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종목

JP모건 헬스케어 관련주 6종목

by 주식인탭365 2023. 12. 23.

JP모건 헬스케어 관련주 6종목

 

 

JP모건 헬스케어 관련주는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축제인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가 내년 1월 8일 ~ 11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릴 예정이며,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착석 여부와 신약발표, 빅딜 기대감으로 관련주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과거 한미약품, 유한양행, 에이비엘바이오 등이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맺는 등 과거 실적이 이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빅딜 터질까…열기 오르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 한스경제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축제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MHC)’에 대거 참여, 기술수출 등 이른바 ‘빅딜’을 노린다.JPMHC는 내년 1월 8일부터

www.hansbiz.co.kr

 

1.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445680

1-1 사업특징        현재  주가, 뉴스 바로가기>>>

  • 세포분석 공정 자동화입니다.  세포 분석 과정 중 쓰이는 수작업의 원심분리기를 대체하는 ‘루미미놀 워시’ 기술을 개발해 자동화 제품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이 기술은 세포 분석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바이오 소부장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세포 유전자 치료제 시장과 전혈 진단 시장에 진출한 것입니다. 2023년 6월에 코스닥 상장을 통해 자금 조달을 확대하고, 미국 국립 표준기기술연구소(NIST)와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공동 주관한 표준 워크숍에 참여하여 세포 유전자 치료제 시장과 전혈 진단 시장에서 독점적인 솔루션을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시장은 암,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 글로벌 빅파마와의 협력 관계입니다. 노바바티스, GSK, 길리어드, 로슈 등 글로벌 빅파마 상위 20개 업체 가운데 18개사를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들 업체들은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의 자동화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하여 성능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2 참여계획

  • 바이오텍 쇼케이스 (Biotech Showcase)라는 부대 행사에 참가해 자사의 신약 후보물질을 소개하고,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및 파트너십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 자사의 핵심 파이프라인 'Q901’에 대한 기술이전 논의를 본격화하기 위해서입니다. Q901은 CDK7을 저해하는 계열 내 최초 (First-in-class) 항암치료제 후보물질로, 미국과 한국에서 임상 1/2상 시험이 진행 중입니다. 초기 임상에서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기술이전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신규 파이프라인 도입과 인수합병 (M&A) 등을 추가 검토하기 위해서입니다. 회사는  미국 바이오벤처 '프로테온’을 인수하면서, 항체약물접합체 (ADC)와 면역항암제 분야에 진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프로테온의 기술력과 파이프라인을 홍보하고, 관련 분야의 신규 파이프라인 도입이나 M&A 가능성을 탐색할 것으로 보입니다.

JP모건 헬스케어 관련주 6종목

2. 유틸렉스 263050     -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공식초청 

2-1 사업특징       현재주가, 뉴스 바로가기>>>

  • 독자적인 면역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보유한 차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및 제조기업입니다. 유틸렉스는 항체치료제와 T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들은 기존의 항암제가 가지는 부작용 및 내성을 극복하기 위해 병용임상이 증가되고 있는 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4-1BB와 AITR 등 T세포 활성을 촉진시키는 표적을 이용한 면역관문활성제로 작용하는 항체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유틸렉스의 주요 제제품인 EU101은 4-1BB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치료제로, 현재 한국과 중국, 미국에서 임상 1/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안전성 및 치료효과를 확인 중입니다.
  • 모든 암세포에 작용하는 Panck T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Panck T는 기성품 형태의 만능 T세포치료제로, 악성 B세포에서만 발현되는 HLA-DR을 인식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며, 염증성 사이토카인(IL-18)을 분비하여 고형암을 표적 치료 합니다.

2-2 참여계획

  • 자체 엔지니어링한 ACE2 단백질 ‘EU129’에 대한 PCT(특허협력조약) 국제 출원한 데 이어, JP모건 헬스스케어 콘퍼런스에 공식 초청되었습니다. 이는 유틸렉스의 면역항암제 전문성과 기술력을 글로벌 제약사들에게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면역항암제 EU101과 EBViNT (앱비앤티) 등 현재 개발 중인 다양한 파이프라인 임상 진행 현황 및 성과도 공개할 예정입니다. 특히 T세포치료제 앱비앤티는 최근 표준치료법이 부재한 EBV양성 위암을 적응증으로 추가한 바 있어, 추 후 표준치료법으로 세팅되며 니치마켓을 공략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현재 글로벌 제약사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3년 연속으로 JP모건 헬스스케어 콘퍼런스에 초청받아 파트너십에 초점을 맞출 예정입니다. 유틸렉스 권병세 대표이사와 에드윈권 전무이사가 주도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글로벌 제약사들과 다양한 협력을 모색하고 신약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할 것으로 보입니다.

3. 한올바이오파마 009420

3-1 사업특징        현재주가, 뉴스 바로가기>>>

  •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및 제조/판매하는 제약업체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바이오탑 (위장장관용제), 헤어그로정 (탈모치료제), 알파본연질질캡슐 (비타민제), 노르믹스정 (항생제), 엘리 가드 주 (항암제) 등이 있습니다.
  • 바이오시밀러 개발 원천 기술: 아미노산 치환 기술 등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바이오시밀러의 안정성과 효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 면역항암제 개발: 자가면역질환, 안구건조증, 면역항암 치료제 등의 바이오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면역항암제 HL186/187을 파이프라인으로 개발 진행 중에 있으며, 이 물질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의 부작용을 보완한 것입니다. 또한, 이뮤노반트와 협력하여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IMVT-1402의 임상 결과가 긍정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의 연계: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을 연계하여 제조하고 판매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합성약약품은 인공적으로 합성된 화학물질로,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바이오의약품은 생물학적으로 만들어진 화학물질로, 고품질과 고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을 살린 제품군은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3-2 참여계획

  • 바이오 텍 쇼케이스에 참여하여 자사의 신규 항암제 Q901에 대한 기술이전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Q901은 CDK7을 저해하는 계열 내 최초 항암치료제 후보물질로,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임상 1/2상 시험이 진행 중입니다. 회사는 Q901의 임상진입 이후 지속해서 논의를 진행해 온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미팅이 예정돼 있으며, 최근 초기 임상에서부터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기술이전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로펌 ‘시들리 오스틴’ 등과 함께 이번 콘퍼런스에서 기업 설명회인 '글로벌 IR@JPM’을 공동 주주최합니다. 설명회에는 SCM생명과학, 지아이노베이션, 앱티스, 휴이노, 푸투가바이오, 에이비온 등 6개 기업이 참가합니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각 기업의 신약 개발 현황과 장점을 소개하고,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력 가능성을 탐색할 것으로 보입니다.

JP모건 헬스케어 관련주 6종목

4. 젠큐릭스 229000

4-1 사업특징        현재주가, 뉴스 바로가기>>>

  • 분자진단 검사를 개발하는 기술기업
  • 유방암 예후진단: 절제수술 후 재발 위험이 낮아 부작용을 수반하는 항암화학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저위험군 환자들을 선별해 주는 진단검사입니다. 유방암 예후진단 검사 키트 '진스웰 BCT’는 아시아 최초로 국내 주요 병원에 납품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규모는 6900억 원으로 추산됩니다.
  • 폐암 동반진단: 폐암과 관련된 다른 질환들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진단검사입니다. 차세대 분석기기술인 Digital PCR 기반의 동반진단검사 '드롭플렉스 (Droplex)'를 출시하였습니다.
  • 간·대장암 조기진단: 간과 대장암의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한 진단검사입니다. 간·대장암 조기진단 검사 키트 '드롭파크 (Droplet Park)'를 출시하였습니다.

4-2 연관성.

  •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 벤처와의 현지 만남을 통해서도 기술이전 및 전략적 파트너십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할 계획입니다.
  • 이번 콘퍼런스에서 자신들의 제품과 기술력을 강조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기회를 모색할 예정입니다. 젠큐릭스는 이미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에서의 진입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5. 레고켐바이오 141080

5-1 사업특징        현재주가, 뉴스 바로가기>>>

  • 항체의약품 제조 기업으로, 다음과 같은 사업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신약개발: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항체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14개의 글로벌 P상을 진행 중이며, 삼중음성유방암(TNBC), 비소세포폐암 등을 적응증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이치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개발 중인 TROP2-directed ADC Dato-DXd(Datopotamab Deruxtecan, DS-1062a)가 2023 ESMO에서 비소세 포폐암과 유방암을 타겟한 글로벌 상 3상 결과를 공개하였으며, 순현재가치(NPV)를 96억 달러로 평가하였습니다.
  • 글로벌 파트너십: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신약 개발 및 판매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Merck에게 3개 DXd ADCs 파이이프라인의 글로벌 판권을 매각하였으며, 일라이 릴리와 Mablink 인수를 통해 PSARLinkTM 플랫폼을 보유하였습니다. 또한, Evaluate Pharma와 협력하여 Dato-DXd의 국내외 시장 진출에 필요한 연구 및 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5-2 연관성

  • 허셉틴 ADC는 CDK7을 저해하는 항암치료제 후보물질로, 현재 중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임상 1상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링커 및 톡신을 포함한 원천기술의 가치도 획기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레고켐바이오는 다음 주 개최될 JP모건 헬스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하여 허셉틴 ADC의 임상진입과 기술이전에 대한 소식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글로벌 제약회사와 협력할 계획입니다.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는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활발하게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한국의 대형 제약회사인 에이비온과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에이비온은 레고켐바이오의 항체약물접합체를 자사의 신규 항암제 개발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외에도 다른 글로벌 제약회사들과의 협력 가능성도 있습니다.
  • 자사의 신성장 동력과 사업 전략을 발표할 것입니다.  콘퍼런스에서는 올해 사업 전략과 중장기 비전을 제시할 예정입니다.

JP모건 헬스케어 관련주 6종목

6. 유한양행 000100

6-1 사업특징        현재주가, 뉴스 바로가기>>>

  • 비소세포폐암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비소세세포포폐암은 현재 치료가 어려운 암으로, 유한양양행은 이중항체 의약약품 사업을 통해 비소세포 흡수성 폐암과 비소세포 전이성 폐암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또한, 자회사 이뮨온시아가 면역 항암제 IMC-001 개발 진행 중이며, 이 제품은 비소세포 전이성 폐암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출산 아기, 영유아영 기저귀, 마스크, 젖병, 물물티슈, 워시, 장난감 등을 판매하고 있는 유한킴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루코사민, 키토올리고당, 감마리리놀레산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으며, 치매 치료제 글리아트린의 복제약인 뇌기능 개선제 알파아트린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  *코로나백신 분야에서도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얀센과 거액의 계약을 체결하여 코로나백신 얀센과 함께 인도에 결핵 치료제인 리팜 피신 원료의 약물을 생산하기 위한 조인트벤처를 설립하였습니다. 이 조인트벤처는 인도에서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카나마이신과 같은 고품질의 원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인도 시장에서 큰 수요가 예상됩니다.

6-2 연관성

  • '렉라자’라는 폐암 신약의 유럽서 데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렉라자’는 세계 최대 규모 기술 이전·투자 유치의 장인 JP모건 헬스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성공적으로 발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렉라자’는 세계 최대 규모 폐암 치료제로, 현재 한미약품과 함께 임상 3상 시험 중입니다.
  • 알레르기 치료 후보보물질 'YH35324’를 기술 수출 및 도입 관련 미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YH35324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노출 시 생성되는 면역글로로불린 (IgE)의 결합부위 2개를 융합한 이중융합단백질 신약으로, 국내에서 임상 1상 시험 중입니다. 유한양행은 이 후보물질이 블록버스터급 신약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빅파마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 항암제, 대사질환, 퇴행성 뇌질환 등을 3개 중점 분야로 삼아 다양한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을 진행 중입니다. 오픈 이노베이션은 기존의 제약기업들과 혁신적인 제약기업들이 파트너십을 맺어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과정입니다. 유한양양행은  설립한 미국법인 유한 USA를 통해서도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작년에는 미국 신시내티 대학의 LNP (지질나노입자) 연구팀을 발굴해 연구소에 소개하였습니다.
 

중입자 관련주

모비스 ( 250060)에서 연내 회전형 중입자 치료기 가동 소식에 2023년 10월 17일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세브란스 병원이 작년 말 3000여 억 원을 들여 일본에서 중입자 치료기를 들여와, 올해

intap365.com

 

 

중입자 치료 핵융합 관련주 2

중입자 치료 핵융합 관련주는 연세암 병원에서 중입자 치료를 받은 60대 전립선암 환자가 한 달 만에 암조직이 사라진 것이 발표하면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중입자 치료는 일반적인 방사선 암

intap365.com

 

 

AI 신약 관련주 ( 글로벌 시장 규모 연평균 45.7% 성장 예상)

AI 신약 관련주는 최근 AI 산업의 성장과 함께 의료계 또한 AI를 활용한 진단 서비스, 플랫폼 등이 활성화되며 지소적인 성장세가 기대됩니다.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은 비용 절감과 개발 일정 단

intap365.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