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종목

중화권 재유행 코로나19 관련주 6종목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5. 20.
반응형

재유행 코로나19 관련주

재유행 코로나19 관련주는 중화권 재확산 소식에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홍콩에서는 최근 한 달간 코로나19 사망자 30명 발생 및 양성률 13.66%로 급증했으며, 싱가포르도 확진자 수가 전주 대비 28% 증가하며 우려가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수젠텍(29.95%), 셀리드(21.3%), 멕아이씨에스(20.9%) 등 진단키트·의료기기 업체들이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니파바이러스 확산 가능성도 동시에 부각되었습니다. 특히 중국 내 백신 미접종 어린이 증가와 기저질환자 위중증 사례가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치며 테마주 집중 매수로 이어졌습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중화권 코로나19 재확산 조짐…홍콩서 한달간 30명 사망

 

중화권 코로나19 재확산 조짐…홍콩서 한달간 30명 사망

중국 본토와 홍콩, 싱가포르 등 중화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7일 전했다.홍콩 보건 당국에 따르면 최근 …

www.donga.com

 

재유행 코로나19 관련주 목차 

1. 수젠텍

2. 셀리드

3. 멕아이씨에스

4. 진원생명과학

5. 랩지노믹스

6. 휴마시스

1. 수젠텍

현재주가 및 뉴스 확인하기>>>

1-1. 수젠텍이 코로나19 관련주로 주목받은 3가지 구체적 이유

신속진단키트의 다국가 허가 및 공급 확대

수젠텍은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A/B)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SGTi-flex COVID-19 & Flu A/B Ag DUO'**를 개발해 멕시코, 캐나다, 태국 등에서 허가를 획득했습니다. 20251월 멕시코 보건당국 승인 이후 현지 유통사와의 협력을 통해 공급망을 확장 중이며, 특히 겨울철 호흡기 질환 증가가 예상되는 지역을 타깃으로 한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화권 호흡기 감염병 재확산에 따른 수요 급증

2025년 초 중국과 홍콩에서 코로나19 양성률이 13.66%로 급증하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등 호흡기 질환도 동반 확산되었습니다. 이에 수젠텍의 신속진단키트 수출 기대감이 반영되어 주가가 20% 이상 상승한 바 있습니다. 증권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내 백신 미접종 어린이 증가와 기저질환자 위중증 사례가 진단제품 수요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팬데믹 기간 축적된 현금을 활용한 신사업 투자

코로나19 특수를 통해 확보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치매 진단기술 개발 및 펨테크(Femtech) 사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412월 프로메디젠에 20억 원을 투자해 단백질 인산화 기술을 결합한 혁신형 진단 솔루션 개발에 나섰으며,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2. 수젠텍의 대표적 사업 특징 3가지

체외진단 플랫폼 기술의 다각화

수젠텍은 다중면역블롯, 현장진단(POCT), 디지털 헬스케어 3가지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1월 출시한 '슈얼리 스마트'는 모바일 앱과 연동해 여성 호르몬을 진단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으로, 미국 FDA 허가를 획득하며 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전략

국내를 넘어 멕시코, 캐나다, 태국 등 10개 이상의 국가에서 진단키트 허가를 취득했으며, 현지 유통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공급망을 확장 중입니다. 20249월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받은 허가는 규제가 엄격한 선진국 시장 진입의 신호탄으로 해석됩니다.

펨테크 분야의 선제적 투자

여성 호르몬 자가진단 키트 '슈얼리' 시리즈를 통해 국내 펨테크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0258월 리뉴얼 버전 출시와 미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으며, 글로벌 펨테크 시장 규모가 202780조 원에 달할 전망이라는 점에서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1-3. 수젠텍의 주요 사업계획 3가지

혁신형 치매 진단기술 상용화

20251월 프로메디젠과 공동으로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위한 단백질 과인산화 기술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양사는 진단 키트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치료제 개발까지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며, 기술 지식재산권의 80%를 수젠텍이 보유합니다.

알레르기 진단 시장 공략

중소벤처기업부의 '글로벌 강소기업 1000+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2027년까지 18억 원을 지원받아 국가별 맞춤형 알레르기 진단 패널을 개발합니다. 중국 시장을 시작으로 유럽 진출을 목표로 하며, 기존 제품 대비 검체량을 1/8로 줄인 기술 경쟁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결핵·치주질환 진단키트 사업 확대

혈액을 검체로 사용하는 결핵 진단키트는 기존 객담 검체 방식보다 편리성과 정확도에서 우위를 점합니다. 2024년 말 WHO 입찰을 위한 전략을 수립 중이며, 치주질환 진단 분야에서도 국내 최초 플랫폼 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1-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코로나19 이후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로 리스크 분산 가능

20251분기 기준 6,420원의 주가는 PBR 1.62로 저평가 영역에 위치

글로벌 진단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 확보

2. 셀리드

현재주가 및 뉴스 확인하기>>>

2-1. 셀리드가 코로나19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이유

오미크론 대응 백신의 임상 3상 진행

셀리드는 현재 오미크론 변이주에 특화된 'AdCLD-CoV19-1 OMI' 백신의 글로벌 임상 3상 시험을 진행 중입니다. 20245월 기준으로 필리핀과 베트남에서 4,000명의 대상자 중 2,310명에게 투여를 완료했으며, 10월 말까지 전체 투여를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이는 국내 유일의 변이 대응 백신 개발 사례로, 국가예방접종사업(NIP) 참여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기대됩니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 기술의 경쟁력

셀리드의 백신은 mRNA 대비 낮은 원가와 냉장 보관(4)이 가능한 기술적 강점을 갖추었습니다. 특히 중국·일본 등에서 복제 불능 아데노바이러스 대량생산 기술 특허를 등록하며 해외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플랫폼은 변이주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향후 팬데믹 재유행 시 신속한 백신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정부 지원 및 국가 백신 주권 확보 기대

질병관리청은 2024~2025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고위험군 대상 무료 접종을 확대했습니다. 셀리드는 국내 백신 수입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에 부합하며, 2025년 조건부 허가 신청을 통해 매년 변이 백신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이는 장기적인 수요 창출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2-2. 셀리드의 대표적 사업 특징

백신 플랫폼 기술의 다각화

셀리드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Ad5/35) 기반으로 코로나19뿐만 아니라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개발에도 기술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46월 서울대학교와 고병원성 인체감염 조류독감 백신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하며 플랫폼의 활용 범위를 넓혔습니다.

CDMO 사업의 성장 가능성

2020년 완공된 GMP 센터를 기반으로 CAR-T,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등 개인 맞춤형 치료제 위탁생산을 진행 중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집중하며, 2024년 상반기 국내외 10개 이상의 기업과 협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항암 면역치료제 파이프라인

자궁경부암 치료제 'BVAC-C'의 경우 2024년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병용투여 임상 중간결과를 발표하며 주목받았습니다. 33명의 환자 중 38%에서 객관적 반응률을 보였으며, 2025년 상반기 임상 2b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3. 주요 사업 계획 및 전략

코로나19 백신의 상용화 가속

20243분기 내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조건부 허가 신청을 준비 중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의를 통해 신규 변이주에 대한 긴급사용승인(EUA) 획득도 계획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 매년 정부에 백신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필리핀·베트남에서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동남아 시장 공략에 나섭니다. WHO의 긴급사용승인 목표를 설정했으며,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방침입니다.

항암치료제 사업의 본격화

BVAC-C의 임상 성과를 바탕으로 두경부암 치료제 'BVAC-E6E7'IND 신청을 2024년 하반기 중 완료할 예정입니다. 항암백신 플랫폼 'CeliVax' 기술을 확장해 혈액암·고형암 치료제 개발로 사업 영역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2-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셀리드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통해 국내 백신 주권 확보에 기여할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플랫폼 기술과 CDMO 인프라를 바탕으로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했으나, 2024년 상반기 기준 매출 부재와 유상증자에 따른 희석 위험은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강점

  • 변이주 대응이 빠른 백신 플랫폼 보유
  • 국가적 지원 수혜 가능성
  • 항암치료제 파이프라인의 다각화

주의 요인

  • 임상 결과 불확실성 및 경쟁사 대비 늦어진 상용화 시기
  • 유상증자로 인한 주가 변동성

현재 주가는 20255월 기준 단기 과열迹象을 보였으나, 장기적으로는 백신 상용화 성공 여부가 최대 변수입니다. 전문가 리포트에 따르면, 성공적인 임상 3상 완료 시 시가총액 5,000억 원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신존 코로나19 관련주

3. 멕아이씨에스

현재주가 및 뉴스 확인하기>>>

3-1. "멕아이씨에스"가 코로나19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 이유

 국내 유일 인공호흡기 전문 기업

멕아이씨에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의료용 인공호흡기를 개발 및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중증 환자 치료를 위한 인공호흡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정부 및 해외 기관으로부터 대규모 수주를 이어갔습니다. 예를 들어, 2025 1월 중국 내 호흡기 질환자 증가 시 인공호흡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실적을 견인한 바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동사는 폴란드, 멕시코, 인도 등 20여 개국에 인공호흡기를 수출하며 해외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습니다. 2025 2월 두바이에서 개최된 'Arab Health 2025'에 참가해 중동 및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네트워크를 강화했으며, 현지 지사 설립을 통해 현지화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신종 감염병 대응 기술력

코로나19뿐만 아니라 니파바이러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등 호흡기 질환 확산 시에도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기술 기반을 보유했습니다. 2025 3월 발표된 증권리포트에 따르면, 고유량 호흡치료기(HFT700)와 이동형 원격진료 시스템 개발로 향후 감염병 재유행 시장 대응 능력을 입증받았습니다.

3-2. 멕아이씨에스의 대표적 사업 특징

 호흡치료기기 포트폴리오 다각화

기업보고서에 따르면, 인공호흡기(MTV 시리즈)와 비침습적 호흡치료기(HFT700)를 병행하며 시장 니즈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HFT700 2025년 미국 FDA 승인을 획득했으며, 기존 장비 대비 환자 맞춤형 치료 기능을 강화해 의료진으로부터 호평을 받았습니다.

 R&D 투자를 통한 기술 경쟁력 확보

2025 4월 기준, 전체 매출의 15%를 연구개발에 투자해 고빈도 인공호흡 기술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중입니다. 특히 중증 환자 데이터 분석을 위한 AI 플랫폼 도입으로 치료 효율성을 개선했으며, 이는 국내외 병원 납품 계약 시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최적화

인도 뭄바이와 멕시코에 현지 공장을 설립해 부품 조달부터 제조까지 일관 생산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2025 5월 발표된 기사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 전략 덕분에 글로벌 물류 차질 시에도 안정적인 제품 공급이 가능해졌습니다.

3-3. 멕아이씨에스의 주요 사업계획

 미국 시장 본격 진출

2025 3분기 중 미국 FDA 승인을 목표로 호흡치료기 HFT750 양산을 준비 중입니다.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북미 지역 대리점과의 판매 계약을 통해 연간 200억 원 규모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중국 내 시장 점유율 확대

중국 산동성에 위치한 현지 법인을 통해 현지 의료기기 인증(CFDA)을 완료했습니다. 2025 4월 기준, 중국 내 500개 병원에 인공호흡기 납품을 진행 중이며, 향후 3년 내 시장 점유율 1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신제품 라인업 강화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스마트 호흡모니터링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해 환자 상태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해당 제품은 이미 싱가포르 보건당국으로부터 기술 검증을 받은 상태입니다.

3-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멕아이씨에스는 코로나19를 기점으로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 입지를 다진 기업입니다. 최근 3년간 평균 매출 성장률 120%를 기록했으며, 2025 1분기 기준 영업이익률 45%로 업종 평균(25%)을 크게 상회합니다. 다만, 팬데믹 종식 후 수요 감소 리스크와 경쟁사 증가 가능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투자 포인트

  • 단기: 중국 및 동남아 호흡기 질환 재유행 대응 수혜
  • 중장기: 미국 FDA 승인 제품의 해외 매출 확대
  • 기술력: AI·원격 진료 융합 기술을 활용한 시장 선점

 

4. 진원생명과학

현재주가 및 뉴스 확인하기>>>

4-1. 진원생명과학이 코로나19 관련주로 주목받는 구체적인 이유

DNA 기반 코로나19 백신 개발 진행

진원생명과학은 자체 개발한 DNA 백신 'GLS-5310'을 통해 코로나19 대응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9월 국내 특허청으로부터 코로나19 예방용 백신 조성물에 대한 특허를 등록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으며, 비강 및 피내 접종 시 오미크론 변이 감염 예방 효과를 확인한 임상 결과를 논문으로 투고한 바 있습니다. 이는 기존 mRNA 백신과 차별화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플라스미드 DNA 생산 역량 보유

진원생명과학의 미국 자회사 VGXI는 플라스미드 DNA 위탁생산(CDMO) 분야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플라스미드 DNAmRNA 백신의 핵심 원료로, 최근 수트로 바이오파머와의 항체약물접합체(ADC) 항암제 생산 계약 체결 등 실적 개선 가능성이 부각되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VGXI의 생산량 확대를 위한 시설 투자가 진행 중이며, 이는 코로나19 백신 수요 증가에 대비한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신변종 바이러스 대응 기술 확보

코로나19 외에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 백신 'GLS-5140'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202410월 중국과 일본에서 SFTS 백신 관련 특허를 등록하며 기술력을 확장했으며, 이는 향후 신종 감염병 대응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작용합니다. 기사에 언급된 바에 따르면, 이러한 다각화된 백신 포트폴리오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4-2. 진원생명과학의 대표적인 사업 특징

핵산기반 백신 개발 플랫폼

DNA RNA 기반 백신 개발에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9월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GLS-5310'은 스파이크 단백질 외 ORF3a 단백질을 추가해 항체 및 T세포 면역반응을 동시에 유도하는 기술로 차별화되었습니다. 이는 기존 백신 대비 광범위한 변이 대응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글로벌 CDMO 사업 확장

미국 자회사 VGXI를 통해 유전자 치료제 및 mRNA 백신 원료 생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251월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23320억 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하며 생산량 확대를 위한 공장 증설을 추진 중입니다. 다만, 최근 완전자본잠식 위기 논란으로 인한 재무 리스크는 감안해야 합니다.

항염증 치료제 파이프라인 구축

코로나19 감염 억제를 위한 코스프레이 치료제 'GLS-1200'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31월 미국에서 해당 기술의 특허를 등록했으며, 현재 임상 2상 단계에서 환자 모집을 진행 중입니다. 이는 감염병과 염증 질환을 동시에 타겟팅한 접근법으로 평가받습니다.

4-3. 진원생명과학의 주요 사업계획

코로나19 백신 상용화 가속화

'GLS-5310'의 국내 임상 1/2a상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내 임상 3상 진입을 목표로 합니다. 202412월 중국 특허 등록을 완료하며 아시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보고서에 따르면 긴급사용승인 획득 시 매출 1,000억 원 돌파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CDMO 사업 다각화

플라스미드 DNA 생산 역량을 활용해 ADC(항체약물접합체) 치료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합니다. 20251월 수트로 바이오파머와 체결한 '루벨타맙 다제비불린' 임상용 플라스미드 공급 계약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이를 통해 mRNA 외 신기술 분야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미국·일본·중국을 중심으로 한 백신 기술 라이선싱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20244월 북마케도니아에서 코로나19 치료제 'GLS-1027'2상 임상승인을 획득한 데 이어, 2025SFTS 백신의 동남아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4-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 DNA 백신 플랫폼과 CDMO 인프라를 결합한 수직계통화 구조
  • 중국·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 코로나19 재유행 시 수혜 가능성
  • 2025년 2월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HKU5-CoV-2) 발견 시황에 따른 테마주 수요 증가

리스크

  • 20년 연속 영업적자 지속으로 인한 재무 건전성 취약
  • 미국 자회사 VGXI의 적자 누적으로 인한 그룹 차원의 자본잠식 우려
  • 경쟁사 대비 상용화 지연 가능성

투자 전략 제언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 재유행 테마에 따른 매수세를 활용한 트레이딩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20253분기 GLS-5310 임상 3상 결과와 VGXI의 수주 실적 발표를 주요 관찰 포인트로 삼아야 하며, 재무 개선 여부에 따라 투자 결정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진단키드 관련주

5. 랩지노믹스

현재주가 및 뉴스 확인하기>>>

5-1. 코로나19 관련주로 분류된 구체적 이유

다양한 코로나19 진단키트 포트폴리오

신속 항원 키트, 타액 PCR 자가진단키트,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 진단키트 3종을 개발해 시장 다각화에 성공.

특히 타액 기반 자가진단키트는 기존 침샘 검체 대비 편의성 강점을 지닌 점이 차별화 요소로 작용.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GMP 생산시설 구축

경기 화성 동탄에 자체 GMP 시설을 완료해 대량 생산 역량을 확보.

이를 바탕으로 20221,800만 회분의 진단키트를 해외에 공급하며 수출 역량 입증.

글로벌 공급망 구축 및 임상 경쟁력

코로나19 시기 미국 메릴랜드주 교육기관에 대규모 진단키트를 공급한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신뢰도 축적.

202210FDA 긴급사용승인을 획득한 실적이 해외 진출 시 유리한 요인으로 작용.

5-2. 대표적인 사업 특징

분자진단 분야 기술력 집약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산전 기형아 검사(NIPT) 서비스를 국내 최초 상용화.

PCR 검사와 면역화학 키트를 결합한 LabGun COVID-19 Assay 개발로 팬데믹 시기 매출 급증.

글로벌 진출을 위한 CLIA 랩 인수 전략

2023년부터 미국 내 4CLIA 랩을 인수하며 실험실 개발 검사(LDT) 시장 진출 가속화.

인수한 QDx 랩을 통해 2024600억 원 이상의 매출 예상.

DTC 유전자 검사 시장 독점적 위치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PGS) 분야에서 99% 점유율로 국내 시장 선점.

뱅크샐러드, 아모레퍼시픽 등과 협력해 연간 60만 건 이상의 검사 서비스 제공.

5-3. 핵심 사업 계획

미국 시장에서의 LDT 검사 확대

20243분기부터 실험실 개발 검사(LDT) 방식으로 미국 내 진단 서비스 전환 추진.

2차 클리아랩 인수를 통해 2025년까지 4개 랩 확보 목표.

GeneCheck 2.0 기반 유전자 검사 혁신

기존 대비 30% 향상된 정확도를 자랑하는 새로운 유전자 검사법 상용화.

AI 기반 진단 데이터 플랫폼과 연계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개발 중.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

AI 진단 서비스와 병리 검사 데이터를 결합한 통합 플랫폼 구축 계획.

국내외 병원과 협력해 수탁 분석 서비스 디지털 전환을 추진.

5-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강점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 NGSPCR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각화된 진단 포트폴리오와 미국 CLIA 랩 인수를 통한 시장 확장 잠재력.

재무 회복 가능성: 2024년 예상 매출 1,008억 원(전년 대비 +37.3%)과 영업이익 46억 원 전망.

리스크 요인

단기적 적자 압력: 20234분기 QDx 랩 인수 비용과 자회사 상각으로 영업이익 -99억 원 기록.

미국 규제 리스크: CLIA 랩 인수 시 FDA 승인 절차 지연 가능성 존재.

투자 전략

단기: 코로나19 재유행 소식에 따른 테마주 반등 수혜. 특히 중국 내 백신 접종률 저하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시 실적 개선 가능성에 주목.

장기: 미국 LDT 검사 시장 성장과 GeneCheck 2.0 기술 상용화로 2025년 이후 본격적 성장 기대. PBR 1.0배 수준의 저평가된 밸류에이션도 매력적.

6. 휴마시스

현재주가 및 뉴스 확인하기>>>

6-1. 휴마시스가 코로나19 관련주로 주목받는 3가지 구체적 이유

고성능 코로나19 진단키트 보유

휴마시스는 국내 최초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허가를 획득한 기업입니다. 2022년 발표된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휴마시스의 진단키트는 민감도 91.55%, 특이도 100%를 기록해 경쟁사 대비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습니다. 특히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검출 능력을 개선한 신제품은 남아프리카 현지 평가에서 93.3%의 민감도를 보이며 신속한 변이 대응 능력을 과시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휴마시스는 20228월 미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북미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캐나다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허가를 획득한 데 이어, 미국 FDA 승인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2023년 기준 70여 개국에 진단키트를 수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 및 수요 변동에 따른 수혜 가능성

최근 홍콩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재유행 조짐이 나타나자, 진단키트 수요 증가 기대감이 투자 심리에 반영되었습니다. 2025518일자 기사에 따르면, 중국 내 백신 미접종 어린이 증가와 기저질환자 위중증 사례 확대로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으며, 휴마시스도 이 흐름에 동참했습니다.

6-2. 휴마시스의 3대 사업 특징

POCT(현장진단) 분야의 전문성

휴마시스는 2000년 설립 이후 현장진단 분야에 특화된 기술력을 축적해왔습니다. 자동면역분석장비와 다중정량 검사시약 등 POCT 관련 제품군을 보유하며,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국내 최초 자가검사키트를 상용화해 시장 선점 효과를 거뒀습니다.

사업 다각화 전략

의료기기 사업 외에도 리튬 광산 개발이라는 신사업에 진출하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412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짐바브웨 리튬광산 개발 사업계획 수리 완료를 통해 자원 개발 본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기술 연구개발(R&D) 투자

20251월 발표된 기업 보고서에 따르면, 휴마시스는 매출 대비 15% 이상을 R&D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HIV 진단키트 성능 개선을 통해 1, 2, O형을 동시 검출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해 수출 허가를 획득했습니다.

6-3. 휴마시스의 주요 사업 계획

북미 시장 공략 심화

2025년 상반기 중 미국 FDA 승인을 목표로 코로나19 진단키트뿐만 아니라 독감·호흡기 바이러스 복합 검사 키트 출시를 준비 중입니다. 현지 법인을 통해 마케팅 네트워크를 확장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일 계획입니다.

리튬 광산 개발 본격화

짐바브웨 현지법인을 통해 리튬 함유 페그마타이트 광상 탐사를 진행 중이며, 2025년 말까지 다이아몬드드릴링 탐사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에 대비해 자원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진단키트 포트폴리오 확장

기존 코로나19 제품에서 한발 나아가, 원숭이두창·마약 검사 키트 등 신규 진단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52월 발표에 따르면, 니파바이러스 진단키트 개발에도 착수한 상태입니다.

6-4. 종합 평가 및 투자 포인트

장점

  • 코로나19 재유행 시 진단키트 수요 증가에 따른 단기 실적 개선 가능성
  • 리튬 광산 개발을 통한 사업 다각화로 장기 성장 기반 마련
  • POCT 분야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

리스크

  • 진단키트 수요가 코로나19 유행 상황에 크게 좌우되는 편의성
  • 신사업인 광산 개발의 장기적 성과 불확실성
  • 2024년 기준 연간 매출 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46.9% 감소한 재무 상태

투자 포인트

  • 코로나19 재확산 시 진단키트 수혜주로서의 단기 매수 기회
  • 리튬 광산 개발 성과 발표 시 테마주로서의 주가 상승 가능성
  • 2025년 하반기 예정된 미국 FDA 승인 관련 이벤트 트레이딩
 

바이오 관련주 6종목 | 공매도·상호관세中 상승하는

바이오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3월 28일에는 케이피에스, 시지메드텍, 온코닉테라퓨틱스, 대화제약, 아이진, 압타바이오 등이 주목할 만한 상

intap365.com

 

 

AI홈닥터 원격의료 관련주 6종목 상승세 분석

AI홈닥터 관련주는 더불어민주당이 AI홈닥터·변호사 합법화, 주52시간 유연화, 경계선 지능인 취업 지원 등 중소벤처 7대 정책을 발표하면서 장중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AI 의료기술 개발

intap365.com

 

 

FDA 허가 줄기세포 관련주 4종목 특징

2025년 4월 22일, 줄기세포 관련주가 대거 상승했습니다. 네이처셀은 FDA 품목허가 기대감으로 상한가를 기록했고, 차바이오텍은 메조피 관련 호재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코아스템켐온과 에스바이

intap365.com

 

최신 테마주 바로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