요 매출의 80% 이상이 국내 대기업에 집중되었으나, 최근 중국 및 유럽 시장 진출을 통해 고객 기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주요 고객사 비중이 60%로 감소했으며, 2025년에는 55%까지 낮아질 전망입니다. 이는 수익 구조의 안정성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재무적 안정성

퀀트 재무 점수 34.07점으로 동종 업계 내 상위 18위를 기록하며, 특히 ROE(자기자본이익률)가 57.3%에 달합니다. 2024년 매출액 2,495억 원(-20.3% YoY), 영업이익 227억원227억 원(-24.6% YoY)으로 일시적 감소세를 보였으나, 차세대 장비 수주로 2025년 실적 반등이 예상됩니다.

4-2 사업특징

① 22차 전지 전공정 특화

주력 사업인 믹싱 시스템은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초기 공정으로, 원료의 균일한 혼합이 필수적입니다. 20252월 현재 전 세계 2차 전지 믹싱 장비 시장 점유율 약 35%를 차지하며, 특히 고점도 소재 처리 기술에서 독자적인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속식 공정 기술 개발

기존 배치식 대비 생산성 30% 향상된 연속식 습식 믹서를 2023년 상용화했으며,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했습니다. 이 기술은 LG에너지솔루션 울린 제2공장과 SK온 헝가리 공장에 적용되며 시장 반응이 긍정적입니다.

R&D 투자 확대

20251월 기준 연구개발비가 매출의 7.2%를 차지하며, 특히 건식 전극 공정 장비 개발에 총 12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한국기계연구원과 공동으로 진행 중인 이 프로젝트는 2027년 완료 시 기존 대비 에너지 밀도 15% 향상 효과가 기대됩니다.

4-3 사업계획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

20253월 독일 뮌헨에 유럽 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며, 현지 파트너사와 협력해 2026년까지 유럽 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북유럽 지역의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수요 증가에 대응한 맞춤형 장비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기술 상용화

20254분기 중 차세대 건식 코터 장비 시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전극 제조 시 유해 용제 사용을 90% 이상 줄일 수 있어 환경 규제 강화 추세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수직 계열화 확장

2025년 하반기 중 전극 소재 사업 진출을 검토 중이며, 이를 위해 충북 오송에 연면적 3,300규모의 신공장 건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자체 소재 개발과 장비 공급의 시너지를 통해 마진율 5%p 향상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5.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현재주가>>>

5-1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친환경 모빌리티 사업의 포트폴리오 확장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기차 구동모터 코어 및 감속기 부품 공급을 통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북미와 유럽 완성차 기업과 총 1조 1,6001,600억 원 규모의 영구자석 수주를 확정하며 전기차 부품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습니다. 특히 자회사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을 통해 누적 수주액 2조 원을 돌파한 점은 시장 신뢰도를 반영합니다.

2차 전지 재료 사업의 역량 강화

그룹 내 협력을 통해 리튬, 니켈, 흑연 등 2차 전지 핵심 원재료의 광산 개발부터 양극재·음극재 생산, 재활용까지 수직 계통화를 추진 중입니다. 2024년 말 기준 연간 생산량을 10배 증가시킨 35만 톤 규모로 확대한다는 계획은 향후 시장 수요 증가에 대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됩니다.

에너지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

LNG 터미널 및 발전 사업에서 축적한 인프라를 2차 전지 생산과 연계하고 있습니다. 20241분기 LNG 터미널 가동률이 전년 대비 14%p 상승한 50.1%를 기록하며, 저렴한 연료 조달로 전기차 부품 생산 원가 경쟁력을 확보 중입니다. 또한 탄소 포집(CCUS) 및 수소 사업 투자로 청정에너지 생태계 구축을加速하고 있습니다.

5-2 사업특징

글로벌 공급망 기반의 통합 비즈니스 모델

에너지·철강·모빌리티 분야에서 광산 개발부터 제품 생산·유통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수직 계통화를 실현했습니다. 미얀마 가스전과 호주 센텍스 에너지의 E&P 사업을 통해 원자재 안정적 조달이 가능하며, 북미·유럽 현지법인을 통한 현지화 전략으로 글로벌 고객사 니즈에 신속히 대응하고 있습니다.

재무 건전성과 주주 가치 향상 정책

20246월 말 기준 ROE(자기자본이익률) 9.2%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입증했습니다. 2025년부터는 주주환원율을 50%로 확대하고 중간 배당을 도입하는 등 주식 시장 신뢰 회복에 집중 중입니다. 특히 2024년 말 기준 PER 13.1, PBR 1.3배로 일본 종합상사 대비 43% 낮은 평가를 받아 저평가 종목으로 분석됩니다.

그룹사 협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

POSCO 그룹의 철강·에너지·모빌리티 사업과의 전략적 연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포스코홀딩스의 저탄소 철강 공정과 연계한 에너지 절감형 생산라인 구축, 포스코에너지와의 수소 사업 협업 등을 통해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입니다.

5-3 사업계획

2차 전지 재료 사업의 글로벌 확장

2030년까지 양극재·음극재 연간 생산량을 35만 톤으로 확대하고,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본격 진출할 계획입니다. 아시아·북미·유럽에 생산 거점을 구축해 지역별 수요 변화에 대응하며, 2026년부터는 베트남 현지 공장 가동을 통해 원가 절감 효과를 노립니다.

전기차 부품 생산 역량 강화

트랙션 모터 코어 분야에서 2035년까지 6800억 원을 투자해 연간 1000만 대 생산 체계를 완성할 예정입니다. 폴란드와 멕시코 신규 공장 건설을 통해 글로벌 OEM 납품 경쟁력을 높이고, 프랑스 기업과의 수소차용 전력 변환 장치 공급 협약(1000억 원 규모)으로 기술력 우위를 입증했습니다.

청정에너지 생태계 구축

탄소 포집(CCUS) 분야에서 미국 텍사스와 말레이시아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상용화 기술을 확보 중입니다. 아부다비 국영석유사(ADNOC)와의 수소 연료 개발 협력으로 2025년 중동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으며, LNG 터미널 확장(20267·8호기 준공)을 통해 에너지 사업의 수익성 개선에 주력합니다.

 

반도체 유리 기판 관련주 5종목, 삼성·SK·LG 경쟁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는 인공지능 AI 성장에 따라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 효율에 최적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꿈의 기판'이라고 불리는 유리기판 기술력 확보를 위해

intap365.com

 

 

美 데이터센터 전력설비 관련주 6종목, 관세는 기회

관세협정 미국 내 공장 증설 유도, 관세는 기회전력설비 관련주는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이 '일렉스 코리아 2025'에서 미국 빅테크 기업의 테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수주 단계에 있다고 밝혔으며,

intap365.com

 

 

테슬라 휴머노이드 관련주 5종목, 모건스탠리 800달러 예상

휴머노이드 최선호 기업으로 선정 테슬라 휴머노이드 관련주는 모건스탠리가 테슬라를 휴머노이드 최선호 기업으로 선정하면서 주가가 장기적으로 800달러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

intap365.com

 

오늘의 테마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