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중국 배제 정책 강화
통신장비 관련주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생태계에서 중국의 지배력을 약화하려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더욱 거세질 전망이라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보고서가 나왔는데, 여기에는 국내 네트워크 장비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국산 제품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 수단 검토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나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통신장비 관련주 목차
1. 휴먼테크놀로지 175140 현재주가>>>
1-1 통신장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첫째, 휴먼테크놀로지는 5G 통신기기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5G 모바일 라우터와 같은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어, 미국의 중국 통신장비 배제 정책으로 인한 수혜가 예상됩니다.
둘째, 회사는 AI 스피커 사업에도 주력하고 있는데, 이는 5G 네트워크와 밀접하게 연관된 IoT 기기입니다.
최근 마크티와 100억 원 규모의 AI 스피커 물품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죠. 이는 회사의 통신 관련 사업 역량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입니다.
셋째, 휴먼테크놀로지는 안티드론 솔루션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드론 탐지 레이더 전문기업인 토리스스퀘어와 협력하여 드론 탐지 레이더 사업을 추진 중인데, 이는 미래 통신 인프라 보안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1-2 사업특징
첫 번째로 눈에 띄는 특징은 AI 스피커 사업입니다.
회사는 최근 AI 스피커 라인업을 확대하고 공급처를 다변화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는 5G 시대에 맞춰 IoT 기기 시장을 선점하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두 번째 특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업입니다.
휴먼테크놀로지는 국내 최초로 웨어러블 키즈폰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회사는 방산 사업 진출을 통해 사업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최근 아시아 최대 규모의 글로벌 방산 전시회 'KADEX 2024'에 참가해 드론 탐지 시스템을 공개하며 이 분야에서의 역량을 과시했습니다.
1-3 사업계획
첫째, 회사는 AI 기술을 활용한 교육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AI 스피커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영어 스피킹 학습 플랫폼을 연내 런칭할 예정입니다. 이는 AI와 통신 기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둘째, 안티드론 기술 고도화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토리스스퀘어와의 협력을 통해 안티드론 기술과 솔루션을 더욱 발전시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밝혔습니다. 이는 미래 통신 보안 시장을 겨냥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셋째, 방산 신사업 확대를 통한 실적 개선을 꾀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최첨단 인공지능(AI) AESA 레이더 시스템 중심의 방산 신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기존 통신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노력으로 해석됩니다.
2. 오이솔루션 138080 현재주가>>>
2-1 통신장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첫째, 5G 및 6G 네트워크 구축에 필수적인 광트랜시버 분야의 선두주자입니다.
최근 SK브로드밴드와 함께 AI 기반 대역폭 확장 광트랜시버 검증을 완료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 이는 10Gbps OLT 업링크 대역폭을 100Gbps로 10배 확장하고, 광선로를 50% 절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력은 미국의 중국 통신장비 배제 정책 하에서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둘째, 국내 광트랜시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통신3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 통신사업자에게도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특히 미국과 일본에 해외 지사를 두고 글로벌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어, 중국 기업들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셋째, 고객 맞춤형 광트랜시버 설계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수한 파장, 높은 링크 버짓, 양방향 통신, 극한 동작 온도 등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춘 제품을 개발할 수 있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2-2 사업특징
첫째, 광트랜시버 설계부터 제조까지 수직 계열화된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빠른 제품 개발과 품질 관리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ETRI와 협업하여 광트랜시버 모듈의 주요 부품인 레이저 다이오드(LD) 국산화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원가 절감과 기술 자립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둘째,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 가능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무선 이동통신, Datacom, Telecom, 댁내 가입자망 등 다양한 시장에 맞춘 제품을 개발하고 있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특히 5G 무선 기술에 대응하는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셋째, 글로벌 주요 통신장비업체들과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통신 장비 업체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어, 안정적인 매출과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중국 통신장비 배제 정책 하에서 더욱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게 해줄 것입니다.
2-3 사업계획
첫째, 6G 및 양자통신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6G 상용화 계획에 발맞춰 연구개발을 앞당기고 있으며, 2026년에는 '사전(Pre)-6G 비전 페스트'를 개최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6G 표준특허 점유율을 3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둘째,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2027년에 저궤도 통신위성을 시험 발사하고, 2030년 이후에는 국방 분야에서 위성통신 기술을 본격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는 미래 통신 기술의 핵심으로 떠오르는 분야로, 오이솔루션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셋째, 오픈랜(Open RAN)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오픈랜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개방형 표준을 의미하는데, 이는 미국의 중국 통신장비 배제 정책과 맞물려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오이솔루션은 이 분야에서의 기술력을 강화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굳건히 할 계획입니다.
3. 쏠리드 050890 현재주가>>>
3-1 통신장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첫째, 국내 대표 통신장비 기업으로, 글로벌 이동통신 중계기 분야에서 시장점유율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중국 배제 정책이 강화될 경우, 화웨이와 같은 중국 기업들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둘째, 오픈랜(Open RAN)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 시장 진출에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실제로 쏠리드의 미국 자회사인 쏠리드 기어가 미국 상무부 산하 NTIA의 와이어리스 이노베이션 펀드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재정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는 미국 정부의 중국 통신장비 배제 정책과 맞물려 쏠리드의 미국 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셋째, 국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 모두 장비를 공급하는 유일한 기업입니다.
이러한 국내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는 글로벌 시장 진출의 든든한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3-2 사업특징
첫째, 무선통신 분야의 이동통신 중계기와 광전송장비, 개방형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 장비 등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특히 5G 네트워크 구축에 필수적인 장비들을 생산하고 있어, 글로벌 5G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됩니다.
둘째,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활발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5G 서비스 확대로 인한 데이터 트래픽 증가, 실내 환경에서의 품질 개선 요구에 따라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며, 일본 시장에서도 주요 통신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셋째, 오픈랜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오픈랜 관련 연구개발에 착수했으며, 2022년부터는 실제 매출 실적까지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6G 시대를 대비한 선제적 투자로 볼 수 있습니다.
3-3 사업계획
첫째, 미국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국 자회사인 쏠리드 기어가 NTIA의 오픈랜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향후 미국 통신사 및 공공기관 매출처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중국 배제 정책과 맞물려 큰 성장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둘째, 오픈랜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 최초로 오픈랜 장비 국제인증을 받았으며, 이를 활용해 빌딩, 경기장, 쇼핑몰 등 실내 커버리지 구축 사업에 진출할 방침입니다. 또한 3.5GHz 장비 외에도 단독모드(SA), 비단독모드(NSA)를 모두 지원하는 Sub-3GHz 대역 제품도 확보하는 등 포트폴리오 확장에 나서고 있습니다.
셋째, 6G 기술 개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진행될 '6G Upper-mid Band Extrem Massive MIMO(E-MIMO) 시스템 기술개발' 과제에 참여기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6G 표준화 사업과 연계하여 6G 무선 전송 및 무선 접속 표준 특허를 확보하고, 궁극적으로 6G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4. 에이스테크 088800 현재주가>>>
4-1 통신장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첫째, 5G 기지국 안테나 분야에서의 강점입니다.
국내 기지국 안테나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특히 5G 시대에 필수적인 Massive MIMO 안테나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에이스테크는 국내 주요 통신사의 5G 기지국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상당한 매출을 올렸습니다.
둘째,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업체들과의 협력 관계입니다.
삼성전자, 에릭슨 등 글로벌 통신장비 대기업들의 주요 공급업체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화웨이 등 중국 업체들이 배제되면서, 에이스테크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셋째, 차세대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능력입니다.
6G 등 미래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테라헤르츠 대역 안테나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4-2 사업특징
첫째, 다양한 무선통신 제품 포트폴리오입니다.
기지국 안테나뿐만 아니라 RF 부품, Radio System 등 다양한 무선통신 장비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는 통신 네트워크의 여러 부분에 걸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둘째, 높은 기술력과 품질 관리 능력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무반사실 챔버를 보유하고 있어, 안테나 성능 테스트와 품질 관리에 있어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사들의 까다로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셋째, 해외 시장 진출 확대입니다.
최근 몇 년간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에는 인도 최대 통신사인 릴라이언스 지오와의 거래가 크게 늘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4-3 사업계획
첫째, 미국 시장 공략 강화입니다.
최근 미국의 5G 인프라 투자 확대에 대응하여 현지 생산 기지 구축을 검토 중입니다. 이를 통해 '바이 아메리카' 정책에 부합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겠다는 전략입니다.
둘째, 차량용 통신장비 사업 확대입니다.
자율주행차량용 레이더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모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내 주요 자동차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관련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셋째, Open RAN 기술 개발입니다.
차세대 네트워크 아키텍처인 Open RAN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5G, 6G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입니다.
5. 코위버 056360 현재주가>>>
5-1 통신장비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첫째, 국내 주요 통신사업자들의 핵심 공급업체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에 광전송장비를 공급하며 국내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했습니다. 이는 미중 갈등 속에서 국산 장비 선호도가 높아질 경우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포지션입니다.
둘째, 5G 네트워크 구축에 필수적인 장비들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5G-PON(Passive Optical Network) 장비와 관리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여 5G 인프라 구축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5G 네트워크 고도화 과정에서 코위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셋째, 양자암호통신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2021년 LG유플러스, 크립토랩과 협력하여 세계 최초로 양자내성암호 암호화 모듈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미래 통신 보안 기술의 핵심으로,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 정책 지원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2 사업특징
첫째, 광전송장비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과 PTN(Packet Transport Network) 장비 분야에서 국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이 전체 매출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제공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둘째, 양자암호통신 기술의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QENC(양자암호화 장비)와 QKD(양자키분배 장비)를 개발하여 국가정보원 보안 요구사항 인증을 획득했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금융망, 통신사 등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분야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셋째, 5G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5G-PON 장비와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5G 네트워크의 효율적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5G 시대의 본격화와 함께 코위버의 시장 점유율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사업 영역입니다.
5-3 사업계획
첫째, 양자암호통신 기술의 상용화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최근 오이솔루션과 약 23억 원 규모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고속 장거리 스마트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의 양산 공급을 시작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의 양자암호통신 기술 적용 확대는 물론, 해외 시장 진출도 계획하고 있어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기대됩니다.
둘째, 6G 네트워크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약 145억 원 규모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6G 개발 국책과제에 선정되어, 6G 네트워크에 필요한 부품과 시스템 기술 국산화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차세대 통신 기술 개발의 핵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보입니다.
셋째, 해외 시장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중국,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2017년 미얀마 시장 진출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뉴스 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LNG 운반선 관련주 6종목 (3) | 2025.02.03 |
---|---|
생성형 AI 의료기기 관련주 5종목 (6) | 2025.02.03 |
완성차 로봇 관련주 5종목 (4) | 2025.02.03 |
현대차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주 6종목 (3) | 2025.01.31 |
사우디 방위산업 관련주 5종목 (1) | 2025.01.29 |
2차전지 관련주: 정부·업계 비상대책 TF 가동 (1) | 2025.01.21 |
철강 금속 관련주 5종목: 호주 최대 철광석 항구 사이클론 위협 셧다운 (1) | 2025.01.20 |
전력기기 관련주: HD현대일렉트릭 변압기 공장 증설 4000억투자 (8)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