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희토류 등 미국 맞춤형 관세 전쟁
희토류 관련주는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10% 관세 부과에 강력히 반발하면서 , WTO 제소와 희토류 수출 제한 등 다각적인 대응을 준비하면서 장중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자급자족 능력이 강화 됐고, 글로벌 공급망 주도권이 확고하다면서 희토류 등으로 맞춤형 보복을 예고하고 있는데, 협상의 여지는 남겨주고 있습니다.
희토류 관련주 목차
1. 유니온 000910 현재주가>>>
1-1 희토류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희토류 대체 소재 '페라이트 마그네트' 생산
유니온은 자회사인 유니온머티리얼을 통해 페라이트 마그네트를 생산합니다. 이 소재는 희토류 대체 가능성으로 주목받으며, 전기차 모터와 친환경 에너지 장비에 필수적입니다. 최근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움직임에 따라, 페라이트 마그네트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유니온머티리얼은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기술 독립성을 바탕으로 수혜를 예상받고 있습니다.
②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반사 이익 기대
2025년 2월 트럼프 행정부의 10% 관세 부과에 중국이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맞대응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유니온의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공급량이 글로벌 생산의 70%~80%를 차지하는 만큼, 수출 통제 시 국내 기업 중 유니온머티리얼의 페라이트 마그네트가 대체 수요를 흡수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지난 1월 유니온 주가는 중국의 갈륨·게르마늄 수출 규제 발표 당시 17% 이상 상승한 바 있습니다.
③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수혜
미국과 유럽 연합은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희토류 공급망 다변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유니온머티리얼은 베트남 자회사를 통해 해외 생산 기반을 확보 중이며, 2024년 12월 기준 47억 원 규모의 운영자금을 추가 투입해 공급망 강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수요 증가에 대비한 전략으로 해석되며, 향후 수출 확대 가능성이 큽니다.
1-2 사업특징
① 특수시멘트 분야의 기술 경쟁력
유니온은 백시멘트와 알루미나 시멘트 등 고부가가치 특수시멘트 생산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백시멘트는 건축물 내외장재로 수요가 꾸준하며, 알루미나 시멘트는 고온 내구성이 요구되는 산업설비에 필수적입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특수시멘트 매출은 전년 대비 12% 증가했으며, 국내 시장 점유율 30%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② 폐촉매 회수를 통한 자원 재활용 사업
폐촉매에서 니켈·몰리브덴 등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2024년 10월 포항공장의 폐촉매 처리 라인을 증설해 연간 처리량을 5,000톤으로 확대했습니다. 이는 국내 폐기물 처리 시장의 15%를 점유하는 규모로, ESG 경영 강화와 자원 순환 경제 측면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③ 희토류 대체 소재 연구 개발
유니온머티리얼과 협력해 희토류를 대체할 고성능 자석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한국재료연구원과 공동으로 네오디뮴 대체 소재를 개발 중임을 발표했으며, 2025년 상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차와 풍력발전기 분야에서 수입 의존도를 낮출 핵심 기술로 평가받습니다.
1-3 사업계획
① 희토류 관련 사업 확장
2025년 1분기 중 유니온머티리얼의 희토류 추출 기술 상용화를 추진 중입니다. 중국의 수출 통제에 대비해 국내 희토류 자급률 제고를 목표로 하며, 정부 지원금 120억 원을 확보해 충남 공장에 시험 라인을 구축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2026년까지 매출 300억 원 창출을 목표로 합니다.
② ESG 경영 강화를 통한 지속가능성 제고
2024년 12월 ISCC PLUS 인증을 획득하며 폐기물 재활용 공정의 친환경성을 입증했습니다. 2025년까지 탄소 배출량 20% 감축을 목표로 청정에너지 전환 설비 투자에 150억 원을 편성했으며, EU의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을 준비 중입니다.
③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
베트남과 멕시코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 공략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베트남 자회사에 35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해 연간 1,000톤 규모의 페라이트 마그네트 생산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또한,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해 2025년 2월 미국 텍사스주에 현지 법인 설립을 계획 중입니다.
2. 유니온머티리얼 047400 현재주가>>>
2-1 희토류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희토류 대체 소재인 페라이트 마그네트 생산 역량
유니온머티리얼은 자동차 모터용 페라이트 마그네트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0~12%를 차지하며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페라이트 마그네트는 희토류 기반 네오디뮴 자석 대비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며, 전기차 및 가전제품 모터 소재로 수요가 증가 중입니다. 최근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움직임에 따라 대체 소재 수요가 급증하며 실적 개선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②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 추세에 따른 수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하면서, 유니온머티리얼의 베트남 생산 거점(유니온머티리얼베트남)이 전략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현지 생산을 통해 원가 효율성을 높이고, 중국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이 투자자 신뢰로 이어졌습니다.
③ 실적 개선 및 주가 상승 모멘텀
2024년 3분기 기준 유니온머티리얼의 해외 매출 비중은 70%를 상회하며, 미중 갈등 심화 시 희토류 대체 수요 증가로 매출 성장이 예상됩니다. 최근 장중 주가가 25% 이상 급등하며 단기적 관심도가 집중되었고, 페라이트 마그네트 원자재의 80% 이상을 국내에서 조달해 공급망 안정성도 강점으로 부각되었습니다.
2-2 사업특징
① 자동차 산업 밸류체인 심화
주력 제품인 페라이트 마그네트는 자동차의 ABS, EPS, 엔진 냉각 시스템 등에 필수적으로 적용됩니다. 독일 보쉬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의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 입지를 공고히 했습니다. 특히 전기차 모터 소재 시장 진출을 통해 향후 성장 동력을 확보 중입니다.
② 세라믹 소재 분야의 기술 다각화
절삭공구, 마그네트론 스템, 수도밸브용 디스크 등 고부가가치 세라믹 제품 라인업을 확보했습니다. 2024년 AI 기반 생산 시스템 도입으로 품질 관리 효율을 30% 이상 개선했으며, 삼성전자·LG전자 등과의 협력으로 반도체 장비 부문 수주 실적도 증가 중입니다.
③ 수직 계열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
모회사인 유니온(000910)과의 시너지를 통해 원자재 조달부터 제조·유통까지 공정을 통합했습니다. 2025년 기준 포항 제2공장 증설을 통해 연간 생산량을 15%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규모의 경제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2-3 사업계획
① 친환경 모빌리티 사업 확장
2025년 상반기 중 전기차용 고효율 페라이트 마그네트 양산 체계를 완성할 예정입니다. 기존 대비 에너지 손실을 20% 절감한 제품을 개발해 현대차·기아와의 시험 납품을 진행 중이며, 유럽 완성차 업체 진출도 협의 중입니다.
② AI·빅데이터 활용 스마트 팩토리 구축
지난해 말 포항 공장에 도입한 AI 품질 예측 시스템을 전 공정으로 확대 적용합니다. 생산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불량률을 5% 미만으로 낮추고, 2026년까지 설비 가동률 95%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③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R&D 투자
차세대 소재인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 개발에 매년 매출의 7%를 연구비로 투입하고 있습니다. 2024년 국책과제로 선정된 「고품위 SiC 단결정 기술」 개발을 통해 2027년 양산 체계 수립을 계획 중이며, 이는 반도체·전기차 부품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전망입니다.
3. 티플랙스 081150 현재주가>>>
3-1 희토류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중국 희토류 통제 강화에 따른 대체 자원 수요 증가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전략적 무기로 활용하며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티플랙스는 희토류 대체 소재인 티타늄, 니켈합금 등 희소금속 유통 사업을 통해 국내 대표 기업으로 부각되었습니다. 2024년 10월 중국의 희토류 관리조례 시행 이후 국내 기업들의 자원 다각화 필요성이 커지며, 티플랙스의 사업 포트폴리오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② 전기차 및 반도체 산업과의 직접적 연관성
희토류는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자원입니다. 티플랙스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용 스테인리스 소재를 LG에납품하고 있으며, 반도체 장비용 CD Bar 생산으로 TSMC 협력사와의 거래를 확대 중입니다. 이는 희토류 수급 불안에 따른 대체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③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헤징 수단으로써의 가치
2024년 12월 기준 중국의 희토류 생산 점유율은 70%로, 미중 무역 갈등 시 수출 제한 카드 사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티플랙스는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2025년 1월 국내 최초로 희토류 재활용 플랜트 건설을 계획 중입니다. 이는 장기적 공급망 안정성 제고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3-2 사업특징
① 스테인리스 봉강 시장 1위의 안정적 수익 기반
티플랙스는 국내 스테인리스 봉강 시장에서 40% 점유율을 차지하며 1,500여 개 고객사와 장기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매출의 60%가 조선·플랜트 산업에서 발생하며, 포스코 STS 강판 협력센터로 지정되어 원자재 조달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② 다양한 산업군으로의 사업 다각화
주력 사업인 스테인리스 외에 희소금속 유통 분야에서 연간 2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 중입니다. 특히 티타늄 합금은 항공우주 부품에 적용되며, 2024년 11월 국방과학연구소와 군수물자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신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③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 고도화
2024년 12월 말 기준 영업이익률이 12.3%로 업계 평균(8.5%)을 상회합니다. 이는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 덕분으로, 전기차용 초경량 스테인리스 소재는 기존 제품 대비 마진이 30% 높습니다. 또한 AI 반도체용 냉각 시스템 소재 개발로 2025년 2분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3 사업계획
① 신성장 동력으로서 친환경 에너지 사업 확장
2025년 상반기 중 수소연료전지용 스테인리스 소재 개발에 150억 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이미 현대차그룹과 시제품 납품을 진행 중이며, 2026년까지 해당 분야 매출 비중을 20%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②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를 위한 해외 진출
미국 텍사스주에 현지 법인 설립을 추진 중이며, 2025년 3월까지 현지 생산시설 착공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미국 IRA법 대응을 위한 전략으로, 현지 조달 비율을 30% 이상으로 높여 관세 리스크를 해결할 계획입니다.
③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투자 확대
2024년 매출의 5% 수준인 95억 원을 R&D에 투입했으며, 2025년에는 7%까지 비중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핵심 분야는 초고강도 스테인리스 합금 개발로, 항공기 엔진 부품에 적용 가능한 등급의 소재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4. 동국알앤에스 075970 현재주가>>>
4-1 희토류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호주 ASM과의 전략적 협업을 통한 희토류 사업 진출
동국알앤에스는 2020년 호주의 종합 광물기업 ASM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희토류 분야에 본격적으로 진출했습니다. ASM은 광산 개발부터 정제까지 일관된 생산 체계를 갖춘 기업으로, 동국알앤에스는 이 협력을 통해 호주산 희토류를 국내에 공급하는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저탄소·고순도 금속정제 기술을 공동 개발하며 ESG 트렌드에 부합하는 사업 모델을 구축 중입니다.
② 정부의 핵심광물 지원 정책 직접 수혜
정부가 2027년까지 55조 원 규모로 핵심광물 공급망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동국알앤에스는 희토류 정제 기술을 보유한 국내 몇 안 되는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3년 말 기준, 국내 희토류 수요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정부 지원을 통해 기술 역량을 확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③ 미중 무역 갈등 격화에 따른 공급망 다변화 수혜
중국이 희토류 수출 규제를 강화하자, 글로벌 기업들은 중국 외 공급처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동국알앤에스는 호주와의 협력 뿐 아니라 2024년 브라질 희토류 기업 미네라써웅 타보카를 인수하며 남미 시장까지 사업 영역을 넓혔습니다. 이는 미중 갈등이 지속되는 환경에서 안정적인 원료 조달 경쟁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4-2 사업특징
① 철강 산업의 핵심 소재인 내화물 생산
내화물 부문은 매출의 73%를 차지하는 핵심 사업입니다. 제강로 내부에 사용되는 내화물은 철강 품질을 좌우하는 필수 소재로, 동국알앤에스는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POSCO, 현대제철 등에 연간 85,000톤 규모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내화물 매출은 전년 대비 12%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② 스틸 제품의 다각화된 생산 체계
철강 부문에서는 내화물 외에도 고강도 강판, 자동차 부품 소재 등을 생산하며 매출 다각화를 진행 중입니다. 2023년 9월 기준 스틸 제품 매출은 320억 원으로, 전체의 27%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전기차용 니켈 도금강판 개발을 통해 삼성SDI 등 배터리 기업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해외 시장 공략
중국 영구신동내화재료(56% 지분)와 치박동국내화재료(90% 지분) 등 해외 합자회사를 운영하며 현지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2024년 브라질 희토류 기업 인수를 계기로 남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으며, 향후 동남아 진출도 계획 중입니다.
4-3 사업계획
① 희토류 정제 기술의 상용화 확대
2025년 상반기 중 호주 ASM과 협력해 희토류 정제 공장을 완공할 예정입니다. 해당 시설은 연간 5,000톤 규모의 희토류를 처리할 수 있으며, 국내 반도체·전기차 업체에 고순도 원료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이미 2024년 4분기 시험 생산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기술 검증을 완료했습니다.
② 친환경 소재 개발로 ESG 경쟁력 강화
폐기물 재활용 기술을 활용한 희토류 재생 사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2023년 말 기준, 폐배터리에서 희토류 성분을 추출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하며 LG에너지솔루션과 시제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025년까지 해당 분야 매출을 150억 원 규모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③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 강화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호주·브라질 광산과의 장기 계약을 확대 중입니다. 2024년 12월, 호주산 희토류 3,000톤을 추가로 확보하며 2025년 수입량의 40%를 비중국권에서 조달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유럽 진출을 위해 독일 현지법인 설립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5. 삼화전자011230 현재주가>>>
5-1 희토류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희토류 대체 소재인 페라이트 코어의 핵심 생산 기업
삼화전자는 전자기기 및 전기차 부품에 필수적인 페라이트 코어를 전문적으로 제조합니다. 페라이트는 희토류 기반 자석 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으며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 성능을 보여, 최근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로 인한 대체 수요 증가에 직접적인 수혜를 입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슬라가 전기차 모터에 희토류 대신 페라이트를 적용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삼화전자 주가가 24% 급등한 사례가 있습니다.
②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트렌드에 따른 국내 대표 기업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통제할 경우, 국내 기업들의 자원 의존도 해결이 시급해집니다. 삼화전자는 국내 유일의 페라이트 코어 기술 보유 기업으로, 현대자동차·기아를 비롯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부품을 공급하며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부터 시행된 중국의 희토류 관리조례 이후, 삼화전자의 전장용 페라이트 코어 매출이 전년 대비 18.6% 증가한 점이 이를 증명합니다.
③ 친환경 자동차 시장 성장에 따른 수요 확대
전기차·수소차의 보급 확대는 고효율 전력변환장치(LDC)·충전기(OBC) 수요를 증가시켰습니다. 삼화전자는 이 분야에 특화된 페라이트 코어를 개발해 2024년 기준 국내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며, GM·폴크스바겐 등 글로벌 OEM 업체와의 협업을 확대 중입니다. 특히 2025년 1분기까지 전장용 생산라인을 2배로 증설할 계획을 발표하며 향후 성장 잠재력을 강조했습니다.
5-2 사업특징
① 페라이트 코어 분야의 독보적 기술력
삼화전자는 1976년 설립 이후 47년간 페라이트 코어 분야에 집중해 왔습니다. 전자파 차폐 및 전류 변환에 필요한 코어 설계부터 소성·성형 공정까지 자체 기술을 보유하며, ISO/TS 16949(자동차 품질 관리 시스템)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이 기술력은 LG전자·삼성전자뿐만 아니라 콘티넨탈·덴소 등 글로벌 Tier-1 업체와의 장기 협력으로 이어졌습니다.
② 고부가가치 전장 부품 사업 확장
기존 TV·모니터용 부품에서 전기차용 고성능 페라이트 코어로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진행 중입니다. 2023년 기준 전장 부품 매출 비중이 58%까지 증가했으며, 친환경차용 LDC·OBC 변압기 부품은 2025년까지 연간 867억 원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5G 통신 중계기용 고주파 소재 개발로 신규 시장 개척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③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투자
중국 칭다오에 생산법인을 설립하고, 베트남·멕시코 현지 기업과 희토류 대체 소재 공동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 2024년 3분기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테스트를 완료했으며, 유럽 내 전기차 충전소 업체에 페라이트 코어를 독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매출의 48.7%를 해외가 차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5-3 사업계획
① 생산 설비 확장을 통한 수주 대응
2025년까지 80억 원 규모의 전장용 페라이트 코어 생산라인 증설에 투자합니다. 이를 통해 연간 생산능력을 2배(현재 120억 개 → 240억 개)로 확대해 현대·기아의 2026년형 전기차 15종 모델 수주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특히 350kW 급 초급속 충전장치용 코어는 국내 시장 점유율 90%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② 신소재 개발로 수익성 제고
자율주행차용 라이다 센서의 고주파 필터 소재와 친환경 배터리 충전기의 초저손실 페라이트 개발에 집중합니다. 2024년 4분기 상용화 예정인 이 소재는 기존 대비 발열량 30% 감소·효율 15% 향상 효과를 보여, 2026년까지 매출 403억 원 달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③ ESG 경영 강화를 통한 지속가능성 확보
폐페라이트 재활용률을 2025년 75%까지 높이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2023년 도입한 태양광 발전 설비로 연간 120톤의 탄소 배출을 절감했으며, 2024년 12월까지 모든 공정에 친환경 냉각수를 적용할 계획입니다. 또한 희토류 채굴로 인한 환경파괴 문제 해결을 위해 재활용 기술 연구에 매년 매출의 5%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미래 로봇 추진단, 지능형 로봇 관련주 5종목 (12) | 2025.02.02 |
---|---|
딥시크 경계 보안 관련주 6종목 (8) | 2025.02.02 |
딥시크 패권전쟁 AI 챗봇 관련주 6종목 (10) | 2025.02.02 |
종전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5종목 (1) | 2025.01.28 |
천리안 5호 우주항공 관련주 5종목 (6) | 2025.01.25 |
반려 로봇 관련주 6종목 (17) | 2025.01.24 |
트럼프 AI인프라 발표 건설기계 관련주 5종목 (0) | 2025.01.24 |
우주항공 관련주 6종목: 트럼프,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 (4) | 2025.01.23 |